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론 이후 강화학파에서 계승된 민족사학의 지식계보

        송옥진,김석원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re the consciousness of defeat and colonialism, still prevalent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began. Even today, it is an international relations phenomenon that the invasion of neighboring countries leads to territorial encroach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from which perspective the history should be written and what our view of history is to respond to neighboring countries’ historical invas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view on colonialism that must be overcome is rooted in the ideas of the Noron world that centered around Song Si-yeol in the 17th century, which stil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By contrast, scholars of Soron, represented by Yoon Jeung and Nam Gu Man, later saw it as the beginning of a unique academic tradition in politics, ideology, history, national defense, and recognition of the Korean language. Yoon's argument was passed down to Jung Je Doo and Lee Gun Bang. Nam Gu Man passed on the academic line through Lee Ik, Kim Gyo Heon. These two academies were followed by Jung In Bo in the 19th century, Yoon Nae Hyun in the 20th century, and Lee Deok Il and Bok Gi dae in the 21st century. Daehansarang inherited their knowledge lineage of national history. 본 연구는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아직도 만연한 패배의식과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 근원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가늠해 보고 어떤 사관으로 역사서술을 해야 하는지, 동북공정을 비롯한 각종 문화공정에 대응해나갈 우리의역사관은 어떤 것인지 확인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우리가 아직 극복하지 못한 식민사관의 뿌리가 17세기 정치계와 사상계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노론계열의 영향이라고 보고 있다. 조선을 송시열의나라라고 생각하게끔 만든 우암 송시열의 위상이 당대 정치계는 물론 현재의 사상계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본다. 반면, 17세기 중·후반 소론계의 출현은 송시열을 위시한 노론과는 다른 노선을 구축해 나가는데 이들은 다양한 사안에 대한 토론 및 대화 문화를 바탕으로 소론계 고유 학풍을 형성해 나간다. 윤증과 박세당, 남구만, 박세채 등으로 대표되는 초기 소론 학자들은 이후 정치, 사상에서뿐 아니라 역사와 국방 및 정음에 대한 고유한 학풍을 형성하는 시초가된다. 특히 송시열의 제자였음에도 그에 담담히 맞서 정치적 문제에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노소 분당과 정국에 영향을 끼친 명재 윤증(1629~1714)으로 인해 조선 후기는 실학과 양명학의 전개라는 사상적 다양화를 가능하게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수차례 조정의 부름에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강학에힘썼던 윤증의 학풍은 강화도에 정착한 정제두로 이어져 “강화학파”를 형성하게 되고 정제두의 학맥은 그의 아들과 사위, 전주이씨 가문 내 이광명의 자손들을 중심으로 전승된다. 한국 양명학의 대표적인 학자를 배출해낸 강화학파는 이충익-이면백-이시원/이지원-이건창/이건승/이건방 계열로 이어져 200년간학풍을 지속하고 이후 19세기 말 정인보에게로 그대로 이어진다. 반면, 남구만(1629~1711)은 윤증과 같은 시기에 태어났으나 활동 방향은 달라 고위 관직을수차례 역임한 관료이자 학자이면서 문장가이다. 남구만에서부터 이익, 이종휘와 김교헌, 장도빈에 이르는 학맥의 계승 관계는 특히 국경 지역 영토에 대한 인식과 동음에 대한 주체적 해석을 하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시대별의 흐름에 따라 호칭은 변화되었으나 소론계열의 학문을 현대의 키워드로 표현하자면 ‘홍익인간’이 되기 위한 실천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학풍은 인간됨을 학문의 지향점에 놓고 민족주의 역사학을 정립하면서 독립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다지게하였다. 또한 19세기 말 정인보에게, 20세기 윤내현에게, 21세기 이덕일과 복기대 및 역사연구단체에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지키고자 하는 민족사관으로 이어져 계승 발전되고 있다.

