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ㆍ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

      • KCI등재

        漢字文化圈의 再形成과 韓國의 漢字·漢文敎育의 現況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In East-Asia, before modern times, writings in several country were written in Han Character. At that time, because the world of East-Asia belonged to Han Character and Classics cultural sphere, for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naturally they needed Han Character writing. However, after the late 19th century, a great change happened that these traditional writing and recognition system faltered from the foundation. With the innovative changeover of writing system, structural problem of writing style occurred. It shed the order of East-Asian language and writing which used Han Character in common, modern national language was born. Movement of modern national language was not launched unexpectedly on the linguistic side. Modern change and innovation has been a concrete social phenomenon so that it emerged linguistic expression. Modern change and innovation of East-Asian entering upon 20 century were the replacement of academic culture and knowledge system different from the past civilization and regime. For that, East-Asia which had interchanged in a culture sphere before was disorganized by force. It is what changed the linguistic order, which is usage of Han Character that keep East-Asia for a long time modernistic. Each countries came to persue the sentence system and orthography coinciding with their spoken English from linguistic system which had written sentences in Han Character. Thereupon, the circumstance of East-Asian empire has changed largely and got to where we are today. They were boycott of Han Character and Classics culture. Boycott of Han Character and Classics culture was the course that each countries had to experience in the modern age of innovation and connected to dissolution of Han Character culture sphere. But, in other side, it was the consequence that obsession of East-Asia overwhelmed by Occidental civilization had operated in those days. However, in this period East-Asia produce 'Han Character vocabulary' for new language of modern civilization in large scale. It happened on the course of translating Western knowledge and learning system into East-Asian language at that time. East-Asian countries tried to transl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Occidental civilization into national language they newly supported. What is the interest thing on this process is that they translated Western language into Han Character vocabulary originated from Han Character and Classics they tried to boycott. That is, it is that syntactic rules confirmed to national spoken language and the vocabulary which compose contents of sentences replaced it with 'Modern Chinse Character Vocabulary'. This means that accepting the West and developing the national language movement about language they doesn't replace new Western knowledge with Western language or native tongue but did it with Chinse Character and Classics' coinage. However each country of East-Asia except China in 20th century carried out policies that broke with even Han Character Vocabulary. In this situation, Han Character education of Korean in elementary school was excluded in 2007 and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lso, Han Character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was minimuzed much better than before . So, Han Character vocabulary culture sphere of East-Asia is in pinch. Therefore, it needs the research activities of many Asia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bonds. 근대 이전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글쓰기는 한문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세계는 한자·한문 문명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정치·외교·문화적인 소통을 위하여 당연히 한문의 글쓰기가 필요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이후 이런 전통의 글쓰기와 인식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표기체계의 획기적인 전환과 함께 문체의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문을 보편적으로 구사해오던 동아시아 어문의 질서로부터 이탈, 근대적인 국민어가 탄생하였다. 근대적인 전환·변혁이 하나의 구체적인 사회적 현상이 되었기에 그에 대한 언어적인 표현으로 드러난 것이다. 동아시아의 근대적인 전환과 변혁은 과거의 문물제도와는 다른 학술문화와 지식 체계의 전환을 의미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 동아시아는 근대 문명의 새로운 언어로 ‘한자 어휘’를 대량 산출한다. 그것은 당시 서구의 지식과 학문의 체계를 동아시아권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다. 흥미로운 것은 그렇게도 부정하려고 하고 타자화하려 했던 한자·한문의 문화에서 비롯된 한자 어휘로 서구어를 번역했다는 사실이다. 즉 통사구조는 자국의 구어와 일치시키고, 문장의 내용을 구성하는 어휘는 ‘근대 한자 어휘’로 대체했다. 이는 서양을 수용하면서 언어에 있어서 자국어 운동을 전개하며 문자표기와 문장을 언어와 일치시키려는 운동이다. 그러나 20세기의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각국은 한자 어휘마저도 거부하는 어문 정책을 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는 여전히 한자 교육을 배제하고, 중·고등학교의 한문 교육도 이전에 비해 훨씬 축소되었다. 