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호치민으로 진출한 한국기업의 입지 특성 및 유형화

        손승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research analys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in Ho Chi Minh City(HCMC),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Vietnam. Korean companies started to make inroads in 1987 when the Doi Moi policy was implemented. The advance of Korean companies is going through a process of initial, stagnant, expansion and decline. In the beginning, many companies entered the CBD and its environs, and in the period of stagnation, companies made inroads into newly developed areas and non-urban areas. During the expansion period, companies actively entered CBD and areas where many foreigners reside.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was initially expanded from urban center to non-urban areas. Recently, companies are clustering on urban center. Manufacturing is spreading from non-urban area to the whole city, while wholesale and retail are mainly located in city center.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Korean companies, HCMC is divided into service industry concentrated region, employment-generating industry centered region, manufacturing industry centered region, and a region where Korean companies are rare. In sum, the entry type, entry timing, type of business, and the locality of HCMC’s urban space are the main factors that differentiate Korean companies’ locations. 본 연구는 베트남에서 한국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도시 호치민을 대상으로 한국기업의 입지적 특성을고찰했다. 한국기업은 베트남에서 도이머이 정책이 실시된 1987년부터 진출했으며, 진출 추이는 초창기, 정체기, 확장기, 침체기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초창기에는 CBD와 그 주변에서 입지가 활발했으며, 정체기에는 신개발지역과도시외곽의 비도시지역에서 입지가 두드러졌다. 확장기에는 외국인 밀집지역과 CBD를 중심으로 기업입지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국기업의 입지는 초기에 도시중심부에서 비도시지역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도시중심부로집중하는 경향으로 보인다. 제조업의 입지는 비도시지역에서 도시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도매 및 소매업은 중심시가지에 주로 입지해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의 진출로 변화하면서, 도시내기업 입지에도 변화가 생겼다. 한국기업의 입지 속성을 토대로, 호치민은 서비스업 집중 진출지, 고용창출형 산업진출지, 제조업 집중 진출지, 한국기업 진출 미약지 등으로 지역구분이 가능하다. 한국기업의 진출 형태, 진출 시기, 업종 및 호치민의 도시공간이 지니는 장소성이 입지 차별화의 주요한 요소이다.

      • KCI등재

        개화기 우리나라의 지도학 측량교육 소고(小考): 보성전문학교 임업속성과를 중심으로

        손승호,남영우 한국지도학회 2019 한국지도학회지 Vol.19 No.1

        It has already been revealed in a prior study that the first modern map of the Korean Peninsula wasproduced by the Japanese Military Surveys.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established an intellectual departmentin 1895 and established the Yangjiamun in 1898 and attempted to train the survey for mapping and development,but there was some discussion among the Chungchuwon about the abolition of the issue. Map and surveyeducation for making modern maps of Korea was first conducted at Yungheung Agricultural Training Centerin 1909. It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 and forest law that the survey education became anurgent matter for Korea. As a result, surveying schools and institutes have been established in Seoul and otherparts of the country, stimulating survey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year 1908 to 1909 was the heydayof surveying school. At this time, Yungheung Agricultural Training Center of Bosung Primary School wastransferred to the forestry properties of Bosung College. However, the four short years of surveying have beenshort-liv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annexation of Korea. 한반도 최초의 근대지도 제작이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대한제국정부는 1895년 지적과를 설치하였고 1898년 양지아문을 만들어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교육을 시도하였으나, 중추원에서는 양지아문의 폐지를 주장하는 논의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도 및 측량교육은 1909년 보성소학교내에 설치된 신흥농업강습소가 융흥농림강습소로 개칭된 후 신설되었던 임업속성과가 보성전문학교로 이관되면서 실시한 것이효시였다. 우리나라에 측량교육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신교육구국운동과 삼림법의 시행에 있었다. 그 이유로 측량학교와강습소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 측량교육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1908~1909년은 측량학교 전성시대였다고 간주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시기에 보성소학교의 신흥(융흥)농업강습소가 보성전문학교의 임업속성과로 이관되어 측량교육을 실시했던 것이다. 그러나 4년에 걸친 짧은 측량교육은 재정난과 한일합병으로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 KCI등재

        경기도 농촌지역의 차별적 인구성장 및 인구구성의 변화

        손승호,이호상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opulation growth and population composition between 2000 and 2020 for rural areas in Gyeonggi-do. The population size increased in the eastern and southeastern areas of the province, and decrease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borders of the province. Population change was affected by social increase as the urban sphere affected by the de-urbaniz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expanded and the number of migrants from urban areas increased. In population growth areas, the age group 40 years or older led the population increase, but in population decline areas, the age group under 50 years led the population decline. 6 types were deriv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with similar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In the type of population growth, middle-aged and older peopl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tended to lead the population growth. On the other hand, in the type of population decline, the age group under the age of 20 tended to lead the population decline. The migration of the age groups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to rural areas leads to population growth, but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of causing daytime hollowing out or bed town in rural areas.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2000~2020년 사이의 인구성장과 인구구성의 변화를 분석했다. 인구규모는 경기 동부 및 동남부에서 증가했고, 경기 남부와 북부의 경계부에서 감소했다. 인구변화는 서울대도시권의 탈도시화 영향을 받는 도시영향권이 확장하고 도시지역으로부터의 이주자에 의한 사회적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인구증가지역에서는 40세 이상 연령층이 인구증가를 견인했지만, 인구감소지역에서는 50세 미만 연령층이 인구감소를 주도했다. 인구구성의 변화가 유사한 면끼리의 유형화에서는 모두 6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인구증가의 특징을 보이는 유형에서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40-50대 중장년이 인구증가를 주도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인구감소의 특징을 보인 유형에서는 20대 미만의 청년과 유소년층이 인구감소를 주도하는 경향이 강했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젊은 연령층의 농촌이주는 인구성장을 이끌지만, 농촌의 주간 공동화나 침상지역화를 유발할 가능성도 내포한다.

