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혈소판증가증 감별진단을 위한 ADVIA 120을 이용한 혈소판지수의 유용성 평가

        송영희,박순호,김정은,안정열,서일혜,박필환,김경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9 No.6

        Background : For the diagnosis of essential thrombocythemia (ET), no single clinical or laboratory finding of diagnostic value is available and a differential diagnosis of other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or reactive thrombocytosis (RT) is needed. Following recent developments in automated blood cell analyzers, various platelet indices can now be measured.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platelet counts and 6 platelet indices can be us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ET from RT in patients with a platelet count of 600×103/μL or more. Methods : The subjects studied were 31 patients with ET and 224 patients with RT. The platelet counts, mean platelet volume (MPV), plateletcrit (PCT),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DW), mean platelet mass (MPM), mean platelet component concentration (MPC) and large platelets (LPLT) were measured by ADVIA 120 (Bayer Diagnostics, USA). The mean values of each item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patient groups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item in the diagnosis of ET were determined by ROC curve analysis. Results : In essential thrombocythemia, all parameters except MP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reactive thrombocytosis. For the diagnosis of E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4.2% and 84.4%, when the platelet count was ≥820×103/μL; 80.6% and 80.0%, when the plateletcrit was ≥ 0.63%; and 64.5% and 99.1%, respectively, when LPLT was ≥23×103/μL. Conclusions : The platelet counts and platelet indices are useful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rombocytosis. The plateletcrit and LPLT are particularly useful for the diagnosis of ET when the platelet count is markedly increased. 배경 : 진성혈소판증가증은 진단을 위한 단일 임상적 혹은 검 사소견이 없어 항상 다른 골수증식종양 및 반응성혈소판증가증 과 감별이 필요하다. 자동혈구계산기의 발전으로 다양한 혈소 판지수들의 측정이 가능해졌고, 이에 저자들은 혈소판 수 60만 이상인 진성혈소판증가증과 반응성혈소판증가증 환자 양군에 서 혈소판 수와 혈소판지수 6개 항목의 비교를 통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지 분석해 보았다. 방법 : 진성혈소판증가증 31명과 반응성혈소판증가증 224명 을 대상으로 ADVIA 120 (Bayer Diagnostics, USA)으로 측정 한 혈소판 수와 평균혈소판용적, 혈소판용적치, 혈소판분포너 비, 평균혈소판중량, 평균혈소판성분농도, 거대혈소판지수의 평균과 범위를 비교하고 각각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ROC 분석 을 통해 구하였다. 결과 : 진성혈소판증가증에서 평균혈소판성분농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혈소판 수가 820×103/μL 이상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4.2%, 84.4%였고 혈소판용적치가 0.63% 이상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 는 각각 80.6%, 80.0%였고 거대혈소판지수가 23×103/μL 이 상일 때 민감도는 64.5%, 특이도는 99.1%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혈소판증가증 환자의 감별진단에 혈소판 수 및 혈소판 지수의 비교분석은 유용하며 특히 혈소판 수가 크게 증가된 환 자에서 혈소판용적치와 거대혈소판지수를 비교하면 진성혈소 판증가증을 감별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특별이용자제도에 관한 연구

        송영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2 No.4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 현황을 파악하고자 도서관 홈페이지를 조사하여 24개의 도서관을 선정하고 각 대학도서관의 특별이용자제도와 대출정책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또한 외부이용자를 위한 특별이용자제도 도입시 고려할 사항을 다루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gulations and circulation policies regarding external users of twenty four university libraries opening their services to communities. Also several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about introducing external user library services for commun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목표안정성과 자존감의 매개역할

        송영희,이윤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한글판 단축형 GABS 비합리적 신념 척도를 제작하여 타당화하고, 비합리적 신념, 목표안정성, 자존감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목표안정성과 자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전남,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결과 한글판 단축형 GABS는 1개의 합리성 요인과 5개의 비합리성 요인(자기비하, 타인비하, 성취/편안함 욕구, 인정욕구와 공평성 요구)이 나타났으며, 우울집단이 비우울집단에 비해서 합리성이 낮고 비합리성 요인(자기비하, 타인비하, 성취/편안함 욕구, 인정욕구와 공평성 요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 합리성 요인과 비합리성 요인(자기비하, 타인비하, 성취/편안함 욕구, 인정욕구와 공평성 요구) 중에서 자기비하와 성취/편안함 욕구가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 목표안정성과 자존감이 대학생의 우울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비하, 성취/편안함 욕구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목표안정성과 자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ened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goal stability,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39 college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ened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yielded one rationality factor and four irrationality factors. Additionally, those showing depression exhibited lower level of rationality and higher level of four sub-scales of irrationality than those showing no depression. Finding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self-downing and the need for achievement and comfort were substanti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Finally, goal stability and self-esteem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ion.