따라서 근대 형성된 동아시아의 한자 어휘 문화권도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학술활동의 국제적인 연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2009 한문과 교육과정 ‘읽기’ 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 分析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is study analys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achievement levels of the 'reading' par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the achievement criteria was focused on learning factors until it was superseded by the achievement levels in 2007 and 2009 revisio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of Classical Chinese pertain to the following: academic year, parts, and learning factors in middle school and the type of schools, parts, and learning factors in high school, respectively.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are more specific compared to that of th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han(한)9112> ‘to read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re depicted as <han(한)9112-1> ‘to read short sentences and prose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nd <han(한)9112-2> ‘to read poetry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In high school curriculum, <han(한)Ⅰ111> ‘to read in accordance with the tune of speaker’ is segmented into 4 achievement criteria, while <han(한)Ⅱ111> ‘to recite fluently enriching the context’ in 5.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curriculum enclose most of the criteria for learning comprehensively. The achievement criteria stating the curriculum are actually the criteria for learning factors, which are for the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Assessment factors are segmented in this mann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criteria can be inferr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learning content and assessment of it. The achievement levels for reading part indicating how far the learner has accomplished are provided with three levels. These levels are presented by ‘learning content and execution'. One problem here reveals tha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measure to evaluate the achievement criteria. Written test is not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criterion such as ‘to be aware of correct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omposing short sentences, prose and poetry and read them aloud’ since filling in correct pronunciations cannot reflect every aspect of reading.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execution test needs quite a large amount of time and does not guarantee fairness with respect to evaluation of reading aloud. In consequence,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require an innovative tool in terms of assessment. 이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7차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는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진술했다. 2007, 2009 교육과정은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한문과의 읽기 영역은 중학교 한문은 1~3學年群別 성취기준과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Ⅰ은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Ⅱ는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되어 있다. 한문과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비교해 보면 성취 기준 요소가 보다 상세하다. 중학교 한문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9112>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에 대한 성취 기준은 <한9112-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문 단문, 한문 산문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와 <한9112-2>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로 나뉘어져 있다. 고등학교 한문Ⅰ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Ⅰ11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는 4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고등학교 한문Ⅱ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Ⅱ111>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는 무려 5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이 다수의 학습 성취 기준을 포괄적으로 담았으며, 교육과정 내용은 성취 기준으로 진술되어 있지만 학습 요소에 대한 성취 기준이며,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 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평가 요소를 보다 작게 세분화했던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 기준은 학습 내용의 성취 기준과 학습 내용 평가의 성취 기준의 관계이다.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대한 성취 수준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중․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상․중․하 3단계의 진술 방식은 ‘학습 내용 + 수행(행동)’으로 진술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문제는 한문과 영역에서 읽기에 대한 성취 기준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 등을 구성하는 한자의 바른 음을 알고 그것을 소리내어서 읽을 수 있는가’의 평가 대상은 지필 형태의 평가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의 단문, 산문, 한시를 수행평가를 통해서 평가할 수 있지만, 평가 내용이 읽기라는 것과 평가 방법이 소리내어 읽은 것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의 시간과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요소는 소리로 읽는 것을 ‘지필’ 형태로 대체하는 방법도 존재하였으나, 그 또한 읽기 요소의 평가를 다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평가 방법에 있어서 획기적인 창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敎育課程에 따른 漢文 敎科의 文化 敎育 可能性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The new curriculum was notified through the website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or KICE. It is scheduled to be applied from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in 2010. This new curriculum, unlike 7th curriculum, set culture as mid-level contents, in order to follow the new cultural and information wave in 21st