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BL 방법론을 적용한 영어관리회계 수업 사례

        송승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1

        PBL(Problem-Based Learning)은 현실문제 해결능력을 중요시 하는 경영학 교육에 적절한 학습법이다. PBL은 구조화되지 않은 특정의 문제를 학습자들이 팀별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탐구하며 스스로 습득해 나가는 학습자 주도학습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S대학교의 관리회계 과목의 학부 영어강의에 PBL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PBL의 핵심요소인 문제의 선정, 팀구성, 진행 및 평가의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과목의 성격과 학습자 규모에 따라 팀 과제를 진행하면서 PBL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PBL수업 수강 전과 수강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플립러닝 전략적 수업 설계 및 방법론

        송승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결합 형태인 블렌디드 러닝에서 더 나아가 예습 중심의, 학습참여자 중심의 수업형태를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이라 한다. 플립 러닝은 예습으로 수업 준비가 완료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수업 시간에 토론과 문제해결과정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아 많은 교수자의 참여를 현재까지는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자가 단순한 지식 전달자에서 벗어나 전문성을 갖춤과 동시에 전략적으로 수업을 구성 및 설계하는데 필요한 준비사항, 실제 과목을 운영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방법론, 그리고 플립러닝 상황 하에서의 오프라인 팀 활동 활성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플립 러닝의 장단점을 살펴보며, 플립 러닝을 위해 도입한 여러 장치들의 효과들을 살펴보고 그 개선점 및 적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서도 논의함으로써 향후 경영학에서 더 나아가 여러 사회과학 과목들에 플립 러닝 방법론 적용이 가능하도록 이상적인 플립러닝 적용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key purpose of flipped learning is to encourage students in students’ oriented active learning and to gain students first exposure to material outside of class using online materials. Despite many strong points of flipped learning method, mix of online and offline class, it is still hard to find useful guidelines on how to design classes and lectures based on professionalism and strategies. Thereby this paper pursues to research strategic class design methods, off-line team discussion skills and pre-requisites for running flipped learning classroom. Besides this paper discusses the pros and cons of flipped learning, the effect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ters that require reten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s. The strategic flipped learning in-class design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deep and active learning’ through flipped learning as in the other social science major classes as it did in management major.

      • KCI등재

        PBL 방법론을 적용한 영어관리회계 수업 사례

        송승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is paper explains the motiv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world business approach to teaching accounting in a undergraduate upper level class to facilitate a shift in student learning from traditional passive listening to active participation.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is an innovati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PBL(Problem-Based Learning).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effects of PBL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 solving skills by actively searching for necessary information to solve problems given by the instructor. Students worked together in the same team for an entire semester so there was an intended focus on teamwork in solving unstructured real-world accounting cases presented to student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right’accounting education model, not just based on calculation-only and memorization focused traditional accounting education model and to suggest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tips.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PBL to be effective in terms of activ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ey success factors when applying PBL is provided in this paper and the paper also addresses some limitations of the PBL approach. 경영학 수업은 특히 타 전공에 비하여 지식의 습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례 및 문제해결에 기반을 두고 진행되어야 한다는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관리회계 수업에 PBL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학습자는 교수자가 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스스로 찾아가면서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스스로 결정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회계수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율적 회계교육 모형을 설계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BL 방법론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를 측정하도록 설계하고, PBL 적용에 있어서 주요 성공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향후 교육자가 학습자의 이해가 부족한 영역을 중점적으로 강의하며 PBL을 설계함으로써 회계교육의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을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에서 모두 PBL 수행 이후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설문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PBL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타 연구방법론과 함께 회계교육 및 경영교육효과 향상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온라인 협력학습 회계수업 적용방안 및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송승아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his study tried to explore factor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a University's online cooperative learning Q&A. Due to the Corona situation,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can easily feel psychological isol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ll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one of the method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o various teachers and learners by sharing class cases in which the online cooperative learning methodology was applied. Previous studies on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ing promotion method were reviewed, and the online Q&A method was adopted as a specific learning promotion method to conduct research. In the Q&A process, learner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check their learning content, share knowledge and communicate, and performance evaluation-related factors such as guaranteeing anonymity of the questioner and answerer, improvement points system, and absolute evaluation were ask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y are the success factors of online cooperative learning. It is a small change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in the future where online non-face-to-face learning is likely to continue, but by sharing meaningful cases of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ologies,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being motivated and actively involved in.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suggest method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skills together by changing and supplementing the learning field. 본 연구는 S 대학교의 온라인 협력학습 질의응답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비대면 교육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상황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시행으로 인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심리적 고립감을 느끼기 쉬우며 학습 무기력 상태에서 혼자 공부하여야 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하는 어려운 시기에 온라인 교육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최소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온라인 협력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학습과 온라인 협력학습, 학습 촉진 방법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인 학습 촉진 방법으로 온라인 질의응답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묻고 답하기(Q&A)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지식을 나누고 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질문자와 답변자의 익명성 보장, 향상점수제, 절대평가와 같은 성과평가 관련 요소들이 질의응답을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의 성공 요소로 설문 분석 결과 밝혀졌다.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미래에 실제 적용 가능한 작은 변화이지만 유의미한 교수방법론 적용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 현장을 바꾸고 보완해 함께 실력을 향상해 나갈 방법 및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회계교육과 IT 활용능력

