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조선 시기 조개화폐의 이동 경로 검토 - 한반도 남부에서부터 릴레이교역을 중심으로
송옥진 국학연구소 2024 국학연구 Vol.28 No.-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국가를 형성한 고조선은 주변 지역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하였다. 특히 고조선의 강역은 문헌적 기록과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만주와 한반도로 규정되고 있으나 중국 요서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성과로 인해 고조선 초기 중심지는 요녕성 중심으로 연구가 반복되고 있고 한반도 남부 강역 및 해상교역에 대한 연구는 단절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고조선 문화로 인식되고 있는 하가점하층문화, 특히 대표 유적인 대전자유적에서 발견된 조 개화폐는 적어도 서기전 1600년대에 원거리 교역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표지유물이고 한반도 내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이미 해상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 유적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문헌기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해상교역의 상한은 서기전 7세기를 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를 꼽자면 광복 이후 한국사 연구에 있어서 모든 교류의 방향을 중국-한국-일본으로 고착화하는 오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교류의 양방향성을 기본으로 고조선 시대, 특히 서기전 1600년의 유적인 대전자유적의 해양유물인 개오지조개의 이동을 통하여 당시 해양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 음을 확인코자 한다. 본고는 특히 이러한 해상교류에 있어 한반도가 해상교역 의 중심이었음을 인식하고 아열대 지역 해양산물인 조개화폐의 새로운 이동경 로를 제시하는 한편 해상 교역 거점 중 하나인 대마도의 유적 유물에서 보이는 고조선과 해양문화의 교류 흔적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significant discovery of cowry shells at the Daejeonja archaeological site, dating back to around 1600 BCE, provides undeniable evidence of long-distance trade by the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site. These specific cowries, naturally found only in subtropical regions, could not have migrated inland on their own. By applying the origin-to-destination analysis concept, the distribution routes of these cowries were inferred. Furthermore, as such items incapable of self-movement must have been transported by human agency, it is evident that their circulation involved direct human interactions or relay trade through intermediary regions. Notably, the use of cowry shells as natural and imitation artifacts predates 1600 BCE by approximately 1,500 years, as evidenced by their discovery during the Hongshan Culture period, the predecessor of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to which the Daejeonja site belongs. These archaeological findings align remarkably well with historical records. Ancient Korean texts, including Dangun Segi and Budoji, describe the establishment of a currency economy in early Gojoseon, including the standardization of weights and measures and regulation of market prices. These records also reference the casting of shell-shaped coins, a practice corroborated by the discovery of lead coins at the Daejeonja site. This convergence of documentary evidence and material artifacts demonstrates the presence of organized trade and circulation systems. In summary, the Hongshan Culture people, predecessors of early Gojoseon, were the first to commodify cowry shells as valuable trade items. Around 1600 BCE, Gojoseon communities actively traded Okinawan cowries, transporting them northward through Tsushima and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hile also crafting replicas from stone, bone, and metal. Based on both textu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plausible to conclude that early Gojoseon was the key agent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proto-currencies, marking it as a pioneering civilization in early currency systems.
