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도서관 인터페이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예슬(Yeseul Song),전정현(Junghyun Chun),감미아(Miah Kam),송성전(Sungjeon Song),이지연(Jiyeon Lee)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디지털도서관의 활용도와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성(Usability)이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성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 적용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는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디지털도서관의 특수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디지털도서관 운영 목적 및 사용자 지원, 시스템메뉴와 네비게이션, 동작과 상호작용, 페이지가 제공하는 정보, 시각적 디자인, 피드백 및 도움, 검색 총 7 가지 분류항목에 따라 세부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시한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분석을 통해서는 총 267 개의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디지털도서관 개선 작업 시 실무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popularity and importance of digital libraries are getting higher, usability of the digital librar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more crucial. The user interfac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usability, thus the user interface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easy and convenient usage of the corresponding system. In this study, we developed user interface evaluation heuristics, and applied them t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digital library. The heuristic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braries. The evaluation heuristics include specific criteria according to the seven classification schemes such as purpose of the digital library and user support; menu and navigation; action and interaction; provided information; visual design; feedback and help; and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the heuristics, 267 problems were foun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digital library. Practical and specific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made for each problem to enable immediate implementation of the suggestions when the renovation of the digital library commences.

      • KCI등재

        Content Analysis on Twitter for Identifying Scholarly Activities and Public Use in Informal Communication: With a Focus on Domestic Scholars in Social Sciences

        Jiyoung Shim(심지영),Sungjeon Song(송성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사회과학 연구자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활동 및 대중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범주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참여한 국내 사회과학 연구자 736명을 식별하고, 이 연구자들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드러난 트윗 4,548개를 내용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학술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사회과학자와 일반대중 간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활동 내용, 커뮤니케이션 매체 및 협업 분야의 유형을 식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ntent and public use patterns of social scientists’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Using Twitter data, we identified Korean 736 social scientists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activities with the public, and analyzed 4,548 tweets that revealed their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scientists and the public, which was not previously revealed in scholarly communication, and identified the types of informal communication activities, communication media, and collaborative sectors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