      • KCI등재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초기부적응도식 척도의 타당화

        송영희,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is study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ema Inventory for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2,029 adolescents in 10 elementary schools(the fourth-, fifth- and sixth-year students from 30 classes) and 10 junior high schools(the first-, second- and third-year students from 30 classes), 155 delinquent adolescents from Yeungnam provi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yield satisfying fits for a 34-item Korean Schema Inventory for Children. Nine Early Maladaptive Schemas scales were found to have adequate reliability of the original 11 schema factors. Insufficient Self-Control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external behavior problems in adolescents. Vulnerability and Loneliness/Mistrust/Abuse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rnal behavior problems in adolescents. Delinquent adolescents displayed a higher severity of seven maladaptive schema(Loneliness/Mistrust/Abuse, Vulnerability, Defectiveness, Failure, Submission, Unrelent Standards, and Insufficient Self-Control) as compared with normal adolescents. This study supported the us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hema Inventory for Children in counseling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초기부적응도식 척도를 타당화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영남지방의 10개의 초등학교(4, 5, 6학년 30학급)와 10개 중학교(1, 2, 3학년 30학급)에 재학 중인 2,029명의 청소년들과 155명의 비행청소년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한 결과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초기부적응 도식 척도는 11개의 하위 도식으로 묶어진 미국판 아동․청소년용 도식 척도와는 다르게 외로움․불신․학대, 취약성, 결함, 실패, 굴복, 가혹기준, 자기희생, 융합, 통제부족도식으로 이루어진 9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부족 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핵심도식이고 취약성 및 외로움․불신․학대 도식이 내재화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핵심도식으로 나타났다. 비행청소년 집단과 일반청소년 집단 간에 초기부적응도식 하위척도 9개 중 7개 하위척도(외로움․불신․학대, 취약성, 결함/수치심, 실패, 굴복, 가혹기준, 통제부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초기부적응도식 척도가 아동․청소년 상담현장에서 초기부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타당한 척도임을 알 수 있다.

      • 도서관 봉사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송영희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04 사대도협회지 Vol.5 No.-

        이 논문은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이 2003년 실시한 이용자요구 및 만족도 조사를 설문한 결과에서 이용자 만족도에 관련한 사항만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조사된 내용은 도서관 시설 및 환경, 이용자봉사 ,이용자정보검색시스템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tent of user satisfaction to the library services in the survey carried out by Central Library of Dong-eui University in 2003. In this study, library equipment and facilities, user services and DELIAS(Dong-eui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Automation System) are examined and analyzed. As a result, several considerations are suggested for enhancement of the extent of user satisfaction to the library servic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절각도에 따른 근 피로도와 등척성 훈련 전이효과

        송영희,권오윤,Song, Young-Hee,Kwon, Oh­Yun 대한인간공학회 2006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5 No.4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transfer effect to other joint angles and the angular specificity of muscle fatigue after 6 weeks of isometric training of the vastus medialis.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0° and 90° knee flexion groups and were trained at 80%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MVIC)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pre-and post-training values of the 80% holding time(endurance time) of MVIC, the Fatigue Index(FI), and the MVIC at 30°, 60°, and 90° were compared. After isometric training for 6 weeks, in the 30° knee flexion group, FI decreased significantly(p<0.05) only at 30°, which was the training angle; there was no change at other angles. By contrast, in the 90° knee flexion group, FI decreased significantly(p<0.05) at both the trained angle and at the other angles, indicating a transfer effect of training. MVIC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p<0.05) at any trained angle in either the 30° or 90° knee flexion groups after 6 weeks of isometric training, neither did the 80% holding time of MVIC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with pre-training in either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aining at 90° of knee flex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ining at 30° of knee flexion for obtaining a training transfer effect on muscle fatigue in the vastus medial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