송옥진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7
본 연구는 고조선의 영역 중 요서지역에서 발전했던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계통성을 고고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학적 성과가 계속될수록 이 지역 선후대 문화의 계통성, 초기 청동기시대의 진입 시기 및 발견된 유물과 유적은 한국과 중국의 문헌 기록에서보이는 고조선과 부합한다. 지역적으로는 선대문화인 홍산문화가 그대로 고조선문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유물에서 보이는 홍산문화 요소는 소하연문화 시기를 거쳐 계승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거지, 인적구성, 석성, 토기, 채회도의 문양 등에서 보이는 뚜렷한연관성은 두 문화간 계승성을 판단하게 하는 근거가 될 뿐 아니라 이 문화계열의 전반적인 사유체계에서 그 바탕이 된다. 두 문화의 공통점은 문화간 계통성으로 고조선의 건국 연대의 타당성을 제공하고 주변 문화와의 교류 흔적으로 고조선의 인식 범위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유전학적 구성의 계통성과 주거지 및 석성의 울타리 개념은 한국 고유의 “우리” 개념의시발점으로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홍산문화와 고조선문화, 특히 전기 고조선이라 할 수 있는 하가점하층문화와의 계통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고자 한다. This is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san culture and Gojoseon Culture. The two cultures developed in the liaoXi among areas of Gojoseon, and their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archaeological aspect. Hongsan Culture was a Neolithic culture that flourished from 4700BC to 3000BC. Xiajiadian Lower Culture was a Bronze Age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 Yoseo region from 2400BC to 1500BC and velongs to the culture of the early Gojoseon period. In particular, the distinct connection shown in the residential area, human composition, moat, stone castle, earthenware, jade, and painting patterns is the basis for showing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Gojoseon culture. It is also possible to know not only the system similarity between the cultures of Hongsan and Gojoseon generations, but also the exchanges with the surrounding cultures. Amo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ultures, I think it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Gojoseon culture in particular is what is called "we/our". The beginning of these concept is compartmentalization, which developed into moat,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collective sprit.
이도정자(二道井子)유적으로 보는 하가점하층(夏家店下層)문화 주거지 특성
송옥진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haracteristics of Erdaojingzi site in Chifeng among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The average depth of the cultural deposit at the site was about 8 metres and remains of the surrounding moat and city walls were excavated. The city walls are located within the moat's boundaries. A gentle slope of cultural deposit has formed within the city walls and a number of house remains were found lying along the top of the city walls. The site lies on the slopes of the hills lying to the north of the village of Erdaojingzi in the Hongshan District in Chifeng, Inner Mongolia, and encompasses an area of around 30,000 square metres. A rescue excavation was conducted on the site by the Inner Mongolia Cultural Relics and Archaeology Institute in April 2009, during which time some 5,200 square metres was uncovered. The site itself is thought to be one of the best preserved Lower Xiajiadian culture sites discovered to date and the structures discovered at the site have survived intact. The moat, city walls, courtyards, building foundations, vaults and roadways have provided scholars with a wealth of new information on the settlement patterns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at period 최근 요서지역 하가점하층문화의 많은 유적들의 발굴성과는 청동기시대가 개시되면서 국가단계로 집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중에서도 이도정자유적은 중국 내몽고자치구 적봉시에 위치하고 있는 하가점하층시대 유적으로 약 5만 평방미터의 면적에 거주지, 가마터, 회갱, 묘지, 성벽과 환호 등700여 곳이 발굴되어 1,5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대형 유적으로 가장 잘 보존된 하가점하층문화 거주지 유적으로 꼽히고 있다. 다른 유적과 달리 토성안에 벽돌로 쌓은 담벼락으로 둘러싸인 집들이 질서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은 공동체 생활을 중요시하는 우리 문화와 매우 흡사한 마을 구조이다. 전체적으로는 해자, 성벽, 주거지, 묘지의 네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계획된마을 구조는 이 시기 취락 형태와 가족 조직 및 주변 지역과의 광범위한 교류형태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아직 정식발굴조사보고서가 나오지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겠지만 고조선과 직접 연계되는, 특히 주거지 유적에 대한 특징을 한반도 지역 거주지 유적과 비교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삼아 정리해 보고자 한다.