      • 고조선 해상교류의 인식 범위 확장 - 대전자유적을 중심으로-

        송옥진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그간 고조선 경제와 관련한 연구들에서는 상당히 발달된 농업과 상업을 이야기함에도 불구하고 그 상한을 일반적으로 『관자(管子)』의 기록을 들면 서 고조선의 교역을 서기전 7세기로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 으로 발표되는 중국 동북지역 하가점 하층지역 발굴 사실들에 대한 해석과 제주도 및 오키나와, 규슈지역의 고대 교역에 대한 연구 등을 살펴보면 충 분히, 서기전 7세기 이전부터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이제는 고대 교역에 대해서 비단 문헌자료뿐 아니라 최근 발굴되고 있는 고고학적 성과를 포함하여야 하며 문헌 이외의 동반교역품의 상황과 문화적 측면을 모두 고찰하여야 한다. 이에 본 고에서는 고조선의 해양력 에 대해 고대인의 해상교류 일면을 보여주는 유물로써 개오지조개 (cowries, 海貝·子安貝)를 한 예로 들고 동반교역품과 주변 문화와의 교류 범위를 고려하여 고조선의 새로운 해상교류 범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개오지 조개는 그 서식 범위가 아열대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이것의 채집 가능범위는 아무리 해류에 휩쓸려 들어왔다 하더라도 제주도 남부지 역 이상 올라올 수가 없다. 하나라 화폐였다는 중국 학계 주장 역시 중원 지역은 예로부터 해상활동에 대한 기록이 없는 반면, 만주와 한반도 세력 의 경우 반구대 암각화를 비롯하여 오래전부터 해양활동을 해왔음이 잘 알 려져 있다. 이러한 점은 개오지 조개를 채집, 유통시킨 주체가 중원세력(하 나라)이 아니라 만주 및 한반도 세력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특히 최근 체 질인류학 분야의 연구에서는 하가점 하층문화를 담당했던 주인공들이 오늘 의 한국 사람과 닮은 특징을 소유했던 것으로 밝혀져 당시 활발한 해양 활 동을 통한 교역 주체가 누구인지 가늠할 만한 자료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생산지역과 사용지역이 명확하게 원격 거리로 구분되는 조개 화폐의 유통 및 조달에는 활발한 경제활동의 주체가 있었으며 서기전 1600년대의 시기에 아열대 지방과는 한참 동떨어진 만주 지역에서 다량의 자연패가 출토되었다는 점은 당시 그 지역의 세력이 생각보다 광범위한 교 역을 이루고 있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자연 패(海貝) 뿐 아니라 납으로 주조한 방제패(鉛貝)가 출토되었다는 것은 자연 패의 조달과 유통 시기가 훨씬 더 이전부터 있었다면 해당 지역은 이미 활 발한 교역 네트워크를 영유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그동안 고조선 교역에 있어 적극적 교류를 나타내는 교류 관계에서 한발 더 나아 가 하가점 하층문화 대전자 유적 공동체의 교역 네트워크의 범위는 그보다 확장해서 인식해야 해당 시기 경제행위와 세계관, 문화생활의 실체에 보다 정확히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adianzi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ite of the 1600 B.C. period located in the Chinese city of Aohanqi Chifeng of Inner Mongolia where 1,200 pieces of cowrie shell were excavated. In the Dadazian Site, both natural cowrie shell and replica currency shell were excavated. Also a relic similar to cowrie shell, which is made of lead(鉛貝) was unearthed. Chi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recognizes to some extent the possibility that the lead currency-shaped cowrie shell was not only used as an ornament or a prestige in the community at the time, but also served as a currency. After applying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to cowrie shells collected from shell habitats of coastal area of East Asia, the author tested validity of arguments raised by Chinese scholars, adding a new finding. The cowrie shell relic found in the Dadianzi were easy to carry with an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ability to resist corrosion. It is also widely recognized by Chinese archaeologists that it had usage of quantification which satisfies requirements of currency. This finding raises a need to correct our traditional view on the isolated scope of trade network of the ancient people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commercial or ritualistic trade practices between Xiajiadian communities and it neighboring cultures and remote cultures during the Bronze Age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so far. The customary conception has been that the trade netwok was limited within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The author investigated Moneta cowrie shell’s habitat throughout in continental and maritime East Asia of both ancient times and today. As a result, shellfish from that period until now were found to habitat in coral reef areas of Jeju Island, Okinawa, and south of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finding and confirmation raise us a need to expand the trading scope of people in the Dadianzi community at the time a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existing perception should be extended to add wide-area trade practices beyond the hundreds of kilometers of confined networks with communities including such nearby cultures as. Gaotaishan culture(高殆山文化), Machengzi culture(馬城子文化), Daetuotou culture(大坨頭文化), Shuangtuozi culture(雙砣子文化), Yueshi culture(岳石文化). The finding further demands us to extend the remote trading network between Lower Xiajiadian and Erlitou culture(二里頭文化) in the Yellow River basin. With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their wide world view,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active trading practice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economy, and culture of people in the 1600s before A.D.

