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배한 무순의 향미성분

        송미란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4 No.1

        십자화과 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어린싹(무순)이 독특한 향과 맛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바 그 향기성분을 SDE(simultaneous steam djstillation/extraction) 법과 P&T(purge and cryogenic trapping)법으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포집시 SDE법에서는 diethyl ether 및 diethyl ether-pentane mixture(2:1, v/v)를 용매로 사용하고 P&T법에서는 di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GC와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SDE법에서는 함황화합물(19종, 76.6%)이 주성분이었고, diethyl ether-pentane mixture로 추출한 경우 함황화합물(15종, 44.0%)과 탄화수소류(23종. 23.8%)가 주성분이었으며, P&T법으로 추출할 경우는 탄화수소류(25종, 84.1%)가 주성분이었다. 또한 신선한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hydrocarbon류인 n-heptane, methyl pentane이었으며, 익은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sulfur compound에 속하며 무의 주성분이기도 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등이었다. SDE법보다 P&T법에 의해 추출할 경우 향기성분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은 적어 분리능은 떨어지는 편이나 저분자 휘발성 물질은 오히려 더 많이 검출되어 추출방법에 따라 포집되는 향기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The consumption of radish(Rhaphanus sativus L.) sprout, which is Cruciferae family, is increasing because of its pungent flavor and taste. Its volatile components were analyzed by 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method and P&T(purge & cryogenic trapping) method. As a solvent, diethyl ether and diethyl ether : pentane mixture(2:1, v/v) were used in SDE method, and diethyl ether in P&T method. Analyzing by GC and GC-MS, the major component was sulfur compounds(19 species, peak area 76.6%) with diethyl ether, sulfur compounds(15, 44.0%) and hydrocarbons(23, 23.8%) with diethyl ether-pentane mixture in SDE method. Also, hydrocarbons(25, 84.1%) was major component in P&T method. The major volatile component of fresh radish sprout were n-heptane, methyl pentane and that of boiled radish sprout were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Low molecular volatile components were detected more by P&T method, but types and relative quantities of volatile components were measured less comparing to SDE method.

      • 국내 소비 육가공품의 소르빈산 함량분석(2) : 소시지및 베이컨 sausages and bacons

        송미란 기전여자대학 1995 論文集 Vol.15 No.-

        Twenty samples of processed meat products(14 sausages and 6 bacons) were collected from supermakets in Seoul area and analyzed for the content of the preservative sorbic acid and its salts by means of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detection frequencies of sorbate in the samples were 71% in sausage and 100% in baco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sorbate in the detected samples were 0.57-1.31g/kg in sausage and 0.90-1.01g/kg in bacon. There was no sample whose sorbate concentration exceeded the legal tolerance 2.0g/㎏ sorbate in processed meat products. It was,therefore,judged that the usage of sorbate in processed meat products at the current use pattern would not pose any adverse effect in safety.

