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덜란드 비밀교회(Schijlkerken)의 시각 문화:『사크라 에레무스 아스케트리아룸 Sacra Eremus Ascetriarum』(1612)

        손수연 서양미술사학회 2022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6 No.-

        Sacra Eremus Ascetriarum is a collection of printed images of the saints patronized by the Jesuit in the Protestant Netherlands. It was designed when conflicts among religious sects collided in the city of Utrecht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Until the full-fledged Catholic disguised church with an altar in a general building, Catholics continued their religious ceremonies in their homes. I refer to this church as an intangible ’clandestine church’ different from ’disguised church.’ Bloemaert's Sacra Eremus Ascetriarum was targeted at members of the clandestine churches and can be seen as a propaganda image that reinforces identity and sectarian beliefs. The prayer images of the female hermit saints were useful in that they presented an example to the klopjes, female spiritual maiden who had served in clandestine churches for the Dutch mission. Moreover, the subject of the prints deals with the saints of early Christian era that Luther rebuked, and thus it meets the goal of the Counter-Reformation to justify the issue of veneration for saints, which was a controversial issue in Utrecht at the time. Therefore, Sacra Eremus Ascetriarum demonstrates the visual culture of the Catholic clandestine church in the early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사크라 에레무스 아스케트리아룸 Sacra Eremus Ascetriarum>은 1612년 프로테스탄트 네덜란드의 도시인 위트레흐트의 가톨릭 교 도들을 대상으로 예수회에서 제작한 성인전 판화집이다. 아브라함 블루마르트(Abraham Bloemaert)가 디자인하고 판화가 보에티우스 볼스 베르트(Boetius Bolswert)가 동판화로 제작하였다. 이 작품집의 제작 시기는 17세기 초반의 위트레흐트라는 접경지대에서 종파간의 갈등과 반목이 충돌했던 혼란의 시기였다. 위트레흐트의 가톨릭 비밀교회가 제단과 교회 인테리어를 제대로 갖춘 가톨릭 교회를 설립하기 전까지 가 톨릭 교도들은 가정집에 제단을 놓고 종교 의식을 지속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회를 무형 교회인 ‘비밀교회’로 지칭하고, 외부는 일 반 건물이지만 내부는 로마 가톨릭 교회처럼 제단과 교회 장식을 갖추어 시민들조차 가톨릭 교회인줄 알고 있었던 17세기 중반의 교회를 ‘위 장교회’로 지칭한다. 블루마르트의 <사크라 에레무스 아스케트리아룸>은 아직 본격적인 위장교회가 설립되기전 비밀교회에서 제작된 예수회 의 후원을 받은 판화집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통해 가톨릭 교도들의 정체성과 교파의 신념을 강화하는 프로파갠다 이미지로 볼 수 있다. 판화 집에 그려진 은수자 성녀들의 기도하는 이미지는 위트레흐트 비밀교회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네덜란드 선교를 위해 봉사해온 여성 신도들인 클로프예 (klopjes) 들에게 모본을 제시하고 명상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유용했다. 이 삽화집의 주제가 루터가 질책한 초기 기독교의 성녀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도 당대 위트레흐트에서 쟁점이 되었던 성인 공경의 논점을 정당화하는 반종교개혁에 목표에 부합하고 있기 때문에 네덜 란드의 가톨릭 비밀교회의 시각문화를 증명한다.

      • KCI등재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형 특성 연구

        손수연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5

        As a tangible study, this study is targeting people who appeared in theKorean Contemporary Opera. Among them, the purpose is to find newpossibilities by identifying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nd related narrativestructure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Koreanopera, analyzing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female charactersis considered a necessary task to diversify the selection of opera materials. To this end, from a feminist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forms of femalecharacters are reproduced in the Korean opera was classified. One of thereasons for the lack of popularity of Korean opera is the flat narrativedevelopment based on the selection of clichéd materials. Therefore, the typeof character also shows a stereotyped pattern, and in particular, which hasbeen centered on men, it can be seen that female characters are moresuperficial and reproduced in pre-modern forms. When Western opera,which is divided into four types of female characters as victims, obstructors,assistants, and saviors, was compared to Korean opera, the female charactersof Korean opera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victims and assistants,showing different patterns. The first type, victims can be seen as oppressionaccording to the frame of a virtuous woman or filial daughter in our opera,where Confucian ideology works strongly, and as the second type, most female characters who do not sacrifice themselves are only assistants or justneighbors of male characters. However, in recent years, women in theKorean opera have also tended to be portrayed as enterprising people whocan express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These changes are also related tothe tendency of diversification and multilaterality of sanctions. In addition,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modern opera has begun tocapture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can be sympathized. It is hoped that thechange in the type of female Korean opera characters examined through thisstudy will have a forward-looking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Contemporary oper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유형연구로서,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에서여성의 인물 유형과 관련된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특성과 전개양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오페라에서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존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오페라 소재 선택의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 이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이 재현되는 형태를 유형화했다. 현재 한국오페라의 인기가 높지 않은 원인 중 하나로 진부한 소재에 따른 평면적인 서사 전개가 꼽히고 있다. 때문에 등장인물의 유형또한 정형화 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한국오페라에서 여성인물은 더욱 피상적이며 전근대적 형태로 재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양 오페라에등장한 여성의 인물유형을 희생자. 방해자, 보조자, 구원자 등 4개 유형으로 나누고우리 오페라와 대조했을 때,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유형은 희생자, 보조자 등 2개유형으로만 분류되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첫 번째 유형인 희생자형은 유교이념이 강하게 작용하는 우리 오페라에서 열녀 혹은 효녀 프레임에 따른 억압으로볼 수 있고, 자신을 철저히 희생하지 않는 여성 인물들은 대부분 남성 인물의 보조자나 주변인에 그치는 것을 한국오페라 여성 인물의 두 번째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오페라 속 여성도 개성과 주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 진취적 인물로 형상화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 같은 변화는 제재의 다변화와 다각화 경향과도연관이 있다. 또한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도 현대 오페라로서 공감할만한 시대정신을 담아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파악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아본 한국오페라 여성인물의 유형 특성이 향후 한국오페라 발전에 전향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에탄올 처리에 의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유인목 효율 증대

