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과 역할갈등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경력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손은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회피, 거절)이 역할갈등의 매개를 통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고,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과 역할갈등 간의 관계를 경력수준(상담 경력, 수퍼비전 경력)이 조절하는지 살펴보았으며, 경력수준에 따라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과 수퍼비전 작업동맹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의 매개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최근 6개월 이내에 개인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총 395명의 수퍼바이지들이 참여하였으며,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척도, 역할갈등 척도, 작업동맹 척도-수퍼바이지용, 인구통계학적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안정 애착-회피와 불안정 애착-거절은 역할갈등의 매개를 통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불안정 애착-회피는 수퍼비전 경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불안정 애착-회피가 역할갈등을 통해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은 수퍼비전 경력에 따라 달라졌다. 본 연구 결과가 연구 및 실제에 주는 함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supervisees’ insecure attachment (avoidance and rejection) would influence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hrough role conflict, (b) experience level (counseling and supervision) would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role conflict, and (c) the mediation effects of role conflict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ould differ according to experience level. A total of 395 supervisees, who recently engaged in individual supervision (within 6 months), completed the SASS, RC, WAI-Trainee version,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insecure attachment (avoidance and rejection) influenced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hrough role conflict, (b) the interaction of insecure attachment (avoidance) and supervision experience had an effect o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c) the mediation effect of rol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voidance)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differed according to supervision experie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이용자 로그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 활용도 및 선호요인 분석 - J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손은정,박태연,오효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2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library’s reading room is to provide a space for reading books. However,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 as a personal learning space,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spaces in university librarie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reading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that exist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to derive preference factors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room.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J” University as a research target. The log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one year from various reading rooms in “J” University. Based on 218,939 cases generated from 40,753 users, usage patter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eriod and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preference factors for reading room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space utilization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improve space arrangement and space utilization in reading rooms of university libraries. 도서관 공간 중 일반열람실의 당초 목적은 이용자가 도서관 장서를 자유롭게 열람․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있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개인 학습 공간으로의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재고 논의가 일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 도서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 중 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반열람실의 비중이 큰 편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내 일반열람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열람실별 공간적 특성에 따른 선호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 J대학교를 선정, 지난 1년간 다양한 규모의 일반열람실을 실제 이용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총 40,753명의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218,93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간별, 공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열람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나아가 공간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의 공간 배치 및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성인의 가치와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조절효과

        손은정,Eunjung Son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Five hundred adult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cultural universal value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servatism, and self-transcendence), cultural-specific values (collectivism,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and humility),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style, self-enhancement, emotional self-control, and self-transcend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Wherea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and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Second, 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level of self-enhancement was high and the age was younger. Third, age and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norms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In the case of males with high conformity to norms and younger ag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Four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As collectivism increased, men tended to increas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s, while women tended to decrease it. Fif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ility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omen with high humility, their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ly lower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 역할갈등,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가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

        손은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3

        This study conceptualized supervisees’ insecure attachment as an individual internal factor, role conflict as a supervisory relationship factor, and Asian cultural values as a cultural factor potentially affecting supervisees’ self-disclosur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392 supervisees, who had recently engaged in individual supervision within the past 6 month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ASS, RC, SNDS, and AAVS-M. Analyses indicated that role conflict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insecure attachment-avoidant and insecure attachment-rejection and self-disclosure. Conformity to norms of Asian cultural value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avoidant and self-disclosure. Asian cultural values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rejection and self-disclosure. Finally, insecure attachment-avoidant had an effect on self-disclosure through the mediation of role conflict and the simultaneous moderation of conformity to norm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으로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 수퍼비전 관계 요인으로 역할갈등, 그리고 문화적 요인으로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를 설정하고 이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근 6개월 이내 개인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퍼바이지 392명을 대상으로 수퍼비전 애착 전략 척도, 역할갈등 척도, 수퍼바이지 비개방 척도, 그리고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역할갈등은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회피와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갈등은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거절과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 척도의 하위척도인 규범에 대한 동조는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회피와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간을 조절하였다. 넷째,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 척도의 하위척도들은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거절과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간을 조절하지 않았다. 다섯째,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회피는 역할갈등의 매개를 통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규범에 대한 동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추후 연구와 실제에 주는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대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불일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

