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I급.II급.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의 설골의 위치

        송윤주,김현정,남순현,김영진,Song, Yun-Ju,Kim, Hyun-Jung,Nam, Soon-Hyeun,Kim, Young-Jin 대한소아치과학회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3

        설골은 주위골 조직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이 근육과 인대를 통해 혀, 하악골, 두개골, 쇄골, 견갑골, 갑상연골, 인두 등에 연결된다. 이러한 특이한 해부학적 관계 때문에 설골의 위치는 하악의 위치, 머리의 위치, 기도상태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설골과 부정교합과의 관계, 기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경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부정교합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 64명 (남자 : 39명, 여자 : 25명, I급 부정교합 : 25명, II급 부정교합 : 15명, III급 부정교합 : 24명)의 설골의 위치를 측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상에서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 II급 부정교합환아에 비해 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 설골은 더 전방에 위치하였고, 설골의 경사도도 더 완만하였다. 2. I, II, III급 부정교합환아에서 설골은 하악골과 척추골사이의 전후방적 위치는 일정하였다. 3. 설골은 하부기도의 전방경계를 이루는 골격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the hyoid bone lies in its unique anatomic relationships. It has no bony articulations but provides attachment for muscles, ligaments, and fascia of the pharynx, mandible, and cranium. Various studies have documented a variability of hyoid bone position in relation to changed mandibular position or head pos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yoid bone position and inclination on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ree groups of patients exhibiting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show a more anterior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also less steep inclination of the hyoid bone. 2.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hyoid bone relative to the cervical vertebra and mandible was very constant. 3. The hyoid bone represented the anterior bony boundary of the pharynx at a lower level than PNS.

      • SCOPUSKCI등재

        연천 지역 성인의 계절별 영양소 및 식품섭취 비교 연구

        송윤주(Yoon-Ju Song),백희영(Hee-Young Pai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한국 농촌 성인의 계절에 의한 식이 섭취와 반복조사를 통해 나타나는 일부 농촌 성인의 평상의 식생활 실태 파악을 위해 경기도 연천군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 섭취 조사를 계절별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4계절의 평균 1일 에너지 섭취는 1.692㎉로, 에너지 구성비는 당질, 단백질,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60.7%, 14.8%, 15.7%였다. 탄수화물, 비타민 B₁과 비타민 A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다른 계절에 비해 가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열량을 내는 에너지, 단백질, 지방과 주요 무기질인 칼슘, 인, 철분은 여름에 가장 적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주요 비타민인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비타민 C는 겨울에 가장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비율은 비타민 C와 인에서 계절마다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국민영양조사결과와는 가을에서 가장 유사했다. 각 계절별로 남녀의 영양소 섭취수준이 차이가 났는데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적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가장 크게 차이가 나는 계절은 가을이었고 겨울과 가을에는 에너지, 단백질, 인, 철분에서 봄에는 에너지, 칼슘, 인, 철분에서 그리고 여름에는 인과 철분에서 남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 4계절의 평균 적정도는 0.6~0.7 사이로 영양상태가 좋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마다의 적정도를 구해보면, A와 비타민 C를 제외하고는 계절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체적으로 0.6~0.8 정도의 영양적정도를 가지고 있었다. 계절별 하루에 섭취한 식품의 총 가짓수는 13~15개 정도였고 음식의 총 가짓수는 7~8가지였으며 계절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품가짓수와 영양소 간에는 대부분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을의 경우가 탄수화물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식품영양가표에 의한 식품군별 섭취량은 과실류, 해조류, 조미료류에서 계절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조미료류를 제외하고는 가을에서 높았다. 음식군별의 계절간 차이를 보면 밥류, 국수류, 김치류에서 계절적 차이가 없었고 계절적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음식은 과일류였으며 그 외 차이가 나는 음식군은 죽류, 국 및 탕류, 조림류, 김치류, 갈치류, 장아찌류, 양념류, 유류였다. 계절별로 식품군 섭취를 기준으로 계산한 DDS는 4계절 모두 3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2와 4의 경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식사의 pattern을 살펴보니 여름을 제외한 봄, 가을, 겨울에서는 유제품군과 과일군이 빠진 형태가 가장 많았고, 여름의 경우는 유제품군만을 안 먹은 형태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부 농촌 성인들은 전반적으로 충분한 영양소 섭취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절적으로는 가을에서 절대적 섭취량이 높았는데 영양소 밀도와 적정도로 보았을때는 가을에서 나타났던 절대적 차이가 줄어들었다. 이것은 절대적 섭취량이 많기는 했으나 그만큼 다른 영양소들도 섭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양소 실태는 에너지와 단백질의 경우 영양권장량에 못 미쳤으나 계절적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 비타민 C는 계절적 차이를 크게 나타냈으며 4계절 모두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는 칼슘이었다. 식품군으로 보았을 때는 유제품군과 과일군의 섭취가 가장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연천 농촌 성인은 계절적 요인에 의해서 식이 섭취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상적 식생활 평가를 위해서는 모든 계절을 포함하는 전국적인 식이섭취조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dietary intake and quality obtained by 24 hour recall method in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The mean daily intakes of 4 seasons were 1,692㎉ for energy, 63g(14.8% of energy) for protein, 30g(15.7% of energy) for fat, 257g(60.7% of energy) for carbohydrate. Mean daily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winter for most of the nutrients, and lower in summer for energy, fat, calcium, iron. Mean adequacy ratio(MAR), an index of overall nutritional quality was 0.65 in winter, 0.67 in spring, 0.65 in summer and 0.72 in autumn and nutrient adequacy ratio(NA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vitamin C among different seasons. Subjects consumed usually 15.3 different foods in winter, 14.5 in summer, 13.9 in spring and 13.7 in autumn. The number of food consum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ake of most nutrients, especially in autumn. For variety among the five major food groups(grain, meat, dairy, fruit, vegetable) with a dietary diversity scores(DDS) calculated, the average score of DDS was 3 in all seasons and omitted food groups were usually dairy and fruit. In conclusion, dietary intake and quality of Korean ad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as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군집분석과 요인분석 이용한 우리나라 성인의 식사패턴 비교 분석