        송승아,백태영,이정미,배홍기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저널 Vol.28 No.5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는 시급히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4 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미래의 인재를 키우는 교육 분야에서는 더욱 변화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IT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실무에서는 회계처리, 보고 및 감사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있는 회계교육은 이론에 입각한 강의식 수업인 전통적인 교육 과정에 머물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회계IT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한 대학 회계교육의 변화 필요성을 재확인하며, 해외 대학들의회계IT교육 사례조사를 통하여 인공지능(AI) 시대의 빅데이터와 블록체인 관련 데이터 활용 및 분석을 위한 IT 활용능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 과정을 알아보며 또한 미국, 싱가포르, 호주의 주요대학들의 회계IT교과과정 커리큘럼을 소개한다. IT 활용능력 강화를위한 대학의 회계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회계전문인력 양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paration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urgently carried out in all spheres of society, and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ng future talents who must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accounting, reporting, and auditing in practice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ccounting education currently in college remains in the traditional curriculum, which is a lecture class based on theory. There is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parations for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status of accounting I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reaffirms the necessity of change of university accounting education due to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this study, we also will look at the curriculum provided by overseas universitie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the IT utilization ability for utilizing and analyzing big data and block chain related data in the AI period. By presenting and introducing IT focused accounting education curriculum examples to improve accounting education of universities in order to strengthen IT utilization ability, we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ducating professional accounting manpower suitable for the chang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자아 표현과 SNS 게시 형식: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송승아,신형덕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People use various tools to present themselves includ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hereafter). This study categorized three types of presentation of self, which are genuine, ideal, and social self, and based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investigated if these types of presentations have any patterns related to SNS posting styles.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styles of hashtags including if hashtags are used in the main tests, if hashtags are hidden, and what kinds of words are used for hashtags. Using 450 posting data uploaded to the Instagram, we found that the posting presenting ideal self show very high rate of using hidden hashtags(98%) and using common expressions(97%), which are not the case for genuine and social self types. This results imply that people concern more about their impressions especially when they present their ideal self on SNS, partially confirming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사람들은 본인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도 그러한 수단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표현되는 자아의 유형을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에 등장하는 개념들에 기반하여 본연적, 이상적, 사회적 자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이 특정한 게시 형식을 갖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게시 형식으로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해시태그의 사용에 주목하여 해시태그의 본문 혼용 여부, 해시태그의 숨김 기능 사용 여부, 그리고 해시태그에서의 용어의 특성에 주목했다. 인스타그램에서 수집한 450개의 게시물의 해시태그 사용 방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상적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에서는 해시태그를 숨기고(98%) 일상적 용어를 사용하는(97%)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결과는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사람들은 본인의 가면을 쓴 모습에 대해 더욱 섬세한 인상관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출자・출연기관 외부회계감사의 필요성 및 감사범위 결정에 대한 연구

