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Rib Cage View검사 시 촬영조건 변화에 따른 적정선량 및 영상 평가

        김선재(Sun-Jae Kim),이호일(Ho-Il Lee),안치복(Chi-Bock An),손영목( Yung-Mok Son),김윤국(Youn-Kook Kim),박순규(Soon-Kyu Park)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8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8 No.1

        목 적:디지털 방사선 X-ray장비에서 Rib Cage검사 시 Deviation Index (DI)를 활용하여 적정선량을 평가하고 의학적 목적에 맞는 최적의 노출조건을 표준촬영조건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디지털 방사선 장치(Samsung GC85A)와 다목적 흉부팬텀(Lungman)을 사용하였다. 관전압을 50kVp부터 80kVp까지 5단계로, 관전류를 10mAs부터 50 mAs까지 10단계로 나누어 총 35개의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촬영 조건에 따라 획득한 영상들의 Deviation Index (DI)를 활용하여 적정 에너지 값을 갖는 촬영 조건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들을 정량적 평가를 위해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갈비뼈(Rib)와 폐(Lung)에 동일한 관심영역(ROI)을 설정하여 신호 대 잡음 비(SNR)를 산출하였으며, 영상의 학과 전공의 1명과, 방사선사 3명이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고, Dose Area Product (DAP)를 획득 후 PCXMC (Dose Calculatio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산출하였다. 모든 값들은 식약청에서 정해선 표준촬영조건 과 비교하였으며, 모든 통계학적 검정은 SPSS (Ver.18)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조건에 따른 DI는 80 kVp 10mAs에서 -0.07, 60 kVp 40mAs에서 -0.28로 이 두 조건이 유효범위 안에 가장 가깝게 평가되었고, 평가된 두 조건을 표준 촬영조건인 75kVp 30 mAs와 비교하였다. SNR은 각각 9.1%, 17.4%로 감소하였고, 유효선량은 각각 61%, 45.3%로 감소되었으며, 정성적 평가 결과 각각 3.6점, 4.6점으로 나타났다. 결 론:60 kVp 40 mAs조건이 80 kVp 10 mAs조건 보 다 약간의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정성적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임상적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영상의 품질 수준이 높기 때문에, 60 kVp 40mAs조건이 진단적 가치가 좋은 영상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적정선량이 조사되었다고 사료된다. Purpose:When examining Rib Cage, Digital equipment is to be found to assess the appropriate dose by using a Deviation Index (DI) and compare the optimal exposure conditions for medical purposes with standard imaging conditions. Materials and Methods:The equipment used for the experiment used a digital radiation device (Samsung GC85A) and a multipurpose chest phantom (Lung-man). Tube voltage was divided into 5 units from 50 kVp to 80 kVp and Tube current was divided into 10 units from 10 mAs to 50 mAs to obtain a total of 35 images. Using the Deviation Index (DI) of the images acquired according to the exposure conditions, the exposure conditions with appropriate energy values were selected. The selected ROI was set in the Rib and Lung using ImageJ, and SNR and CNR were calculated. One person in the Radiology resident and three from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conducted onducted a qualitative evaluation. After obtaining Dose Area Product (DAP),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PCXMC (Dose Calculation) program. All values were compared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the decision line standard photographing condition, and all statistical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18). Result:According to the condition, DI was –0.07 at 80 kVp 10 mAs, -0.28 at 60 kVp 40 mAs, it was found that these two conditions were the most appropriate dose. Therefore, the two conditions selected were compared with 75 kVp 30 mAs which is the standard exposure condition. Although the SNR decreased to 9.1% and 17.4%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SPSS statistical test (P<0.191). Effective amounts are 61%, 45.3%, reduced,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ed in 3.6 and 4.6 points, respectively. Conclusion:The condition of 60 kVp 40 mAs was slightly lower than the condition of 80 kVp 10 mAs. However, because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ceived a very high score and the quality level of the image required is clinically high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condition of 60 kVp 40 mAs can be used not only for images with high diagnostic value, Appropriate dose that can reduce exposure dose This is considered to have been investigated.