      • KCI등재후보

        이도정자(二道井子)유적으로 보는 하가점하층(夏家店下層)문화 주거지 특성

        송옥진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haracteristics of Erdaojingzi site in Chifeng among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The average depth of the cultural deposit at the site was about 8 metres and remains of the surrounding moat and city walls were excavated. The city walls are located within the moat's boundaries. A gentle slope of cultural deposit has formed within the city walls and a number of house remains were found lying along the top of the city walls. The site lies on the slopes of the hills lying to the north of the village of Erdaojingzi in the Hongshan District in Chifeng, Inner Mongolia, and encompasses an area of around 30,000 square metres. A rescue excavation was conducted on the site by the Inner Mongolia Cultural Relics and Archaeology Institute in April 2009, during which time some 5,200 square metres was uncovered. The site itself is thought to be one of the best preserved Lower Xiajiadian culture sites discovered to date and the structures discovered at the site have survived intact. The moat, city walls, courtyards, building foundations, vaults and roadways have provided scholars with a wealth of new information on the settlement patterns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at period 최근 요서지역 하가점하층문화의 많은 유적들의 발굴성과는 청동기시대가 개시되면서 국가단계로 집입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중에서도 이도정자유적은 중국 내몽고자치구 적봉시에 위치하고 있는 하가점하층시대 유적으로 약 5만 평방미터의 면적에 거주지, 가마터, 회갱, 묘지, 성벽과 환호 등700여 곳이 발굴되어 1,5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대형 유적으로 가장 잘 보존된 하가점하층문화 거주지 유적으로 꼽히고 있다. 다른 유적과 달리 토성안에 벽돌로 쌓은 담벼락으로 둘러싸인 집들이 질서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은 공동체 생활을 중요시하는 우리 문화와 매우 흡사한 마을 구조이다. 전체적으로는 해자, 성벽, 주거지, 묘지의 네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계획된마을 구조는 이 시기 취락 형태와 가족 조직 및 주변 지역과의 광범위한 교류형태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아직 정식발굴조사보고서가 나오지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겠지만 고조선과 직접 연계되는, 특히 주거지 유적에 대한 특징을 한반도 지역 거주지 유적과 비교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삼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고고학으로 살펴본 紅山文化와 고조선