        손은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rpersonal discrepanc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to reveal the role of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ts effect in binge eating. Participants were 316 college women recruited in Seoul and Daegu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hypothetical model for binge eating showed that ⒜ interpersonal discrepanc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perceived social support mediated the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discrepancy with depression, and ⒞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and the link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binge eating.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ed interpersonal discrepancy which led to the low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se social disconnection increased depression which caused binge eating. The implication on research and practice for binge eating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인관계특성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인 대인관계의 단절감을 의미하는 대인관계 불일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과 대구지역의 여자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대인관계 불일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 불일치와 우울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우울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폭식행동,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폭식행동 간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타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대인관계 불일치가 높아져 다른 사람들로부터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인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우울을 경험하게 되고 결국 폭식행동을 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폭식행동에 대한 연구 및 실제적 개입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자녀상담결정에 미치는 영향: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와 암묵적 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은정,이상운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adul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on the decision of counsel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roles of anticipated benefits of counseling and courtesy stigma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Two hundred and twenty mother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sangbukdo, Ul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 anxious attachment influenced attitudes on the decis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through the mediation of courtesy stigma, ⒝ avoidant attachment influenced courtesy stigma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nticipated benefits of counseling, ⒞ anticipated benefits of counseling influenced attitudes on the decis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through the mediation of courtesy stigma, ⒟ and anticipated benefits of counseling and courtesy stigma influenced the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rough the mediation of attitudes on the decisions to seek professional help.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ating roles of anticipated benefits of counseling and courtesy stigma are important in the relation of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the decision of counseling for children. These results might provid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n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 상담에 있어서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어머니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성인 애착(불안 애착, 회피 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와 암묵적 낙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대구․경북․울산․경남에 소재한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불안 애착은 암묵적 낙인의 매개를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회피 애착은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의 매개를 통해 암묵적 낙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는 암묵적 낙인의 매개를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와 암묵적 낙인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매개를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불안 애착이 높을수록 상담에 대한 유용성에 대해 덜 기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결국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머니의 회피 애착이 높을수록 상담에 대한 유용성 기대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암묵적 낙인이 높아지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국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의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들은 아동과 청소년 상담에서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어머니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결핵 현황 및 국가결핵관리사업

        손은정,전두수 대한의사협회 2021 대한의사협회지 Vol.64 No.4

        Tuberculosis (TB) remain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Korea has the highest incidence rate (59 per 100,000 population) and the second-highest TB mortality rate (four per 100,000 population) amon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 countries. However, some progress has been made in TB control over the past decade. The notification rate of new TB case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reaching its highest rate in 2011 (78.9 per 100,000 population). In 2019, the notification rate of new TB cases was 46.4 per 100,000 population, with a reduction of 9.9% from the 2018 rate. Additionally, the number of multidrug-resistant TB cases decreased from 618 in 2018 to 580 in 2019. This progress is thought the result of various TB control programs including a TB public–private mix model, insurance coverage for TB management, and a contact investigation program. Despite the progress made, new challenges have also emerged. The predominant challenges lie in the relatively increasing burden of TB in the vulnerable population (aging,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and foreign-born population), the implementation of latent TB infection management, and the high rate of multidrug-resistant TB. Since 2019,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the “Midterm strategies to strengthen TB preven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e 2nd National Strategic Plan for Tuberculosis Control (2018-2022). This program will be a turning point of TB control in Korea. The results produced in 2023 is expected to be favorable.