遼陽 燕州城의 명칭과 기능에 대한 검토 - 문헌기록상 백암성과 요양 연주성의 비교 -
송옥진 바른역사학술원 2025 역사와융합 Vol.- No.26
요녕성 요양시 동쪽 석성산에 위치한 연주성(燕州城)은 고구려 산성으로 성벽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회백색 석회암으로 축조된 외형으로 인해 백암성(白巖城)으로 비정되었다. 백암성은 『삼국사기』, 『자치통감』, 『구당서』 등 문헌에 대규모 전투가 벌어진 군사 요충지로 기록되어 있으며 바닷가와 가까운지리적 위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반면, 요양 석성산에 있는 연주성은 내륙 깊숙이 위치하고 성의 구조나 입지, 유물 출토 양상 등에서 문헌 속 백암성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비정의 오류는 일제 반도사관의 영향과 중국의동북공정 및 국내 식민사학계의 안일한 연구결과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과 고고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연주성이 백암성이 될 수없는 이유를 밝히고 현 요양시 석성자산에 위치한 고구려성의 대안적 기능으로서 제의시설 혹은 천문관측의 장소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Yanzhou Fortress (燕州城), located atop Seongseongsan Mountain to the east of Liaoyang City in Liaoning Province, is a well-preserved Goguryeo-era mountain fortress constructed with light gray limestone. Owing to its appearance, it has been conventionally identified as Baekamseong (白巖城). However,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Samguk Sagi, Zizhi Tongjian, and Old Book of Tang describe Baekamseong as a strategic military stronghold where large-scale battles occurred, emphasizing its coastal location. In contrast, Yanzhou Fortress lies deep inland, and its structural features, geographical context, and archaeological findings sharply diverge from the descriptions found in these texts. This misidentification stems from the lingering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ical framework, the Chinese Northeast Project, and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se perspectives by segments of Korean academia.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literary and archaeological evidence to argue that Yanzhou Fortress cannot be equated with Baekamseong. Instead, it proposes that the fortress, situated on present-day Seongseongsan in Liaoyang, may have served a distinct function—as a ritual site or astronomical observatory within the cultural and religious practices of the Goguryeo state.
송옥진,김석원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re the consciousness of defeat and colonialism, still prevalent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began. Even today, it is an international relations phenomenon that the invasion of neighboring countries leads to territorial encroach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from which perspective the history should be written and what our view of history is to respond to neighboring countries’ historical invas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view on colonialism that must be overcome is rooted in the ideas of the Noron world that centered around Song Si-yeol in the 17th century, which stil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By contrast, scholars of Soron, represented by Yoon Jeung and Nam Gu Man, later saw it as the beginning of a unique academic tradition in politics, ideology, history, national defense, and recognition of the Korean language. Yoon's argument was passed down to Jung Je Doo and Lee Gun Bang. Nam Gu Man passed on the academic line through Lee Ik, Kim Gyo Heon. These two academies were followed by Jung In Bo in the 19th century, Yoon Nae Hyun in the 20th century, and Lee Deok Il and Bok Gi dae in the 21st century. Daehansarang inherited their knowledge lineage of national history. 본 연구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아직도 만연한 패배의식과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 근원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가늠해 보고 어떤 사관으로 역사서술을 해야 하는지, 동북공정을 비롯한 각종 문화공정에 대응해나갈 우리의역사관은 어떤 것인지 확인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우리가 아직 극복하지 못한 식민사관의 뿌리가 17세기 정치계와 사상계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노론계열의 영향이라고 보고 있다. 조선을 송시열의나라라고 생각하게끔 만든 우암 송시열의 위상이 당대 정치계는 물론 현재의 사상계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본다. 반면, 17세기 중·후반 소론계의 출현은 송시열을 위시한 노론과는 다른 노선을 구축해 나가는데 이들은 다양한 사안에 대한 토론 및 대화 문화를 바탕으로 소론계 고유 학풍을 형성해 나간다. 윤증과 박세당, 남구만, 박세채 등으로 대표되는 초기 소론 학자들은 이후 정치, 사상에서뿐 아니라 역사와 국방 및 정음에 대한 고유한 학풍을 형성하는 시초가된다. 특히 송시열의 제자였음에도 그에 담담히 맞서 정치적 문제에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노소 분당과 정국에 영향을 끼친 명재 윤증(1629~1714)으로 인해 조선 후기는 실학과 양명학의 전개라는 사상적 다양화를 가능하게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수차례 조정의 부름에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강학에힘썼던 윤증의 학풍은 강화도에 정착한 정제두로 이어져 “강화학파”를 형성하게 되고 정제두의 학맥은 그의 아들과 사위, 전주이씨 가문 내 이광명의 자손들을 중심으로 전승된다. 한국 양명학의 대표적인 학자를 배출해낸 강화학파는 이충익-이면백-이시원/이지원-이건창/이건승/이건방 계열로 이어져 200년간학풍을 지속하고 이후 19세기 말 정인보에게로 그대로 이어진다. 반면, 남구만(1629~1711)은 윤증과 같은 시기에 태어났으나 활동 방향은 달라 고위 관직을수차례 역임한 관료이자 학자이면서 문장가이다. 남구만에서부터 이익, 이종휘와 김교헌, 장도빈에 이르는 학맥의 계승 관계는 특히 국경 지역 영토에 대한 인식과 동음에 대한 주체적 해석을 하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시대별의 흐름에 따라 호칭은 변화되었으나 소론계열의 학문을 현대의 키워드로 표현하자면 ‘홍익인간’이 되기 위한 실천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학풍은 인간됨을 학문의 지향점에 놓고 민족주의 역사학을 정립하면서 독립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다지게하였다. 또한 19세기 말 정인보에게, 20세기 윤내현에게, 21세기 이덕일과 복기대 및 역사연구단체에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지키고자 하는 민족사관으로 이어져 계승 발전되고 있다.