        송옥진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7

        본 연구는 고조선의 영역 중 요서지역에서 발전했던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의 계통성을 고고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하가점하층문화의 고고학적 성과가 계속될수록 이 지역 선후대 문화의 계통성, 초기 청동기시대의 진입 시기 및 발견된 유물과 유적은 한국과 중국의 문헌 기록에서보이는 고조선과 부합한다. 지역적으로는 선대문화인 홍산문화가 그대로 고조선문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유물에서 보이는 홍산문화 요소는 소하연문화 시기를 거쳐 계승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주거지, 인적구성, 석성, 토기, 채회도의 문양 등에서 보이는 뚜렷한연관성은 두 문화간 계승성을 판단하게 하는 근거가 될 뿐 아니라 이 문화계열의 전반적인 사유체계에서 그 바탕이 된다. 두 문화의 공통점은 문화간 계통성으로 고조선의 건국 연대의 타당성을 제공하고 주변 문화와의 교류 흔적으로 고조선의 인식 범위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유전학적 구성의 계통성과 주거지 및 석성의 울타리 개념은 한국 고유의 “우리” 개념의시발점으로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홍산문화와 고조선문화, 특히 전기 고조선이라 할 수 있는 하가점하층문화와의 계통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하고자 한다. This is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san culture and Gojoseon Culture. The two cultures developed in the liaoXi among areas of Gojoseon, and their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archaeological aspect. Hongsan Culture was a Neolithic culture that flourished from 4700BC to 3000BC. Xiajiadian Lower Culture was a Bronze Age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 Yoseo region from 2400BC to 1500BC and velongs to the culture of the early Gojoseon period. In particular, the distinct connection shown in the residential area, human composition, moat, stone castle, earthenware, jade, and painting patterns is the basis for showing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Gojoseon culture. It is also possible to know not only the system similarity between the cultures of Hongsan and Gojoseon generations, but also the exchanges with the surrounding cultures. Amo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ultures, I think it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Gojoseon culture in particular is what is called "we/our". The beginning of these concept is compartmentalization, which developed into moat,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collective sprit.

      • KCI등재

        요양 연주성의 제단기능에 대한 검토

        송옥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In this paper, There is a Koguryo castle named Baekam castle in 30km Lioyang. This Castle has feature that looks like Koguryo castle with white outer wall and five chies. This Castle that is near river and cliff in doccument records now is called Yanzhoucheng in China. However, Yanzhoucheng is not Backam Castle yet, because it is very far from Pyeongyang and most Koguryo Castle was white and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There is a square-shaped altar inside castle and there is a circular space. Koguryo, Baekje and Silla, all three countries had the space and the format for the national offer. Especially Goguryeo is recorded that the priests performed rituals stay in the sky in October. It has a festival format that all citizens participate called the "Dongmaeng". So, This Castle, Yanxhoucheung is perhaps a place to working national ritual because this Castle looks like Kanghwa Chamseongdan, and Lioyang is Pyeongyang that was transferred capital by King Jangsu. Two Castle are both dual structure. 요양 동쪽 30km지점 등탑현 연주성촌 마을에는 백암성으로 잘 알려진 고구려성이 있다. 이 성은 석회암재질의 성벽 때문에 외벽이 하얗게 보이고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치로써 고구려성의 특징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강을 끼고 있으며 절벽이 있다는 문헌기록과 부합하여 백암성으로 비정되고 있는 이 고구려 고성은 현재 중국에서 연주성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자치통감의 전쟁기록으로 볼 때 현재의 평양과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대부분의 고구려 성은 하얀색을 띄며 주변 지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축성한 점을 보면 현재 연주성이 백암성임을 확언하기에는 성급하다는 판단이다. 백암에 대한 『요사』의 기록을 보면 “바다-백암-동경(요양)”이 위치한다. 게다가 바다에서부터 15리는 바닷가라는 말인데 현재의 연주성은 “바다-동경(요양)-백암”일 뿐 아니라 그 거리도 바다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또한 이 성의 전체적인 모양이 강화도의 참성단과 매우 흡사하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요양이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했던 평양이라는 연구결과와 맞물려 생각해 본다면 수도근처 국가제의를 행하던 장소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송옥진 ( Song Ok 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2 No.-