        송승아 한국정부회계학회 2020 정부회계연구 Vol.18 No.3

        출자・출연기관의 공공성을 고려하여 회계투명성과 수탁책임관점에서 외부회계감사의 필요성을 살 펴보았으며, 국내 및 해외 회계감사 기준에 대한 검토 및 비교분석을 통한 감사대상 범위 확대의 필요 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2014~2017년 재무자료(지방재정 365)에 근거하여 자산, 수익, 부채, 종업원 수 기준으로 시뮬레 이션 수행 분석 결과, 선진국의 기준에 준하면서 국내 시장의 여건을 감안하여 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 는 수준으로 상속세법 및 외감법과 더욱 유사한 형태로 ‘수익 50억 이상인 기관’ 혹은 ‘자산120억 미 만, 수익50억 미만, 부채70억 미만, 종업원 수 50명 미만 중 3개 이상에 해당되지 않는 기관’은 의무적 으로 외부회계감사대상이 되는 안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고 약 39%의 기관들이 선정되었다. 출자・출연기관의 외부감사 의무대상의 범위를 확대해 회계투명성과 부패와 비리 예방가능성을 높임 으로써 사회적비용은 오히려 감소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출자・출연기관의 형태나 목적에 따라 외 부회계감사가 필요한지는 더 연구해보아야 할 일이지만 단순히 규모가 작고 영세하다는 이유로 회계투 명성 이슈를 비켜가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출자・출연기관의 외부회계감사 범위확대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of the government funded agency, the need for external accounting audit was ra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f the institution. Research on the need for external audit by government funded agenc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ing transparency and consignment responsibility along with external audit standards under related laws of current government funded agency.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non-profit audit standards and overseas non-profit corporations was performed. Utilizing 2014-2017 financial data (local finance 365), simulation results based on assets, revenues, liabilities, and number of employees (Institutions that do not fall under 3 or more of ‘assets less than 12 billion’, ‘profits less than 5 billion’, ‘debts less than 7 billion’, and ‘fewer than 50 employees‘) show that about 39% of institu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posals that are subject to mandatory external accounting audit. It can be expected that social costs will rather decrease by increasing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possibility of preventing corruption and corrup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external audit obligations of government funded agenc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allow the issue of accounting transparency to be dismissed simply because of its small siz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ternal accounting audits by government funded agency was a task that should not be delayed any longer.

      • KCI등재

        탄소섬유/폴리아마이드 6,6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향상

        송승아,온승윤,박고은,김성수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6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CFRTPs)의 물성은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탄소섬유 표면에 Sizing되어 있는 에폭시(Epoxy) 층은 열가소성수지와 상호 작용(Interaction)이 없어 매우 취약한 계면을 형성하며, 열가소성 수지의 높은 용융 점도(Melting viscosity) 는 탄소섬유 다발(Bundle) 사이로 함침(Impregnation)이 어려워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 내부에 기공(Void)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탄소섬유와 열가소성 수지 간의 낮은 계면전단강도(Interfacial shear strength)은 탄소섬유강화열가소성 복합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CFRTPs)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호작용이 없는 탄소섬유 표면의 에폭시 층을 열풍을 통해 제거하고, 열가소성 수지의 점도를 낮춰 함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액형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여 탄소섬유 표면에 Sizing 처리 함으로써 CFRTPs의 물성을 향상시켰다. CFRTPs의 층간전단강도(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 및 굽힘 강도(Flexural strength)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으며, 수지의 함침도는 기공률(Void content) 의 계산을 통해 분석하였다.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CFRTP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One of the them are poor compatibility of the epoxy sizing layer on the carbon fiber surface with thermoplastic matrix, which causes the inferior interfacial strength between fibers and matrix. In addition, the high molten-viscosity of thermoplastics attributes to the poor impregnation state. Consequently, many voids in the composite materials were generated, which leads to poor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composites. In this study, the epoxy sizing on the carbon fiber surface was removed and the polyamide 6,6 solution was coated on the de-sized carbon fiber surface to improve the impregnation state and mechanical properties.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 of CFRPTs was estimated by implementing short beam shear tests. In addition,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and the impregnation state of the composites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void content.