송옥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In this paper, There is a Koguryo castle named Baekam castle in 30km Lioyang. This Castle has feature that looks like Koguryo castle with white outer wall and five chies. This Castle that is near river and cliff in doccument records now is called Yanzhoucheng in China. However, Yanzhoucheng is not Backam Castle yet, because it is very far from Pyeongyang and most Koguryo Castle was white and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There is a square-shaped altar inside castle and there is a circular space. Koguryo, Baekje and Silla, all three countries had the space and the format for the national offer. Especially Goguryeo is recorded that the priests performed rituals stay in the sky in October. It has a festival format that all citizens participate called the "Dongmaeng". So, This Castle, Yanxhoucheung is perhaps a place to working national ritual because this Castle looks like Kanghwa Chamseongdan, and Lioyang is Pyeongyang that was transferred capital by King Jangsu. Two Castle are both dual structure. 요양 동쪽 30km지점 등탑현 연주성촌 마을에는 백암성으로 잘 알려진 고구려성이 있다. 이 성은 석회암재질의 성벽 때문에 외벽이 하얗게 보이고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치로써 고구려성의 특징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강을 끼고 있으며 절벽이 있다는 문헌기록과 부합하여 백암성으로 비정되고 있는 이 고구려 고성은 현재 중국에서 연주성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자치통감의 전쟁기록으로 볼 때 현재의 평양과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대부분의 고구려 성은 하얀색을 띄며 주변 지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축성한 점을 보면 현재 연주성이 백암성임을 확언하기에는 성급하다는 판단이다. 백암에 대한 『요사』의 기록을 보면 “바다-백암-동경(요양)”이 위치한다. 게다가 바다에서부터 15리는 바닷가라는 말인데 현재의 연주성은 “바다-동경(요양)-백암”일 뿐 아니라 그 거리도 바다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또한 이 성의 전체적인 모양이 강화도의 참성단과 매우 흡사하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요양이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했던 평양이라는 연구결과와 맞물려 생각해 본다면 수도근처 국가제의를 행하던 장소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조선 해상교류의 인식 범위 확장 - 대전자유적을 중심으로-
송옥진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그간 고조선 경제와 관련한 연구들에서는 상당히 발달된 농업과 상업을 이야기함에도 불구하고 그 상한을 일반적으로 『관자(管子)』의 기록을 들면 서 고조선의 교역을 서기전 7세기로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 으로 발표되는 중국 동북지역 하가점 하층지역 발굴 사실들에 대한 해석과 제주도 및 오키나와, 규슈지역의 고대 교역에 대한 연구 등을 살펴보면 충 분히, 서기전 7세기 이전부터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이제는 고대 교역에 대해서 비단 문헌자료뿐 아니라 최근 발굴되고 있는 고고학적 성과를 포함하여야 하며 문헌 이외의 동반교역품의 상황과 문화적 측면을 모두 고찰하여야 한다. 이에 본 고에서는 고조선의 해양력 에 대해 고대인의 해상교류 일면을 보여주는 유물로써 개오지조개 (cowries, 海貝·子安貝)를 한 예로 들고 동반교역품과 주변 문화와의 교류 범위를 고려하여 고조선의 새로운 해상교류 범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개오지 조개는 그 서식 범위가 아열대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이것의 채집 가능범위는 아무리 해류에 휩쓸려 들어왔다 하더라도 제주도 남부지 역 이상 올라올 수가 없다. 하나라 화폐였다는 중국 학계 주장 역시 중원 지역은 예로부터 해상활동에 대한 기록이 없는 반면, 만주와 한반도 세력 의 경우 반구대 암각화를 비롯하여 오래전부터 해양활동을 해왔음이 잘 알 려져 있다. 