        우리 역사에 있어 사상과 철학, 문학을 아우르는 최고의 산물은 단연코 훈민정음이라 할 수 있다. 창제자와 창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데다가 당시 최고의 지성인을 뛰어넘는 세종이 창제하여 창제자와 창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데다가, 제자원리에 언어학적 완벽함은 물론 철학적 사유체계까지 담은 범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이러한 훈민정음의 가치는 훈민정음 해례본이 나온 이후 더욱 견고하게 연구되어 왔다. 단순히 옛 글자를 모방하고 음양오행으로 대표되는 중국 전통사상을 성리학적 서술체계를 따라서 만든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놓아야만 했던 세종의 본의가 해례본에는 담겨 있다. 그 핵심을 본고에서는 천부경의 사상에 기반한 것으로 본다. 이에 해례본과 천부경사이에 어떠한 유사점이 있는지를 해례본 제자원리에 나온 키워드를 바탕으로 다음의 부분에서 설명한다. 하나는 중성 11자의 제자원리에서 ‘·, ㅡ, ㅣ’ 를 기본으로 하는 것은 각각 ‘천(天)·지(地)·인(人)’을 본뜬 것이다. 다른 하나는 중성자를 음양오행으로 풀어 설명한 것에서 ‘ㅣ’는 정해진 자리와 수로 논할 수 없는데 이는 천부경에서 인(人)의 역할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초성, 중성, 종성을 결합함에 있어 초성이 중성을 중심으로 종성으로 다시 사용되는 것은 순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천부경(天符經)이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에서 시작하여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로 끝마치는 것과 결을 함께 한다. Hunminjeongeum Haerye is written by King Sejong and his companion Jeong Inji. In the Haeryebon, Hunmin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and the Three-Elements Theory. However, Haery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hought of Cheonbugyeong. So, I will try to find any similarities between Haeryebon and Cheonbugyeong based on the keywords found in the original Haeryebon. The medial(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11 neutrals are based on ‘·, ㅡ, ㅣ’ and modeled after the shape of ‘haeven, earth, and human’. It was said that vowels do not have a fixed place and number. It can be explained by the role of a person in the Cheonbugyeong. The use of the initial consonant again when combini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signifies a cycle. It is the same as Cheonbu-gyeong, which starts with a one and ends with the one.

      • KCI등재

        대전자유적 납돈(鉛貝)에 나타난 고대 해상교류의 인식범위

        송옥진 ( Song Ok 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0 No.-

        한국문화는 오랜 기간동안 주변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의 유입과 발전을 거듭함은 물론, 고조선 시대부터 내려오는 전통문화 사상인 한국선도의 유출 및 확산이 오늘날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전세계에서 부는 K-food, K-fashion, K-style 및 각종 K-culture 역시 전통문화와 함께 끊임없이 주변 문화와 교류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고대 동아시아의 교류에 대한 인식, 특히 기록이 소실되어 다양한 문헌 자료로 증빙되지 않는 고조선 시대의 교류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일방적 문화유입을 전제하고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지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고조선시대 해상교역이라 한다면 대부분의 연구결과물에서는 『관자』에 나오는 발조선과의 모피교역을 그 상한으로 보고 있고 이조차도 『관자』가 집필된 시기와의 시간적 괴리감을 들어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대 동아시아교역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고조선문화로 추정되는 하가점하층문화의 대표 유적인 대전자유적에서 출토된 납돈을 가지고 고대 해상교역의 인식범위가 기존 연구의 인식범위보다 훨씬 광범위 함을 설명하고자 한다. The Dadianzi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ite of the 1600 B.C. period located in the Chinese city of Aohanqi Chifeng of Inner Mongolia where 1,200 pieces of cowrie shell were excavated. In the Dadazian Site, both natural cowrie shell and replica currency shell were excavated. Also a relic similar to cowrie shell, which is made of lead(鉛貝) was unearthed. Chi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recognizes to some extent the possibility that the lead currency-shaped cowrie shell was not only used as an ornament or a prestige in the community at the time, but also served as a currency. After applying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to cowrie shells collected from shell habitats of coastal area of East Asia, the author tested validity of arguments raised by Chinese scholars, adding a new finding. The cowrie shell relic found in the Dadianzi were easy to carry with an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ability to resist corrosion. It is also widely recognized by Chinese archaeologists that it had usage of quantification which satisfies requirements of currency. This finding raises a need to correct our traditional view on the isolated scope of trade network of the ancient people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commercial or ritualistic trade practices between Lower Xiajiadian communities and it neighboring cultures and remote cultures during the Bronze Age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so far. The customary conception has been that the trade netwok was limited within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The author investigated Moneta cowrie shell’s habitat throughout in continental and maritime East Asia of both ancient times and today. As a result, shellfish from that period until now were found to habitat in coral reef areas of Jeju Island, Okinawa, and south of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finding and confirmation raise us a need to expand the trading scope of people in the Dadianzi community at the time a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existing perception should be extended to add wide-area trade practices beyond the hundreds of kilometers of confined networks with communities including such nearby cultures as. Gaotaishan culture(高殆山文化), Machengzi culture(馬城子文化), Daetuotou culture(大坨頭文化), Shuangtuozi culture(雙砣子文化), Yueshi culture(岳石文化). The finding further demands us to extend the remote trading network between Lower Xiajiadian and Erlitou culture(二里頭文化) in the Yellow River basin. With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their wide world view,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active trading practice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economy, and culture of people in the 1600s before A.D.