      • KCI등재

        내국인 이주자의 출발지와 도착지로 본 인천시로의 이주 경향

        손승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19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2 No.1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end of migration to Inche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domestic migration that affected the population growth in Incheon. Prior to the 1980s, a lage population moved from rural region to Incheon with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ut in the 1980s, the number of immigrants from Seoul has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the size of people moving from Gyeonggi-do to Incheon has increased, leading to the formation of metropolitan-centered living area.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immigrant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before migrating to Incheon is larger than the proportion of migrants born in Seoul and Gyeonggi-do, numerous people born in non-capital region moved to Incheon via Seoul or Gyeonggi-do. A large number of migrants chose Bupyeong-gu, Namdong-gu, and Michuholgu as their first destinations. In 2010s, the number of migrants to Seo-gu, Yeonsu-gu, and Jung-gu where free economic zones were designated also increased. The tendency to migrate to Bupyeong-gu was very strong in the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but very weak in the residents of Yeongnam Provi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urbanization of the places where the migrants has live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selecting the first destination.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인구증가에 영향을 미친 내국인 이주자의 출발지와 도착지 분포를 통해 인천으로의이주 경향을 분석하였다. 1980년대 이전에는 공업화와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농촌에서 인천으로 이주하는 사람이많았지만, 1980년대에는 서울대도시권에서 진행된 서울의 탈도시화 과정에서 인천을 향한 이주자가 증가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경기도에서 인천으로의 이주자가 증가하면서 대도시 생활권의 형성이 고착화하였다. 수도권 출생자의 비중에 비해 이주 직전 수도권에 거주했던 이주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미루어, 비수도권에서 출생한후 서울이나 경기를 경유하여 인천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평구를 비롯하여 남동구와 미추홀구를 최초 정착지로 선택하는 이주자가 많았으며, 2010년대에는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된 서구, 연수구, 중구로의 이주인구도 증가 추세에 있다. 수도권 거주자의 부평구 이주경향은 강한 반면, 영남지방 거주자의 부평구 이주경향은 매우 미약하였다. 이주자의 직전 주거지가 지니는 도시화 수준에 따라 인천에서의 최초 정착지선택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세계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도시의 빈도와 분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손승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0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8 No.1

        현대는 세계화의 흐름속에서 세계 각 지역에 대한 학습도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학습의 시작은 지명의 인지로부터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세계의 지역학습과 관련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서에 등장하는 세계 각 지역 도시의 총 등장빈도와 등장 도시 수, 그리고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동북아시아 유럽연합·앵글로아메리카 등지의 도시는 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세계체제에서 핵심부에 자리하지 못한 서남아시아·동남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등지에 입지한 도시는 빈도가 낮게 형성되었다. 각 교과서별로 강조되는 도시가 상이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세계도시 체계에서 최상위 그룹에 해당하는 뉴욕·런던·파리·도쿄 등지의 빈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각 교과서에 등장하는 주요 도시의 빈도가 큰 편차를 보였는데, 이는 일부 교과서에서 세계도시에 대한 인지도가 낮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세계도시 계층에서 상위에 자리하는 시카고·푸랑크푸르트 등지는 세계 수준의 기능을 수행함에도 그 빈도가 여타 상위계층의 도시에 비해 낮게 형성되었다. 이에,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에서의 내용 구성에서 각 지역의 도시가 일정 수준 고르게 분포하고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세계 전 지역에 대한 균형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각 교과서에서 지역별 도시의 안배도 필요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world regional study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context of current globalization trend, and can be started with recognizing world place names. In this paper, I analyzed world cities names, which is related to world regional study, in the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I analyzed total frequency and number of city names in the textbooks. City names a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chapters such as North Eastern Asia, European Union, Anglo-America in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Whereas the 3rd world cities' names are not so often appeared in the chapters such as South Western Asia, South Eastern Asia, Africa, and Latin-America of the textbooks. The cases among the text books are different, the global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Paris, and Tokyo are generally showed up frequently in the most textbooks. However, the frequency of major cities' name in the textbooks have a big difference. That means some text books' authors are not acquainted to the global cities. Furthermore, in some text books, the function of city was stated not in global scale but in national scale. Therefore, cities of all over the world regions should be stated evenly in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in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 for the well-balanced world regional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