        송윤주(Yoon Ju Song),백희영(Hee Young Paik),정효지(Hyo Jee Jou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9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etary patterns and compare dietary patterns using cluster and factor analysis in Korean adult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4,182 adult populations who aged 30 and more and had all of socio-demographic, anthropometric, and dietary data from 2005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ocio-demographic data was assessed by questionnaire and dietary data from 24-hour recall method was used. For cluster analysis, the percent of energy intake from each food group was used and 4 patterns were identified: traditional, bread, fruit & vegetable, milk, noodle & egg, and meat, fish, alcohol. The traditional pattern group was more likely to be old, less educated, living in a rural area and had higher percentage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than other pattern groups. Meat, fish, alcohol group was more likely to be male and higher percentage of energy intake from fat. For factor analysis, mean amount of each food group was used and also 4 patterns were identified; traditional, modified, bread, fruit, milk, and noodle, egg, mushroom. People who showed higher factor score of traditional pattern were more likely to be elderly, less educated, and living in a rural area and higher proportion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In conclusion, three dietary patterns defined by cluster and factor analysis separately were similar and all dietary patterns were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nutrient profil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722~733, 2009)

      • KCI등재
      • KCI등재

        Missy Brand 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관한 연구

        송윤주(Youn Joo Song),정성혜(Sung Hye Jung) 한국복식학회 2000 服飾 Vol.50 No.3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visual basic data of efficient fashion advertising for Missy Brands in the 21th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reative strategy related to expression of fashion advertisement. Th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s follow. First, the change of domestic advertising industry,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reative strategy and the condition and problems in the domestic Missy market were studied through the relevant fashion advertisement and periodical publication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the advertisement of Missy Brands in fashion magazine, ELLE which were published from 1992 to 1998.(3/6/9/1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LE `s analysis results were to increase in number of the advertisements for the teenager Brand from 1993 and for the I.B.(Imported Brand) or L.B,(License Brand) from 1995. As a result of the analyses, we suppose that a number of advertisements are proportional related to the sales of Brand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B.(Domestic Brand) and I.B.(Imported Brand) or L.B.(License Brand) in the change of creative strategy for Missy Brands advertisements. The creative strategy of D.B. ads, was used more importantly in linguistic message than in visual message, On the contrary, the creative strategy of I.B.(L.B) ads, attached importance to the visual message (photo). Third, the ads of TIME showed ads. effect to have relevance to sales. The creative strategy of TIME ads. appeals to consumer for consistent Brand image, at the same time reflects the distinctive Brand image from the others.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creative strategy change of TIME through the visual data bas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