      • KCI등재

        고대의 동이인식

        송옥진 ( Ok Jin S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많은 학자들은 만주 요동지역이 고조선시대 강역이었다고 말한다. 또한 그 지역에 존재하던 민족구성을 동이족으로 파악하여 우리 선조의 토대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그간 국내 학자들에 의해 연구된 ‘동이’의 의미를 확인하고 중국측 기록에서 인식된 ‘동이’와 그들의 사서를 인용하는 우리의 동이인식은 어떤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관찬사서인『한서』에는 “東夷天性柔順”이라는 구절이 있어 우리민족은 그 천성이 온순하고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또한 『삼국지』「오환선비동이전」 에는 부여, 고구려 등 고조선 이후 우리 민족 명칭이 나와 있어 이후 우리 역사가 동이전에 편입되는 시초가 되었다. 『후한서』 에는 “동방이 곧 夷이고 夷는 곧 뿌리다” 라는 구절로써 ‘우리 민족은 근원이다’라는 해석을 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 구절만으로 우리 민족성향과 역사를 추론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각 구절을 확인하는 한편 고조선으로 통칭되는 우리민족의 설정을 중국측에서는 어떻게 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 최대의 성인인 공자의 동이인식과 만주지역을 기반으로 한 고조선지역을 통칭하는 ‘맥’에 대해 공자는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확인해보도록 한다. We have called us not ``Hanminjoek``, but ``Dongyijoek`` in these days. It begins with argument that ``Dongyijoek`` had influenced on Chinese or ``Whahajoek``. Especially, this arguments almost emphasize superiority of our nation (Dongyi) with anecdote that The Master ``confucius`` admired ``Dongyi``. So, We have replace meaning of ``Dongyi`` by something to mean our nation in a dictionary. But ``Dongyi`` just means ``Eastern barbarian``, surrounded enemy from China. We recognized ``Dongyi`` as our nation after middle of Choson era. There are some mention in a old bood the latter part of Choson era. In a Chinese record, at first, ``Dongyi`` menas many nations to live in Sandong peninsula and Huai River. And it means all nations to live in eastern ``Liaoning Sheng``. In ``before Jin’, ``Maek`` is word that means north eastern China area, but it is intentionally changed and combined. In Chinese record a first opinion to ``yi`` is just far away area by Sima-Qian`s old history book. It was changed a humble name to near surrounded force at the Age of Chinese Warring States. And then some force was powerful, so the included ``Manju`` and ``Hanbando`` among ``Dongyi``. Now China will assimilate ``Dongyi`` there history. But ``Dongyi`` occurred frequently just at Choson era. We have to record the history with independance history mind froe one word ``Dongyi``. We don`t insist on our opinion that our history is right. But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we never allow another opinion to history intactly. For that we need to observe and express our history on our point of view not Sinocentrism.