      • 흉부 X-Ray 검사시 Low Dose Image Protocol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채정현(Jeong-hyun Chae),안치복(Chi-bok An),손영목(Yung-mok Son),김윤국(Yoon-kook Kim),박순규(Soon-kyu Park)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8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8 No.1

        목 적:흉부 X-Ray 검사시, Normal Chest protocol 과 Low Dose Image protocol 영상의 SNR, DAP, 유효선량을 비교함으로써, Low Dose Image protocol의 유용성을 영상의 퀄리티나 환자선량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Samsung GC85A를 사용하여 흉부팬 텀을 이용한 Chest PA 검사를 재현하였다. kVp는 110으로 설정하고 mAs는 Auto Exposure Control(AEC) 시스템에 의거하여 총 60장의 영상을 획득한 뒤, 각각 Normal Chest protocol과 Low Dose Image(LDI) protocol을 통하여 Processing을 시행하였다.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해 각 영상의 SNR을 구하고, GC85A에서 제공하는 DAP를 이용하여 PCXMC 2.0으로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를 normal protocol과 LDI protocol에 따라 분류한 뒤, 비교 분석하였고, 해당이미지에 대하여 정성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각 그룹의 유의성은 각 그룹의 유의성은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시행하여 검증하였으며, 신뢰구간은 95%이다. 결 과:각각의 protocol의 SNR과 DAP, 그리고 유효선 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Normal Chest protocol의 영상들의 SNR이 LDI Chest protocol에서의 영상들 보다 Lung field에서는 10.3%, Rib에서는 11.4%, Heart에 서는 10.9%, Soft skin 에서는 10.9%로 더 높게 측정되었다. 유효선량의 경우, Normal Chest protocol에서의 유효선량 평균은 0.0380mSv, LDI Chest protocol에서의 유효선량 평균은 0.0147로, Normal Chest protocol에서의 유효선량이 LDI Chest protocol의 영상의 유효선량보다 61% 더 높게 측정 되었다. 비록 SNR값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LDI protocol 영상의 정성적 평가 결과가 평균 4.7점인 것으로 볼 때, 진단적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의성 검증결과 각각의 프로토콜의 부위별 SNR, DAP, mSv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Normal protocol과 LDI protocol 영상들의 SNR과 DAP와 유효선량의 비교 분석을 통해, 흉부 X-Ray 검사시 LDI protocol의 사용이 Normal Chest protocol을 사용하는 것보다 영상의 퀄리티적인 측면이나 환자 선량 측면에서 더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this study has a purpose to evaluate usefulness of Low Dose Image protocol by comparing SNR, DAP and efficient dose of Normal Chest pro-tocol and Low Dose Image protocol in image quality and patient dose. Materials and Methods:We made up Chest PA X-ray exam condition with GC85A of SAMSUNG. kVp is 100, mAs was under the Auto Exposure Control(AEC) system. After acquiring 60 images, we implemented post-processing to each image using Normal protocol and Low Dose image protocol. We measured SNR from Image Jprogram, and DAP from GC86A of SAMSUNG to calculate efficient dose with PCXMC2.0. Acquired data is classified as protocols to compare and analyzed, then we conducted qualitative enaluation. T-test is implemented for significance test with SPSS(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 Confidence interval is 95%. Result:From result of compare and analysis of SNR, DAP and efficient dose from each protocol, SNR of Normal Chest protocol is higher, 10.3% in lung field, 11.4% in ribs, 10.9% in heart, 10.9% in soft skin, than Low Dose Image protocol. Average efficient dose of Low Dose protocol was 0.0147 mSv, and 0.0380 mSv for Normal. Efficient dose of Normal protocol measured higher than Low Dose protocol as 61%. Although SNR value decreased, images of Low Dose protocol are qualified for diagnosis, cause the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was 4.7 in average. SNR, DAP and mSv of each protocol has significance difference(p=0.05). Conclusion: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f SNR, DAP and efficient dose of Normal protocol and Low Dose protocol, it is considered that using Low Dose Image protocol is more pertinent in image quality and patient dose than using Normal image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