century. Curriculums so far had only presented educational goal on Classical Chinese culture, not giving specific details nor taking into action. The new curriculum, therefore, under the mid-level of culture, provided four subcontents, which are understanding and succession of tradi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change in Chinese characters region, understanding of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in Korea, and understand- ing Korean classics referring to its history. This is the point where culture education needs to be exactly identified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culture yielded to Western capitalism. Ecologism and natural way of life were regarded useles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However, modernization soon proved to be contradictory. Development led to pollution, and growth threatened the ecosystem. People began to regret, but without philosophical and aesthetic behavior. It is the time for Classical Chinese culture to rise up. Korean poetry, based on universal lyric poetry and aesthetics, manifests fresh style in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Consequently, Classical Chinese culture can be a strong alternative to overcome materialism. Confucian benevolence or filial piety have been considered hackneyed. But we are brainwashed to think so in modern society. We can rather find humanism and ecologism in Confucian benevolence, filial piety, and traditional landscape literature. Culture education in the new curriculum should recognize and accept what is necessary. And we need to be cautious not to let cultural imperialism distort our culture. 새 교육과정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홈페이지를 통해 고시되었다. 새 교육과정은 2010년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새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과 달리 中領域 內容으로 ‘문화’를 설정하였다. 21세기는 문화정보의 시대이므로 그에 맞는 인간형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에 따른 것이다.지금까지의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漢文文化에 대한 교육적인 목표를 선언적으로 제시했을 뿐이지 구체적인 내용과 실천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새 교육과정은 중영역에 ‘文化’를 설정했으며, 그 하위에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한다.’, ‘한국 한문학 작품을 한국 한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이해한다.’로 하였다.바로 여기서 우리는 한문의 문화 교육의 내용을 제대로 정립해야 한다. 한문문화는 19세기 서구 자본주의와의 충돌 속에서 밀려났다. 그 결과 한문문화가 지니고 있던 생태주의나 자연친화적인 삶의 방식들은 근대화에서는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물질주의에 빠졌던 근대는 바로 모순을 드러냈다. 개발은 환경의 파괴로 이어졌으며, 근대화의 성장은 생태계를 위협했다. 모순을 드러낸 개발과 성장은 반성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반성은 구호는 보이나, 철학적 미학적 태도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한문문화의 역할이 가장 필요한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한국 한시는 동아시아 전통문화에서 보편적인 서정 형식과 미학을 기반으로 신선한 풍격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물질주의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한문의 문화가 중요한 구실을 할 수 있다. 근대 들어서 유교의 仁이나 孝는 고리타분한 생각이라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근대가 우리에게 그렇게 세뇌시킨 것이다. 우리는 오히려 유교의 인이나 효와 한국의 산수 자연의 문학에서 인간주의와 생태주의의 이상을 찾을 수 있다.새 교육과정 문화 교육은 이를 인식하고 필요한 것은 받아들이되, 문화제국주의에 의한 우리 문화의 왜곡은 경계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千字文類의 變容과 性格 考察

        송병렬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0 No.-

        Cheonjamun was made by Ju heungsa(周興嗣) in Yang country. It is called ‘Cheonjamun(千字文)’ because it is composed of a thousand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 it is known as a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But in explanation of 『Joo hae Cheonjamun(註解千字文)』, it is a long way from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It summarizes contents of the people’s visions of the universe and nature in Middle ages and Chinese history, geography and so on. The summary was written about authentic precedents. It had been used a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 after it was made by Ju heungsa(周興嗣). Many of Cheonjamun were used for teaching materials of pancraft of Cho-soe(草書)or Hae-soe(楷書).There are many kinds of Cheonjamun like Ju heungsa’s Cheonjamun. For example, there are Kyungseojipgu Cheonjamun(經書集句千字文) by Hong Seokmo and Byeol Cheonjamun(別千字文) by Hong Huijun and Daedong Cheonjamun(大同千字文) and so on. These kinds of Cheonjamun is same form as Cheonjamun, but has different contents. These have several characters. First, it has character of summaries of story. They have features that were summarized contents of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經書) on 4 phrases. Second, they are gatherings of authentic precedents. Most passages includes contents of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 so they play roles as authentic precedents. Third, they have educational characters. They have educational effects as memorizing books, because they summarize contents about history and Confucian classics to memorize them. 『千字文』은 양나라의 주흥사가 만들었다. 일천 개의 한자이므로 ‘천자문’이라고 불린다. 4언 250구의 古詩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자 학습 교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해천자문』의 풀이를 보면, 한자 학습의 교재와는 거리가 멀다. 중세인들의 우주관, 자연관, 중국의 역사, 지리 등의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그 요약은 전고(고사)로 작성된 것이다. 