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사’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비교연구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EACHER’ research trends among Christian Education study in Korean and USA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keyword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TEACHER EDUCATION’,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appeared distinctively in Korean research. ‘CHRISTIAN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 are related to school education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bring up Christian teacher in schoo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is related the role of teacher, which is changed from traditional role as just giving information to leadership role in which teacher facilitates learning community. In USA research, ‘THEOLOGY’ and ‘BIBLE’ are appeared distinctively. This result shows the main role of Christian education teacher is to teach theology and Bible. In terms of centrality analysis, ‘REFLECTIVE JOURNAL’, and ‘FEEDBACK’ are appeared typically in Korean study. These keywords have very low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but have very high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means that these keywords have strong influence in spite of having low connections in net work system. In USA study, keywords shows higher value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but lower value in closeness centrality comparing to Korean study. This result means keywords are appeared with concentration in USA study, but appeared with diversity in Korean study. In terms of sub group analysis, in Korean study, ‘TEACHER EDUCATION’ is studied with community paradigm as well as individual paradigm. ‘CHURCH SCHOOL TEACHER’ is studied with essential role of teacher rather than functional role. ‘RELIGIOUS SCHOOL’ is studied with bringing up religious school teacher. In USA study, ‘THEOLOGY’ is studied with theoretical elements as well as practical elements. ‘LEARNING’ is studied with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situation and need of learner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 연구 분야에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연결정도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그리고 하위집단의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결과로 나타나는 각 나라만의 특징과 두 나라 간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동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키워드 빈도분석에서 한국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교회학교교사,’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등이 그 빈도수가 높고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교사를 제외한 교사교육, 기독교교사, 예비교사는 교육의 장이 학교라는 점과 이 키워드들이 종교교사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기독교교육 교사연구의 특이점이었다. 미국연구에서는 ‘신학,’ ‘성서’등이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미국에서 기독교교육 교사의 역할이 기초적 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학과 그와 관련된 교육사상을 가르치는 것과 성서를 가르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심성 비교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반성적 일기,’ ‘피드백’과 같은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키워드들이 연결정도 중심성이나 매개 중심성에서는 그 값이 평균치 이하로 아주 낮았지만, 근접중심성의 경우 최대값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종교교사양성이라는 주제가 표면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 준다. 미국의 연구는 한국의 연구에 비해 연결정도 중심성 값이 높지만, 매개 중심성에서 미국연구보다는 한국연구에서 지표가 높은데, 이것은 미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집중화가 한국의 연구에서는 키워드의 다양화가 나타났음을 알게 하여 준다. 하위집단분석에서 한국연구의 특징적인 것은 교사교육의 연구동향이 개인적인 패러다임 (정체성, 영성 등)과 아울러 공동체적인 패러다임(공동체)이 균형적으로 어우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회학교교사’의 경우에는 교회학교교사들의 기능적인 면보다 본질적인 교사됨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기독교학교’의 그룹에서는 종교교사양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연구에서는 ‘신학’ 그룹에서 기독교 신학의 이론적 요소와 실천적 요소가 골고루 균형적으로 나타났었고, ‘학습’ 그룹에서는 성서교육과 관련된 연구들과 아울러 학습자의 필요와 상황등과 연관되어 나타났는데, 이것은 교육의 내용과 학습자의 상황과 필요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연구된 것을 의미한다.

      • 파커 파머(Parker J. Palmer)의 생애와 사상 및 기독교교육의 과제

        손정위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 2021 기독교와 교육 Vol.26 No.-

        이 논문의 목적은 파커 파머의 생애와 사상을 정리하고 이 내용을 근거로 앞으로의 기독교교육의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먼저 파머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는 파머의 부모와 그 영향, 청소년기 신앙생활과 그 영향과 그의 학력과 경력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 파머의 교육사상 및 배경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파머의 교육사상을 정리하면서 그 교육사상의 배경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 파머의 교육사상이 앞으로 기독교교육에 어떤 과제를 제시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John Wesl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5 No.-