      • KCI등재후보

        법인대표의 대표권남용과 배임죄의 기수시기 - 대법원 2017. 7. 20. 선고 2014도1104 전원합의체 판결 -

        송승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9 법률실무연구 Vol.7 No.1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by a failure to act responsibly for someone who has given duty and acquire the property benefit himself or by letting a third party acquire property benefit as a result establish damage for himself (Article 355(2) of the Criminal Act). Supreme Court has been ruled that ‘the risk of actual harm’ is included in ‘property damage’ in the breach of trust cases consistently. If the breach of trust(crime) is comprehensively examined, it is difficult to become completion point at the stage when the profit or loss is not specified. It is inevitable legal instability due to the expansion of ‘dangerous beings’(concrete dangerous beings) that are not stipulated in the regulation of the criminal law. To limit the punishment of corporate management, only the actual damage is to be recognized as a crime.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of Supreme Court decisions, when a person has to bear the legal responsibility because of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when promissory notes are invalidly issued but the promissory notes are nevertheless actually distributed to a third party, the person has completed breach of trus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his liabilities are fulfilled. However, it is legitimate to conclude that the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when the company actually fulfills its obligations on the promissory notes or its tort liability, regardless of whether the act of issuance is legally effective or whether the promissory notes are distributed to a third party.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임무에 위배하는 배임행위를 하여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고 본인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가함으로써 성립한다(형법 제355조 제2항). 여기서 배임죄의 성립요건 중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의 의미에 대해서 대법원은 현실적으로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손해발생의 위험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고 본다(위험범설). 다만 손해발생의 위험은 손해가 발생한 것과 같은 정도의 구체적 위험이어야 한다고 한다. 대상판결은 회사 대표이사 등의 대표권 남용행위를 그 상대방이 알았거나 알 수 있었기 때문에 법률상 무효인 경우에 손해나 손해발생의 위험이 있으면 배임죄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하여 종전의 태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대표권남용의 무효인 약속어음발행에 있어서는 종전의 태도를 변경하여 재산상 손해발생의 위험을 실제로 어음이 제3자에게 유통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배임죄 기수성립을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첫째, 형법이 명문으로 ‘손해를 가한 때’라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손해발생의 위험을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은 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넘어 피고인에게 불리한 유추적용이므로 죄형법정주의에 반한다. 또한 위험범설을 취하게 되면 법익침해의 전단계로서 미수에 이르기 전에 가벌성을 인정하게 되어 부당하다. 이는 사실상 배임죄의 미수범 규정을 사문화시키는 것으로 타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배임죄는 본인에게 현실적 손해가 발생했을 때 기수가 된다고 보아야 한다(침해범설). 둘째, 배임죄는 사기죄와 같이 상대방이 기망행위에 속아 처분행위를 하는 범죄가 아님에도 상대방의 주관적 인식이 있었는지에 따라 기수에 이르렀는지가 좌우되는 것은 형법의 해석론으로 받아들이기 곤란하다. 또한 약속어음의 제3자 유통 시점을 배임죄의 기수시기로 보게 되면 배임행위자가 아닌 그 상대방의 행위에 의해 기수 시점이 결정되어 형벌규정의 해석으로 매우 어색한 결과가 된다. 따라서 대표이사의 대표권남용에 의한 의무부담행위의 사법적 효력에 따라 배임죄의 성립을 판단하는 대상판결은 재고를 요한다.

      • KCI등재

        자율적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경영회계교육 사례연구

        송승아(Song, Seung Ah)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1

        최근 경영 및 회계학 분야에서는 교육 방법 및 교수법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각 논문들은 하나하나의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통합적이고 통찰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여러 교수법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개념인 학습자주도방식 이라는 요소를 적용하여 회계학 교수방법론을 재점검하고 학습자주도의 융합적 교수법 방향인 자율적 협동학습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각각의 기존 교수법안에서 자율적협동학습 모형을 정의 및 설명하며 둘째, 자율적 협동학습을 추가 보강할 수 있는 러닝 퍼실리테이션 부분들에 대한 수업 적용 방안을 탐색 및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자율적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습전이를 경험하고, 탐구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향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in the field of management and accounting,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is increasing, an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m. However, each of these papers is limited to presenting a single teaching method,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research cannot be conducted from an integrated and insightful point of view. This paper intends to reexamine the accounting teaching method by applying the element of the learner-centered method, a concept that penetrates thes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 suggest the co-op co-op method,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learner-centered convergence teaching method. First, the co-op co-op model was defined and explained in each existing teaching method. Second, the class application method for the learning facilitation parts that can further reinforce the co-op co-op was explored and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learners experienced learning transfer through co-op co-op, and improved their inquiry, communication, and think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