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한 일반인과 간호사의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에 대한 이해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손애리(Aeree Sohn),한숙정(Suk-Jung Han)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일반인 11명과 간호사 8명의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된 질적연구이다. 중심성 분석결과 일반인의 핵심어는 36개로 집, 친구, 학교의 순으로 출현 빈도가 높았고, 매개중심성이 가장 큰 핵심어는 ‘집’이었다. 간호사의 경우는 핵심어가 57개로 환자, 병원, 코로나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매개중심성이 가장 큰 핵심어는 ‘환자’와‘병원’이었다. 응집분석 결과 일반인과 간호사 모두 4개의 응집클러스터가 나타났다. 일반인은 ‘집’과 ‘가족’을 중심으로 ‘일상에서의 위험인식(G1)’을 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인식’과 ‘집단감염 위험인식’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다시 ‘일상에서의 예방행동’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였다. 간호사는 ‘환자’, ‘코로나19’, ‘병원’을 중심으로 ‘자신이 감염/감염원이 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G4)’을 중심으로‘코로나19 인식(G2)’, ‘병원 감염예방 환경 및 지침(G3)’과 ‘일상에서의 예방행동(G1)’으로 연결되는네트워크 구조를 보였다. 일반인은 자신의 감염 가능성을 다른 사람보다 낮게 평가하였고, 간호사는 자신이 감염될 가능성뿐 아니라 감염원이 되어 가족이나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다는 불안이 일반인 보다 훨씬 더 컸다. 일반인은 집, 직장, 학교 등 자신의 생활터를 중심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을 인식하였으나 감염병자체보다는 자신의 일상생활의 변화에 대해서 두려워하였다. 이태원, 물류센터 등에서 발생한 집단감염으로 인해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확진자가 증가하여 자신의 감염가능 확률이 높아지는 것에 대해스트레스와 불안 등을 호소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일상에서의 예방행동 중 ‘마스크’와 ‘손 씻기’가 가장 영향력있는 예방행동이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외출자제는 실천이 어렵다는 반응을 하거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간호사는 병원 내에서 철저한 방역, 방호복 착용, 일상에서도 타인을 만나지 않는 외출자제나 자가격리 등을 많이 언급하였다. 가족이나 지인이 자신으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이 크므로 손씻기, 마스크 사용 등과 같은 개인예방 행동을 철저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병동에 근무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접촉을 꺼리는 존재로 낙인화가 되어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을 기피하거나조심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다른 신종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일반인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병 대응과 관리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메시지나 중재프로그램을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COVID-19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 of 11 ordinary people and eight nur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entrality, there were 36 keyword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frequency of men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home, friend, and school. The keyword with degree centrality was “home.” In the case of nurses, there were 57 keywords, in the order of patients, hospitals, and COVID-19, and the keywords with degree centrality were “patient” and “hospital.” As a result of the community analysis, four clusters were found for both the public and nurses. The public had a “daily risk awareness (G1)” centering on “house” and “family,” and it was linked to “COVID-19 perception” and “collective infection risk awareness.” It showed a network structure connected to “preventive behavior.” Nurses focused on “patient,” “COVID-19,” and “hospital,” with an emphasis on “fear of the possibility of infectious agent (G4),” showing a network structure connected with “COVID-19 awareness (G2),”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and guidelines(G3),” and “preventive actions in daily life (G1).” The public underestimated their infection risk as lower than that of others, and nurses were more anxious that they could become infected and infect their families or others. The public recognized the risk of COVID-19, centering on living areas such as the home, workplace, and school but feared that their daily lives would have to adapt to the infectious disease instead of the other way around. They complained of stress and anxiety about the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infec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irmed patients in the residence. In the case of the public, m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preventive action among everyday preventive actions. There were many react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social distancing and refrain from going out, and this resulted in a weak influence, suggesting that optimistic prejudice was wor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urses, they performed their work in a thorough quarantine state, even in hospitals, controlled themselves through thorough social distancing in daily life, and strictly followed the government’s infection prevention guidelines such as hand washing and mask use. Others even showed a tendency to avoi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COVID-19 patients, because they were stigmatized. This research found that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include risk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support of nurses should be directed at achieving sociocultural understanding. This finding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2001~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 추이 비교분석