        John Wesl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was driven from his theological consideration. Wesley had much influence form his mother Susanna, whos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were one of the core foundations for establishing Wesl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And also, John Wesley read a lot of books which made him to consider the condition of human nature. He exclaimed the urgent need of salvation and spiritual training for holiness life, which were the core theme in his education. In addition, John Wesley had some spiritual experiences especially within moravian movement, which made him to focus spiritual experience of the believers, such as conversion and holiness life at the field of education. In terms of children education, Wesley built and managed regular school like Charity School and Kingswood school, and encouraged Sunday school movement in order to make children have conversion experience as well as academic knowledge. When it comes to adult education, Wesley exercised group forma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class meeting, band, and selected society. Wesley’s group formation was for adult education. According to Knowles (1973), adult learning means adult can lear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But Wesley’s group formation did not show the possi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because Wesley focused teacher’s role rather than learner’s role in his group formation. Many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find out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of Knowles’ adult learning theory and the exercise of Wesley’s group formation as a further study. And also, the study about some practical methodology suitable for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could be omitted because of the limit of paper.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ed Wesley’s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view of theological concept of human, philosophical consideration, and educational elements. This paper evaluated the value of Wesley’s theology and practices in the view of educational philosophy.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와 파머(Parker Palmer)의 인간이해 및 지식이해 비교연구

        손정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nd knowledge and also examine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by comparing the study of Søren Kierkegaard and Parker Palmer.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is represented by self in relation to others and true self as a teacher. The similarity is in the dynamics of continuous relationships, self as an evolving nexus resulting in a developing self rather than a fixed self. There is also similarity in the approach of suggesting transcendence as an existential method for overcoming despair and fear which interferes with the becoming of one’s true self. However, the difference is discovered in terms of transcendence as an existential method; Kierkegaard emphasizes on an existential leaf whereas Palmer advances the subject as sacred.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is represented by order progressed by centering on the subjectivity of truth and knowledge as the result of active communicati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is founded in the existential, subjective, and personal aspects. In terms of educational practices, the similarity is discovered between Kierkegaard’s double reflection and Palmer’s personality of the subject; both of them are related to the inwardness of learners. In terms of indirect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is discovered in how the two thinkers introduce paradox. Kierkegaard emphasizes learner’s existential determination even in an offensive situation by paradox, but Palmer emphasizes harmony between the two poles and puts hospitality for protecting learners in a paradoxical situation. However, there is similarity in that both use not quantitative dialectic but existential dialectic for resolving a paradoxical situation. There is similarity in terms of how indirect communication is discovered between Kierkegaard’s irony and Palmer’s parable, silence and questions.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re identity, transcendence, subjective knowledge and paradox as indirect communic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키에르케고르와 파머의 인간 이해 및 지식 이해를 교육철학과 교육실천적인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고, 그 결과들을 통해 기독교교육의 함의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두 사람의 인간 이해는 각 각 관계하는 관계로서의 자기와 진정한 자기 자신으로서의 교사로 나타나는데, 그 과정이 끊임없는 관계의 역동성이라는 점과 이 역동성은 한 가지 고정된 자기 자신에서 벗어나서 끊임없는 새로움으로 발전하는 자기 자신, 다시 말해 발전하는 결합으로서의 자기 자신이 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진정한 자기 자신됨을 방해하는 절망과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초월성을 제시한 것도 비슷한 접근이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는 하나님 앞에서 단독자로서의 실존적 비약을 강조한 반면, 파머는 주제에 신성을 부여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실존의 무게감에서 차이가 드러난다. 두 사람의 지식 이해는 진리는 주체성과 주제를 중심에 두고 진행된 질서와 열정적인 대화의 결과로 나타난 지식으로 나타나는데, 둘 다 다분히 실존적, 주관적, 인격적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이 나타난다. 교육적 실천에서의 유사성은 키에르케고르는 학습자의 내면적 삶에 도전을 주기 위해서 이중반사를 강조했는데, 이것은 파머가 주제에게 인격성을 부여해서 학습자로 주제와 대화하면서 자신을 성찰하면서 지식을 얻게 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간접 전달의 한 방법인 역설의 경우에는 키에르케고르는 역설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상심에 빠지게 하는 일이 있더라도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결단하는 것을 강조한 것과 파머가 역설을 교육적 실천과 관련해서 두 양극단의 조화를 강조하고, 역설의 상황에서 학습자를 보호하기 위한 환대를 장치한 것은 상이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역설을 살아내는 힘을 단순한 양적 변증법이 아닌 실존적 변증법으로 접근해서 역설로 인한 모순을 해결하는 방식이 아닌 그 모순을 살아내는 힘을 기르는 방식으로의 접근은 유사성을 지닌다. 간접 전달의 또 다른 방식으로의 키에르케고르의 아이러니와 파머의 비유, 침묵, 질문 등은 유사한 접근법으로 나타났다. 기독교교육의 함의점으로는 정체성, 초월성, 주체적 지식, 간접 전달로서의 역설 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