많은 천자문은 초서나 해서의 서법의 교재로 쓰였으며, 한자 학습의 교재로 활용된 것은 주흥사가 천자문을 만든 이후이다. 조선 후기에는 주흥사 천자문과 같은 천자문류가 간행된다. 홍희준의 『별천자문』, 홍석모의 『경서집구천자문』 등이 그것이며, 이후 일제강점기 이후의 『세창이천자문』, 『대동천자문』 등의 천자문류도 있다. 이들 천자문류는 『천자문』과 같은 형식이긴 하지만, 『천자문』과는 다른 내용이다. 『別千字文』은 중국의 역사와 문화, 『經書集句千字文』은 각종 경서의 구절, 『大東千字文』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 속담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들 천자문류의 성격은 여러 가지이다. 첫째, 요약집의 성격이다. 역사, 경서 등의 내용을 4구로 요약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둘째, 전고의 모음이다. 구절마다 대부분 경서와 역사의 내용들이 들어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전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셋째, 교육적 성격이다. 역사나 경서에 대한 내용을 암기할 수 있도록 요약하였기 때문에 암기서로서 교육적 효과를 지녔다. 또한 자학의 학습과 서법의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적 성격이 매우 강했다.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中等學校 漢文 敎育의 接木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현재 初等學校의 漢字 敎育은 주로 漢字와 漢字語 및 故事成語 등을 學習 內容으로 삼고 있다. 中·高等學校의 漢文 敎育은 주로 漢文 文章을 학습 내용으로 삼고 있다. 初等學校의 漢字 學習 內容은 현재 우리 言語生活에서 사용되는 漢字 語彙(漢字語)를 위주로 한 것이며, 중·고등학교의 한문 학습은 20세기 초까지 創作되었던 漢文學 作品에 쓰인 漢文 文章 등이다. 漢字語와 漢文의 두 학습 내용은 전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國語體와 漢文의 統辭構造와 한자로 쓰인 漢文體의 相互 關係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言語의 文體는 表記를 비롯하여, 統辭構造, 語彙, 修辭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우리 민족이 역사적으로 사용했던 문체는 매우 다양하다. 첫째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둘째 朝鮮風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한역 어휘(우리말을 한역한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셋째 壬申誓記石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넷째는 吏讀鄕札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가차 어휘(우리말을 한자의 뜻과 음을 가차하여 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다섯째는 口訣풀이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 및 구결 등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여섯째는 口訣懸吐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구결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일곱째는 經書諺解體와 한글懸吐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여덟째는 國漢文混用表記 國語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아홉째는 한글轉用 國語體이다. 표기는 한글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체는 국한문혼용 국어체와 한글전용 국어체이다. 이들 국어체는 한문체에 구결이나 한문체를 언해한 국한문혼용체에서 발달한 것이다. 현재의 국어체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문장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자 어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순수한 국어체가 존재하기는 하나, 일부 시에서만 가능할 뿐이며 언어생활 전반에서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가 동시에 사용되는 국어체이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국어체와 한문의 통사구조와 한자로 쓰인 한문체는 역사·발전적 상호 관계가 있다. 한편 해방 이후 초등학교의 한자 교육은 방향성을 상실하고 우왕좌왕하다가 한자․한문 교육을 도외시하는 쪽으로 진행 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을 연계할 필요가 생겼다. 상호 연계의 근거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한자 어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박지원의 『열하일기』, 정약용의 『목민심서』 등과 같은 수많은 한문 작품이 오늘날의 ‘국어체’로 번역되어 읽히고 있다. 이는 한문의 독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한자 어휘가 사용되고, 한문학 작품이 ‘국어체’의 문장으로 독서된다는 것은... In elementary schools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in practical words and phrases. In Classical Chines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produc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s taught. These two materials may be perceived as not correlated at all. Therefore correlation between modern Korean style with practical Classical Chinese words and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Chinese syntax and Chinese characters needs to be explicated. Stylistics includes orthography, syntax, vocabulary, and rhetoric. Historically, Korean people have used diverse styles. First, Classical Chinese style: Classical Chinese orthography, vocabulary and syntax. Second, Joseon Classical Chinese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nd Korean vocabular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and Classical Chinese syntax. Third, Imsinseogiseok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and vocabulary with Korean syntax. Fourth, Idu-Hyangchal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and phonetically loaned vocabulary, and Korean syntax. Fifth,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interpreted gugyeol: Classical Chinese orthography along with Hangeul and gugyeol,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Classical Chinese syntax. Sixth,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gugyeol annotation: Chinese characters and gugyeol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Sino-Korean syntax. Seventh, Confucian classics annotation style and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Hangeul annotation: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Sino-Korean syntax. Eighth, Sino-Korean combination Korean style: Chinese and Korean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and Korean syntax. Ninth, Korean Hangeul style: Korean orthography and syntax with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Modern Korean style, developed from Sino-Korean orthography which interpreted or annotated Classical Chinese with gugyeol, is a combination of Classical Chinese style and Korean style and in consequence it has vocabulary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Korean style eliminating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is only written in poetry. Accordingly modern Korean style is historically and developmentally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style. Meanwhil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confused over past 60 years, then such education was disregarded.