      • KCI등재

        『삼국사기』 말갈(靺鞨)에 대한 기록 검토

        송옥진 ( Song Ok-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1 No.-

        동아시아 역사, 특히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 위치로 인해 국가 간협력체계를 갖기도 하고 대치상황을 갖기도 하는 등 그 교류가 끊임없었다. 국가 간 상호협력이 꼭 필요한 현재는 이전에 존재했던 국가체제가 과연 누구의 것이었느냐는 소유권을 주장하기보다는 같은 역사를 공유한다는 역사인식 속에서 양국이 협력하고 경제적, 문화적상승효과를 내어 동아시아 평화를 모색하는 것이 더욱 절실하다는 생각이다. 이에 한국과 중국, 양국의 교량역할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말갈’에 대한 양국의 역사인식에서 평화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도, 중국에서도 대부분이 말갈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을 『북제서』로 보고 있다. 그러나 『북제서』에 기록된 말갈의 사신파견기록보다 더 많은 횟수의 말갈기록이 한국사서 『삼국사기』의 전 편에 걸쳐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삼국사기』 말갈 관련 자료를 집중 검토해 보기로 하며 이와 함께 한국과 중국의 말갈 관련 기록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삼국사기』의 ‘말갈’괄녈 기록을 검토하여 말갈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몇 가지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초기 말갈의 위치에 대해서는『삼국사기』 제일 첫 기록인 BC 37년 고구려 건국시 졸본천 주변이 예로부터 말갈집단 거주지역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에 고구려의 북쪽에 위치한 말갈이 고구려의 변경은 한번도 침입하지 않았다는 것에서 유추할 수 있는 고구려와의 친연 가능성, 이후 말갈세력을 기반으로 한 발해가 해동성국으로까지 성장할 수 있는 데에 기여한 말갈이 위치한 중심지역의 지리적 중요성, 마지막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와 견줄 만큼의 말갈의 정치적 역량 등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사서 검토에 있어서 중요시 되지 않았던 『삼국사기』내에 80여건의 말갈관련 기록으로 생각해본 것들을 추후 다른 사서들과 교차 검색해 본다면 좀 더 많은 말갈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을것으로 기대해 본다. South Korea constantly have been exchanged with China for a long time. Histioy is meaningless to argue who has national system of past tears in history. Rather it is wise to aim for economic and cultural synergy.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historical awareness that they share the same history. This is the way to seek peace in East Asia. We sill research “Malgal(Mohe)” as a bridge between two country for peaceful cooperation in history. The earliest records of Mohe is known as “Book of Northern Qi”. But there is more facts in “Samguksagi” The first is the location of Malgal(Mohe). Jolbon is residential district of Malgal in BC 37. Malgal that located in northern Goguryeo had not invaded Goguryeo. It is foundation that Balhae who base on Malgal grow as ‘Flourishing Land in the East’ in friendship with Goguryeo. It show s geographical importance of center located Malgal. Finally, it shows political ability of Malgal such as Goguryeo, Baekje, Silla’s. We expect to find more information of Malgal in Samguksagi as cross-searching 80’s Malgal records with the other librarians.

      • KCI등재

        Korea-Japan Academic Cooperation Disputing the Chinese History Expansionism

        남창희,송옥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Along with its rise as an economic giant, China has rattl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its Asian neighbors with its unprecedented maritime assertiveness over Senkaku/Diaoyudao and the disputed islands in the South China Sea. Chinese government-funded researchers all of sudden started to claim that the ancient Korean kingdoms, Goguryeo and Balhae, belonged to China. The Chinese unwelcome claim that ancient Korea was a part of Chinese Empires are often based on arguments politically-driven and fabricated from Japan’s colonial assimilation education process in the occupied Korea since 1920s. This co-work explores a possibility whether Koreans and Japanese can open new window of academic cooperation regarding the Chinese ancient history distortion and territorial expansionism. The small step of good will rendered by Japan can snowball into self-amplifying resonance of mutual trust between Korea and Japan, working positively for settlement of the mounting territorial disputes among the concerned parties in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