        손수연,이선근,서상태,Son, Su-Yeon,Lee, Sun Keun,Seo, Sang-T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Coleoptera: Platypodidae)의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의 유인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인트랩과 유인목 시험에서는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을 사용한 처리구가 대조구(무처리)보다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두 유인제 간의 유의성은 찾지 못하였다. 유인목의 직경별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침입공 수는 직경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유인목의 횡단면 상부와 하부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상부보다 하부에 침입공이 많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직사광선에 의한 건조가 적은 하부가 매개충의 먹이가 되는 미생물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보다 비용 면에서 경제적인 에탄올이 광릉긴나무좀 모니터링 및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The attractant effect to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an insect vector of Korean oak wilt disease, was determined using a multi-funnel trap and trap logs treated with ethanol and ethanol extract of the bark of the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Fisher). The number of entrance holes in ethanol and bark ethanol extract 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blank bottle). However, the number of entrance holes in ethanol and bark ethanol extract treatm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number of entrance holes in the logs increased with increase in diameter of the logs. The lower part of the trap logs had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entrance holes than that in the upper part (p < 0.05). The lower part of trap logs tends to be rarely exposed to direct sunlight resulting in desiccation of the logs, which in turn provides good conditions for microbial growth, a food source for P. koryoensis. The results show, that ethanol could be used effectively in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P. koryoensis because of the cheaper cost of ethanol than bark ethanol extracts, and thus, having a higher economical advantage. Further research of oak bark ethanol extracts is necessary to improve its efficiency.

      • KCI등재

        X-by-Wire 시스템용 SRM의 전류제어에 관한 연구

        손수연,이윤성,정민창,김재혁 한국기계기술학회 2022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4 No.1

        This paper proposes predictive deadbeat current control, one of the model predictive controls. The predictive deadbeat control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rrent control methods to validate its feasibility in X-by-Wire systems.

      • KCI등재

        살균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효과

        손수연,서상태,박지현 한국식물병리학회 2014 식물병연구 Vol.20 No.4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quercus-mongolicae was first noticed in South Korea in 2004 and, ever since, itsdistribution and damage have been increasing. To screen a fungicide effective for oak wilt control by tree injection,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en fungicides and one antibiotic were examined in vivofor their effectiveness in restricting the growth of R. quercus-mongolicae and R. quercivora (Japanese oak wiltpathogen) isolates. To the Korean isolates of R. quercus-mongolicae, chlorothalonil showed the highest fungicidaleffects, followed by benomyl and propiconazole. To the Japanese one, propiconazole was highest in the fungicidal effectiveness, followed by benomyl and bitertanol. Propiconazole was selected for field-testing of its control efficacy because it showed good fungicidal effects in vitro and systemic activity. The control efficacy in the field was 87.5% in the first year of injection and 66.7% in the second year, indicating the fungicidal effects last at least over one year.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quercus-mongolicae was first noticed in South Korea in 2004 and, ever since, itsdistribution and damage have been increasing. To screen a fungicide effective for oak wilt control by tree injectio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en fungicides and one antibiotic were examined in vivo for their effectiveness in restricting the growth of R. quercus-mongolicae and R. quercivora (Japanese oak wiltpathogen) isolates. To the Korean isolates of R. quercus-mongolicae, chlorothalonil showed the highest fungicidaleffects, followed by benomyl and propiconazole. To the Japanese one, propiconazole was highest in the fungicidaleffectiveness, followed by benomyl and bitertanol. Propiconazole was selected for field-testing of its controlefficacy because it showed good fungicidal effects in vitro and systemic activity. The control efficacy in thefield was 87.5% in the first year of injection and 66.7% in the second year, indicating the fungicidal effects lastat least over one year.

      • KCI등재

        중· 노년기 무용활동의 재미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이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

        손수연,김선정 한국무용학회 2013 한국무용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중·노년기 무용활동의 재미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이 감정표현불능증에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이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검사도구로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일부 문항의 내용들을 수정하여 사용되었다. 설문지 응답내용 중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 고 판단되는 설문지는 제외시킨 다음 분석이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PASW Statistics 18.0 통계 프로그 램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 분석 기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 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중·노년기 무용활동의 재미요인과 심리적 안녕 감,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노년기 여성들의 무용활동의 재미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은 감정표현 불능증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중·노년기 여성에게 여가생활로서의 무용활동이 신체적 활동에 활력을 주며 심리적 안녕감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인 환경과 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어 우울, 감정표현불능에 따른 신체화가 예방 될 수 있다는 이론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