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to be linked. The reason lies in the common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in Classical Chinese style and Korean style. Numerous Classical Chinese works such as Yeolhailgi and Mokminsimseo are read nowadays. They are translated in modern Korean style.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and Classical Chinese works translated into Korean style require basic Chinese characters/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for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officially introduc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long with its basic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

        現代 漢字文化圈의 文字 使用과 漢字의範疇에 關한 一考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본 논문은 東아시아의 漢字文化圈의 再編成에 따른 ‘漢字의 範疇’에 대한 연구이다. 中世 東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漢字를 普遍的 文字로 使用해왔다. 內部的으로 國家의 管理와 經營에 必要한 大部分의 文書 管理를 漢字를 使用한 漢文으로 表現하고 使用하였다. 이에 따라 漢文은 多樣한 文體로 使用되었다. 19世紀末 東아시아의 漢字를 媒介로 한 文語 體制에 分裂이 생겼다. 中國은 淸末부터 文字 改革을 通하여 文言文을 解體하고 簡化字의 使用을 통해서 傳統의 漢字인 繁體字에 變化를 주었고, 白話文의 定着을 通해서 言文一致를 實現하였다. 日本은 메이지 時代 때부터 國字 文字와 言文一致의 問題를 提出한다. 특히 ‘國家’ 意識 成立과 함께 國語의 槪念을 成立시키고, 오늘날의 仮名(가나) 政策을 確定한다. 韓國은 1894년 이후 漢文의 文體를 버리고, 國漢文體를 거쳐서 國文體를 成立하고 끊임없는 한글 政策을 통해서 한글 專用을 政策的으로 成功시킨다. 近代 東아시아 言語의 語彙 政策은 西歐의 學問을 漢字語彙로 飜譯해 냄으로써 새로운 東아시아의 漢字語彙의 普遍性이 成立되었다. 現代 東아시아 漢字의 使用은 中世 때와 달리 多樣한 現象을 보인다. 各國의 文字 政策으로 因해서 새로운 漢字들이 登場하였다. 中國은 一部의 漢字를 簡體字로 바꾸었다. 日本은 一部의 漢字를 略字로 바꾸었다. 韓國은 한글 專用 政策을 쓰고 있지만, 基本的으로 繁體字를 使用하고 있다. 20世紀 後半 東아시아가 政治的으로 分裂되어 있을 때에는 각 국가는 自身들의 文字 政策만 觀心을 가지면 되었다. 그러나 지금 21世紀 東아시아 交流가 매우 頻繁하고 緊密한 때를 맞아서 漢字는 다시 個別 國家의 文字로 볼 것이 아니다. 東아시아의 觀點에서 바라보면 漢字의 範圍는 상당히 달라진다. 漢字를 對象으로 ‘繁體字, 簡化字(簡體字), 略字’ 等이 存在한다면 그 範圍가 減少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늘어난 것이 된다. 즉, 東아시아인들이 相互間 文書를 視覺的으로 接할 때에는 본디 漢字에 簡化字, 略字까지 包含을 하면 그 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個別 國家의 경우에는 關係가 없지만, 簡體字나 略字는 繁體字의 또다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으며, 簡體字나 略字를 사용하는 사람의 처지에서 보면 그에 해당하는 繁體字가 또다른 異體字가 될 수 밖에 없다. 즉, 東아시아적 觀點에서 보면 近代에 簡體字나 略字의 制定은 곧 異體字의 增加인 것이다. 결국 現代 東아시아의 漢字는 各國의 漢字에 다른 나라에서 使用하는 繁體字와 簡化字, 略字 등이 異體字로 存在한다는 것이다. 즉, ‘東아시아 國家의 漢字 = 自國의 漢字 + 異體字’라는 公式이 成立되는 것이다. 繁體字와 簡體字, 略字의 相互 關係를 살펴보면 一部의 漢字를 除外하고는 大部分은 字形이 類似하거나 一部 劃數의 多少 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 東아시아 交流的인 側面에서 繁體字, 簡化字 略字 모두 겹치는 일부 漢字에 대해서는 相互 比較 學習할 수 있는 環境 造成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fine 'category of Chinese Character' following re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culture round in East Asia. Many countries in medieval East Asia had been used Chinese Character as a common letter. They used Chinese phras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o manage most documents that were needed for the intern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country. Therefore, there were various styles of Chinese phrases that are similar to modern style. Since the end of Chin age, China has dissolved written language(文言文) through the Chinese Character reformation, has made a change for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Fantizi(繁体字) by using Jianhuazi(簡化字) and has come true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by the settlement of Baihuawen(白話文). Japan suggested the subject about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the age of Meiji. Especially Japan ruled the conception of first language establish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finally, confirms the policy of today's Gana. Korea threw away the Chinese Character style in 1894. And passing through Gukhanmunchae(國韓文體), a mix style of Chinese Character and Hangul, it approved Kukmunchae(國文體) and succeeds politically the only use of Hangul through the constant Hangul policy. However, though the written language community was dissolved, the modern East Asian written language policy has confirmed the universality of Chinese Character words in the new East Asia by translating western studies into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Use of Chinese Character in contemporary East Asia shows diverse phenomenons unlike the middle ages. China uses Jianhuazi(簡化字) partially in the use of Chinese Character. Japan Simplified some of Chinese Characters. Korea uses Hangul policy, but basically, it uses Fantizi(繁体字). When East Asian countries were split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y can concentrate on the policy of their own letter. However, facing with the times that has many exchanges among East Asian countries in the 21century, the range of Chinese Character quite