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상 위 공간의 사용자 맞춤 정리 모듈 시스템 개발

        송가형 ( Ga Hyung S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현대인의 일상은 그 많은 부분이 디자이너가 만든 사물과 환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를 인공 환경(Built Environment)1)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현대인에게 자연스러운 삶의 공간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이 현대인의 삶과 그의 일상 공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공간을 채우는 사물과 사용자의 관계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정(becoming)으로서의 디자인을 시도함으로써 유기적인 사물-사용자간의 관계를 도모하는 사용자 맞춤형 모듈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 모델인 정리 모듈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 공간과 습관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할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일상과 이 시스템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유기적으로 함께 성장하고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듯 사용자의 변화와 요구에 맞춰 그 형태와 목적이 능동적으로 변형해야 한다는 것에 주목하여 연구 모델을 개발했다는 것이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 되는 점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는‘ 좋은 디자인’의 정의를 디자이너의 관점이 아닌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물과의 관계를 재정의 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물과 능동적인 관계를 맺는 시스템의 진가는 오랜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알 수 있다는 점과 그 가치를 현재의 생산체계에서 알아보기 어렵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The world we live in is a place where people are influenced by designed objects and surroundings. This built environment2) has been grown up with people’s everyday life throughout the history so its presence is almost unnoticeable. In this thesis, I have exploited influences of design as a concept and artefacts within Modern man’s daily life and his habitat. By examining designed objects with regard to their relationship to users, this thesis will promote a natural user-object relationship. The thesis is an attempt of designing in pursuit of becoming, rather than that of being. And the goal of the paper is to design a user adjustable placing modular system that better responds to people’s actual placing needs and surroundings. The thesis project enables users to utilize elements of their daily environments in its process of building a system. Thus the system moves forward for change along with users’ lives as if it is an living thing. This participatory feature of a user to the system differentiates it from others at the marketplace. Also this research paved a new road to re-define a “good design” from a user’s perspective rather than that of dominant designers. However, I have realized it is a challenging task to enable the system to actively change its structures and objectives due to a user’s growing needs and interest by the use of time, especially under current produc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