이러한 점은 개오지 조개를 채집, 유통시킨 주체가 중원세력(하 나라)이 아니라 만주 및 한반도 세력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특히 최근 체 질인류학 분야의 연구에서는 하가점 하층문화를 담당했던 주인공들이 오늘 의 한국 사람과 닮은 특징을 소유했던 것으로 밝혀져 당시 활발한 해양 활 동을 통한 교역 주체가 누구인지 가늠할 만한 자료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생산지역과 사용지역이 명확하게 원격 거리로 구분되는 조개 화폐의 유통 및 조달에는 활발한 경제활동의 주체가 있었으며 서기전 1600년대의 시기에 아열대 지방과는 한참 동떨어진 만주 지역에서 다량의 자연패가 출토되었다는 점은 당시 그 지역의 세력이 생각보다 광범위한 교 역을 이루고 있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자연 패(海貝) 뿐 아니라 납으로 주조한 방제패(鉛貝)가 출토되었다는 것은 자연 패의 조달과 유통 시기가 훨씬 더 이전부터 있었다면 해당 지역은 이미 활 발한 교역 네트워크를 영유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그동안 고조선 교역에 있어 적극적 교류를 나타내는 교류 관계에서 한발 더 나아 가 하가점 하층문화 대전자 유적 공동체의 교역 네트워크의 범위는 그보다 확장해서 인식해야 해당 시기 경제행위와 세계관, 문화생활의 실체에 보다 정확히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adianzi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ite of the 1600 B.C. period located in the Chinese city of Aohanqi Chifeng of Inner Mongolia where 1,200 pieces of cowrie shell were excavated. In the Dadazian Site, both natural cowrie shell and replica currency shell were excavated. Also a relic similar to cowrie shell, which is made of lead(鉛貝) was unearthed. Chi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recognizes to some extent the possibility that the lead currency-shaped cowrie shell was not only used as an ornament or a prestige in the community at the time, but also served as a currency. After applying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to cowrie shells collected from shell habitats of coastal area of East Asia, the author tested validity of arguments raised by Chinese scholars, adding a new finding. The cowrie shell relic found in the Dadianzi were easy to carry with an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ability to resist corrosion. It is also widely recognized by Chinese archaeologists that it had usage of quantification which satisfies requirements of currency. This finding raises a need to correct our traditional view on the isolated scope of trade network of the ancient people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commercial or ritualistic trade practices between Xiajiadian communities and it neighboring cultures and remote cultures during the Bronze Age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so far. The customary conception has been that the trade netwok was limited within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The author investigated Moneta cowrie shell’s habitat throughout in continental and maritime East Asia of both ancient times and today. As a result, shellfish from that period until now were found to habitat in coral reef areas of Jeju Island, Okinawa, and south of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finding and confirmation raise us a need to expand the trading scope of people in the Dadianzi community at the time a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existing perception should be extended to add wide-area trade practices beyond the hundreds of kilometers of confined networks with communities including such nearby cultures as. Gaotaishan culture(高殆山文化), Machengzi culture(馬城子文化), Daetuotou culture(大坨頭文化), Shuangtuozi culture(雙砣子文化), Yueshi culture(岳石文化). The finding further demands us to extend the remote trading network between Lower Xiajiadian and Erlitou culture(二里頭文化) in the Yellow River basin. With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their wide world view,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active trading practice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economy, and culture of people in the 1600s before A.D.