differs in the term of not a letter of each country but the one of a whole East Asia. Nevertheless, if the several types such as Fantizi(繁体字),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exist on the same Chinese Character, it is not a reduction but an expansion of the range. That is, when East Asian contact optically mutual documents or some languag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re increased by including basic Chinese Character,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Therefore, though it has no relation in the terms of each country,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s(略字) cannot but be another variation and from viewpoint of people using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Fantizi is the another variation of the two. For this, it is the fact that modern regulation of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connected to the increase of the variations in the terms of whole East Asia. As a result, Chinese Character in the contemporary East Asia exits as a variant form of a Chinese Character such as Fantizi(繁体字),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Hence, 'East Asian countries' Chinese Character = Own Character + Variations' can be a formula. Considering correlation among Fantizi, Jianhuazi(簡化字) and Simplified Character(略字), it only indicates similarities of form or differences in some strokes. Therefore, for the aspect of East Asian exchange, it needs to have some regards for studying in the way of comparing parts of Chinese Characters overlapped in all characters.

      • KCI등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 수용 양상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본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수용된 양상을 밝힌 것이다. 한문과의 성격 가운데 중요한 것이 ‘전통적 가치관’의 문제이다. 해방 이후에 우리나라는 어문정책에서 한글전용을 내세웠다. 이때 한문과를 교과로 인정하지 않고, 국어과 내에서 ‘한문과목’으로 인정했을 뿐이다. 제1, 2차 교육과정 기에 국어과 내에서 한문 과목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라고 했다. 제3, 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과목이 국어과로부터 독립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유신정권과 그를 잇는 군사정권기이다. 이 시기 한문과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는 물론이고, ‘민족 문화’, ‘민족 정신’을 계승하는 것을 주요 성격으로 내세웠다. 제5차, 6차 교육과정기는 한문과목이 한문교과로 체계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요구가 거셌으며, 부분적인 항쟁의 승리도 있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이전의 일방적인 ‘민족 문화와 민족 정신의 계승’이 아니라,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발전시키려는 태도와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이라고 보다 완화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기 이후는 교육개혁의 의미를 반영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면면히 이어 온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사회의 변화에 따라 부응하면서 바뀌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aspect of accepting traditional values in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One important th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is the issue about ‘traditional values’. After the emancipation from Japan, Korea put forwar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anguage policy. At that time,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ubject, but accepted as ‘Chinese character course’ within the ‘Korean’ department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course in the Korean department, in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um period, was noted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ourse became independent from the Korean department. This period is during Yushin regime and the junta which had followed it. The traditional value of this period was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of course, and was put forward to succeed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spirit’ as main characteristics. The fifth and six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systemiz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In this period, the demand for the democratization was strong in Korean society, there was also partial victory of the resistance. In this period,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was not like the former unilateral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spirit’ and further alleviated to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rightly and develop,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 value’.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it tried to reflect the meaning of education reformation. Thus, the traditional value in this period is noted that ‘ it is to understand our ancestor’s life, wisdom, idea and emo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various types of Chinese character materials, to foster healthy values and desirable personality, and to contribute to succeed traditional culture rightl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herited in our life across the board, and develop it creatively’. According to this,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traditional valu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has been changed, meeting the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