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의 가치판단에 따른 감정 유발 특성을 적용한 동기부여 행동개입전략 디자인 개념틀 제안

        송가형 ( Gahyung Song ),정의철 ( Eui-chul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4

        연구배경 디자인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목표 행동의 실천율을 높일 수 있는가? 최근 보건과 환경 정책, 경제, 교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행동개입전략 (behavioral intervention)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을 유도하여 목표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 연구가 활발하다. 사람들은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감정을 느낀다. 행동개입전략에 디자인의 이러한 특성을 통합 적용할 수 있다면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목표 행동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고유 특성으로서‘가치판단과 감정 유발 특성이 행동형성에 기여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동기부여 행동개입전략을 디자인할 때 길잡이로 삼을 수 있는 모형을 개념틀로 제안하는 것이다. 이 틀은 자발적 동기부여 행동개입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해 줄 것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선행 행동심리학 연구 (Skinner, 1953 Neisser, 1976; Stern, 2000)를 고찰하여 정의한 행동형성 요소 간의 상호관계를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가치판단 모형 (Desmet, 2002)에서 행동개입전략 디자인의 속성 간의 관계를 도출하여 행동형성에 미치는 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는 개념틀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동기부여 행동개입전략 디자인 개념틀은 인지적 요소와 감정의 상호작용이 행동개입전략 설계에 중요한 관계임을 설명하였다. 더불어 제품에 대한 가치판단을 통해 감정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개인의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목표 행동 실천을 도와주는 행동개입전략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결론 목표 행동은 행동의 개별 요인이 아니라 여러 요인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토대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주요 가치인 가치와 감정이라는 영역을 행동형성 요인과 접목하여 행동디자인 연구의 성장 가능성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도구로써 활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개념틀의 효과를 검증하는 경험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Is there a way to support healthy and sustainable behavior with design?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behavioral intervention design research regarding health, environmental policy, economy, and education. Design motivates people to evaluate products with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motion while using the products. Thus, product emotion could define motivational intervention design factors and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gn framework that explains the role of design based on a hypothesis that is “product appraisal and emotion could sustain a behavior” to provide a path when designing a motivational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First, the study explains an interrelated process of behavioral causal factors from a behavioral psychology (Skinner, 1953; Neisser, 1976; Stern, 2000)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study suggests a motivational behavioral intervention design framework from studying the design appraisal model (Desmet, 2002) to explain the role of design and suggests a further research area. Result The motivational behavioral intervention design framework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factors and emotion may be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building a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y. Furthermore, the framework can guide us to design a motivational intervention strategy by explaining how emotion is derived from a design appraisal process. Conclusion In order to activate desirable behavior, interaction between behavior causal variables is necessa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applied design core value (i.e., appraisal and emotion) into behavioral models, which expanded the behavioral design research realm. In future research, experiential studies to prove the design outcome of this framework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