      • KCI등재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손은정,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3 교과교육학연구 Vol.7 No.2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라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73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용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와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려는 것으로 개인적 요인, 학교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경험적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학부모용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 중에서 25.7% 학생이 과학과 관련된 진로를 희망하였고, 고등학생(30.4%)이 중학생(20.9%)보다, 남학생(29.1%)이 여학생(22.3%)보다 과학과 관련된 진로를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2)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과학에 대한 선호’, ‘과학 교사의 영향’, ‘학교 안 과학 관련 경험’, ‘학교 밖 과학 관련 경험’ 요인은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3) 성별에 따라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차이를 보면, ‘과학에 대한 성차 인식’, ‘과학 교사의 영향’, ‘학교 안 과학 관련 경험’, ‘과학교과의 진학 유리’ 및 ‘학교 밖 과학 관련 경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4) 학교급별에 따라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차이를 보면, ‘과학 교과의 진학 유리’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consist of five terms; 'individual', 'school', 'sociocultural ', 'experiencial', and 'home and family'. 73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udents who have the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was 25.7%. High school students(30.4%) chose more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than middle school students(20.9%) did. And, boys(29.1%) chose more science related career than girls(22.3%). (2) By gender-level, boys showed higher means in 'gender difference perception for science', 'science teacher influence', 'advantage in entrance exam', 'science related activity in school', 'science related in school' than girls.(p<.01) (3) By grade-leve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means in 'preference for science' than middle school students.(p<.01) (4) Girls showed higher means of 'self-aptitude and ability' than boys(p<.01).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means of 'reward' and 'vaca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s of body comparison and body shame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limic symptom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손은정,양난미,김상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limic symptoms among 272 female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pecially, it was examined whether body comparison and body shame mediates the impa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bulimic symptom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body comparison and body sham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ulimic symptoms. There were two paths identified. One path show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body shame which, in turn, leads to increases in bulimic symptoms. The other path indicated that body comparison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ody shame, with body shame increasing bulimic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cessive desire for social recognition and status cause bulimic symptoms through body comparison and body shame in females.

      • 초등학교 미술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손은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우회 2005 교육논총 Vol.16 No.-

        특기 · 적성교육은 학생들의 소질 · 적성 · 특기를 최대한 개발시켜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 · 사고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경감하는 한편 학교시설 및 지역사회의 인적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학교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동시에 학생문화를 창달한다는 취지 아래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특기 · 적성교육활동이 학교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기 시작한 지도 벌써 8년째 접어들고 있고, 거의 모든 학교현장에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좋은 취지를 가지고 시작된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이 그 시행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내실을 기하지 못하고 있는 사례도 적지 않다. 특히 미술은 교과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어 더욱 도외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 특기 · 적성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현장에서 미술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의 실태를 분석한 후 문제점을 찾아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미술 수업이 정착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미술 특기 · 적성 교육 활동의 실태 분석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전국 지역 초등학교 중에서 무작위로 30개 학교를 추출하여 각 학교당 250명의 학생과 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후 부실 기재된 것을 제외한 240부를 조사 자료로 이용하여 초등학교 미술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았다. 이상과 같은 조사 ·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현재 미술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은 그 과목의 특성을 살려 교육할 수 있는 시설 기반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 환경이 우선적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학교의 지원이 요구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상 인원수가 많아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미술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해 선택의 폭이 좁다. 따라서 인원수를 조정하고 인원 초과시 우수인력을 활용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지도교사가 한 학교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사의 책임 의식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지도교사는 교육혁신의 주체로 활동해야 하며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지도교사들은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위해 지도교사는 자료개발과 정보 공유로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과 학부모들이 미술 특기 · 적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 특기 · 적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계속 강화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호응과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미술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의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노력에 의해서만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내실 있고 바람직한 미술 교육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이에 관계되는 교사, 학교, 학생, 학부모 모두가 노력해야 하며 계속적인 연구 보완으로 교육적 성과를 이룰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