대전자유적 납돈(鉛貝)에 나타난 고대 해상교류의 인식범위
송옥진 ( Song Ok 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0 No.-
The Dadianzi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ite of the 1600 B.C. period located in the Chinese city of Aohanqi Chifeng of Inner Mongolia where 1,200 pieces of cowrie shell were excavated. In the Dadazian Site, both natural cowrie shell and replica currency shell were excavated. Also a relic similar to cowrie shell, which is made of lead(鉛貝) was unearthed. Chi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recognizes to some extent the possibility that the lead currency-shaped cowrie shell was not only used as an ornament or a prestige in the community at the time, but also served as a currency. After applying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to cowrie shells collected from shell habitats of coastal area of East Asia, the author tested validity of arguments raised by Chinese scholars, adding a new finding. The cowrie shell relic found in the Dadianzi were easy to carry with an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ability to resist corrosion. It is also widely recognized by Chinese archaeologists that it had usage of quantification which satisfies requirements of currency. This finding raises a need to correct our traditional view on the isolated scope of trade network of the ancient people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commercial or ritualistic trade practices between Lower Xiajiadian communities and it neighboring cultures and remote cultures during the Bronze Age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so far. The customary conception has been that the trade netwok was limited within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The author investigated Moneta cowrie shell’s habitat throughout in continental and maritime East Asia of both ancient times and today. As a result, shellfish from that period until now were found to habitat in coral reef areas of Jeju Island, Okinawa, and south of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finding and confirmation raise us a need to expand the trading scope of people in the Dadianzi community at the time a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existing perception should be extended to add wide-area trade practices beyond the hundreds of kilometers of confined networks with communities including such nearby cultures as. Gaotaishan culture(高殆山文化), Machengzi culture(馬城子文化), Daetuotou culture(大坨頭文化), Shuangtuozi culture(雙砣子文化), Yueshi culture(岳石文化). The finding further demands us to extend the remote trading network between Lower Xiajiadian and Erlitou culture(二里頭文化) in the Yellow River basin. With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their wide world view,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active trading practice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economy, and culture of people in the 1600s before A.D.
송옥진 ( Song Ok-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1 No.-
South Korea constantly have been exchanged with China for a long time. Histioy is meaningless to argue who has national system of past tears in history. Rather it is wise to aim for economic and cultural synergy.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historical awareness that they share the same history. This is the way to seek peace in East Asia. We sill research “Malgal(Mohe)” as a bridge between two country for peaceful cooperation in history. The earliest records of Mohe is known as “Book of Northern Qi”. But there is more facts in “Samguksagi” The first is the location of Malgal(Mohe). Jolbon is residential district of Malgal in BC 37. Malgal that located in northern Goguryeo had not invaded Goguryeo. It is foundation that Balhae who base on Malgal grow as ‘Flourishing Land in the East’ in friendship with Goguryeo. It show s geographical importance of center located Malgal. Finally, it shows political ability of Malgal such as Goguryeo, Baekje, Silla’s. We expect to find more information of Malgal in Samguksagi as cross-searching 80’s Malgal records with the other librarians.
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송옥진 ( Song Ok 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2 No.-
Hunminjeongeum Haerye is written by King Sejong and his companion Jeong Inji. In the Haeryebon, Hunmin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and the Three-Elements Theory. However, Haery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hought of Cheonbugyeong. So, I will try to find any similarities between Haeryebon and Cheonbugyeong based on the keywords found in the original Haeryebon. The medial(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11 neutrals are based on ‘·, ㅡ, ㅣ’ and modeled after the shape of ‘haeven, earth, and human’. It was said that vowels do not have a fixed place and number. It can be explained by the role of a person in the Cheonbugyeong. The use of the initial consonant again when combini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signifies a cycle. It is the same as Cheonbu-gyeong, which starts with a one and ends with the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