      • KCI등재

        전주지역 김치와 국${\cdot}$찌개의 염도 및 섭취실태

        송미란,이경자,Song, Mi-Ran,Lee, Kyung-Ja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4 No.1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주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섭취하고 있는 김치와 국${\cdot}$찌개를 수거하여 염도를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해 소금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40대가 57.8%로 가장 많았고, 가족 수는 4명, 5명 이상이 41.3%로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고졸이 41.3%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한달 평균 수입은 100-200만원이 28.4%, 200-300만원이 22.9%였고, 54.1%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평균 염도는 $2.0{\pm}0.5%$였다. 3.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국물 염도는 $1.0{\pm}0.3%$, 국물과 건더기를 믹서에 갈아서 잰 염도는 $0.8{\pm}0.3%$였다. 국의 염도는 $0.9{\pm}0.3%$, 찌개의 염도는 $1.1{\pm}0.3%$로서 찌개의 염도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된장국의 염도 $1.0{\pm}0.3%$, 맑은 국읜 염도는 $0.8{\pm}0.3%$로서 된장국의 염도가 맑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염분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즉, 짠 음식을 선호할수록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염도도 높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나 간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6. 하루에 섭취하는 김치의 횟수는 대상자의 50% 이상이 매 끼니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번 식사 시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2종류가 가장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간에 대해 김치 열도가 낮은 군에서 '보통'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김치 염도가 높은 군에서는 '보통' 또는 '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싱겁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국${\cdot}$찌개의 염도가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자주 섭취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나물김치, 무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이었다. 7. 하루에 섭취하는 국${\cdot}$찌개의 횟수는 2회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김치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국물을 '반 그릇 이상' 먹는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섭취하고 있는 국이나 찌개의 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In this study, Kimchi, soup and stew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7, in the Jeonju area, and their salinity levels were analyzed. In addition, housewives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 to assess food behaviors and consumption patterns. The average salinity of the Kimchi samples was $2.0{\pm}0.5%$.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oup/stew samples was $1.0{\pm}0.3%$ in the broth portion and $0.8{\pm}0.3%$ in the homogenized mixture of both broth and solids. The average salinity of all types of soup was $0.9{\pm}0.3%$, and that for stews was $1.1{\pm}0.3%;$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te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oup (p<0.001). Beanpaste s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alinity $(1.0{\pm}0.3%)$ than clear soup $(0.8{\pm}0.3%)$ (p<0.05). The Food behavior scores of the respondents, with regard to sodium intake and salty taste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the salinity of the soup and stew samples (p<0.01).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Kimchi and soup/stews were also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ionship to the saltiness of the food sample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each food category: Kimchi groups of below 2.0% salinity and above 2.1% salinity, soup/stew groups of below 0.8% salinity and above 0.9% salinity. The below 0.8% salinity soup/stew group used salt or soy sauce in meals significantly less frequently (p<0.01) than the above 0.9% salinity group. The lower salinity Kimchi and soup/stew groups g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ir Kimchi was 'bland' (p<0.05). The types of frequently consumed Kimchi were determined as Korean cabbage, Welsh, wild greens, radish, KKak Du Ki, and Yol Mu Kimchi. When compared to the above 2.1% salinity Kimchi group, the below 2.0% salinity Kimchi group gave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y consumed 'more than half the broth in the bowel' and also gave significantly higher (p<0.01) scores in answering that they consumed only the solid ingredients, leaving the broth.

      • 국내 소비 햄제품의 소르빈산 함량분석(1)

        송미란 기전여자대학 1993 論文集 Vol.13 No.-

        Twenty six samples of ham products(pressed and mixed ham) were collected from supermakets in Seoul area and analyzed for the content of the preservative sorbic acid and its salts by means of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concentration ranges of sorbate in the detected samples was 0.64-1.46g /㎏ and average concentration was 1.l0g /㎏ ham. There was no sample whose sorbate concentration exceeded the legal tolerance 2.0g /㎏ in sorbate in processed meat products. It was, therefore, judged that the usage of sorbate in ham products at the current use pattern would not pose any adverse effect in safety.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 중학생의 “학습” “생활” “학습의 의미” 실태 비교분석

        송미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2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tudy”, “lifestyles” and “meaning of study” among Korean and Japanes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mpared to almost anywhere else in the world, Japanese and Korean societies are based on competition in school entrance exams. Institutionally and culturally, both countries share the same school education systems. Because of this institutional and cultural common ground, many of the educational phenomena are also similar. As one example of such educational phenomena, while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maintain an internationally high academic level, they “don't know why” they study, and both sets of students are unclear as to the meaning of their studies (TIMSS 1999, 2003). However, although there are such areas that have things in common, many areas concerning the children's stances towards their study and the future differ greatly. This research carries out a comparative analysi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countries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ducational phenomena actually being a result of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similarities shared by both countries. As a resul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with regards the students' “study”, “lifestyles” and “meaning of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were more apparent in a wide range of facets, than were the points shared by the students.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 청소년의 “학습”, “생활” 그리고 “학습 의미”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양국의 “교육현상”과 “학생들의 제 현상”을 검토하는 함으로써 양국상호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교육체계는 유사한 기반 하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 중등교육에서는 그러하다. 이런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학교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 사이에는 어떠한 현상으로서 나타나고 있는가?라는 문제의식 하에 한국과 일본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습”과 “생활”의 실태 그리고 “학습 의미”의 퍼스펙티브(perspective)를 다양한 관점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의 학교교육체계는 교육체계의 거시적으로는 유사한 혹은 공통된 점을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학생들의 현상으로서는 아주 상의(相異)한 부분이 많았음을 분석의 결과로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