        손애리(Aeree Sohn),박은주(Eunju Park)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3

        정부는 학교주변의 보건, 위생, 학습환경과 학생들의 원만한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정부는 1967년에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이하 “정화구역”)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화구역에서의 행위 및 시설 제한은 건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법이기는 하나 다른 한편 직업의 자유나 재산권 등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행제도 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최근 10년(2001년 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의 추이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정화구역 제도의 효율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학교보건법」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와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에 대 한 관련 법규, 법제처 질의회신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발간자료 등의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관련 법 령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례분석으로 최근 10년(2001년 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 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의 추이를 비교분석하여 정화구역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화구역 제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을 획일적 거리로 설정하여서 하므로 업종별로 세분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정화구역 안에서 금지되고 있는 일부 행위나 시설이 학교급별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적용된다. 셋째,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있어서 법률전문가의 참여가 보장되어 있지 않고, 심사 시 일정한 기준이 있다기보다는 학교주변 지역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넷째,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의 관리가 부서 간 상호 긴밀하게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화구역 제도의 근거가 되는 학교보건법이 ‘학교의 보건관리’와 ‘학교의 환경위생정화’라는 서로 이질적인 내용을 동시에 규정하고 있으므로 현재 학교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사항을 분리시켜 가칭 “교육환경보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환경보호법은 그 목적을 학교 주변의 교육환경 보전으로 분명하게 한정하고, 기존 학교보건법 중 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되, 정화구역 안에서의 금지행위 및 시설 기준을 좀 더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보호와 관련되는 타 법률과의 상호관계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The government established School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Cleanup Zone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Cleanup Zone ) in 1967 to protect schools’ health, sanit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While restricting certain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s necessary, it has also limited the freedom of business and the property right of people to some extent.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plore wa ys to improve the Cleanup Zone system effectively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the system and analyzing trends in the cancellation rate and deliberation cases regarding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the decade of 2001-2011. The problems in the laws related to the Cleanup Zone system and in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Zone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cluding documen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plies to inquiries of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laws related to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addition, ways to improve the Cleanup Zone system effectively were explored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the system and analyzing trends in the cancellation rate and deliberation cases regarding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for the decade of 2001-2011. The current problems of the Cleanup Zone system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since they are not varied by the type of business. Second, the activities and facilities prohibited in the Cleanup Zone are all the same regardless of the school type. Third, the issue of equity is questionable as the participation of a legal expert is not guarante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leanup Zone Committee and the criteriavar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rather then being consistently applied in the deliberation. Fourth,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Cleanup Zone has not been effective. Since the School Health Act, the legal ground for the Cleanup Zone system, prescribes the matters on both school health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cleanup zone, which are two different issues, these two should be separated. A new l w, tentatively titled ‘Educ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Act’, a should be legisla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ensur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around schools. While it should prescribe the matters related to the cleanup zone, it should also specify criteria for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detail by subdividing them, while simultaneously clearly defining relationships with other regulations on youth protection.

      • KCI등재
      • KCI등재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전문 직업성

        손애리(Aeree Sohn)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1

        This article is to outline and introduce several sociological researches on health professions, the theme of this special edition. The health professions are a group of occupations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being operated on the basis of high skill and knowledge, gaining prestigious social status and consequently drawing high sociological attention. Evaluations o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edical professions are varied from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However, many recent analyses pointed out the declining social status of medical professions. The recent trend of theoretical analysis explains this phenomena as operation of countervailing powers or sovereignty dispute and adjustment. Using these concepts, this article introduces three studies on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occupational professionality of physicians, pharmacists and physical therapists. Finally, additional issue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are also discussed. 이 글은 이번 특집호의 주제인 의료전문직의 사회학의 관련 분야 연구를 개괄하고 수록된 논문들을 소개하기 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의료전문직은 20세기에 발전한 직업군으로 지식을 근 간으로 활동하면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성취함으로써 사회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 특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평가는 이론적 시각마다 상이하다. 그런데 최근에는 의료전문직의 사회적 지위가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들이 많다. 이것을 일종의 상쇄권력의 작동으로 해석하거나 관할권 분쟁과 조정으로 해석하는 것이 최근의 이론적 경향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의사, 약사, 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성의 발전 가능성을 분석한 세 편의 논문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향후 추가 분석이 필요한 이슈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