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인어 사역구문 연구 -hacer 동사를 중심으로-

        손성태 ( Sung Tae So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4 스페인어문학 Vol.0 No.31

        El el presente trabajo, nos enfocamos en el estudio de las construcciones causativas con el verbo hacer. Para ello, en el capitulo II nos marchamos haciendo algunas observaciones sobre los posibles problemas que se encuentran en las construcciones causativas en espanol y luego en el III estudiamos las teorias propuestas sobre dichas construcciones de las lenguas romances por unos liguistas como N.Maier y Xavier V. Hemos examinado sus ideas principales por medio del analisis de los datos espanoles, aceptando algunas propuestas suyas, como la incorporacion de verbos, que son apropiados para explicar las construcciones causativas espanoles y descartando otras que no lo son. El el capitulo IV hemos propuesto unas nuevas teorias para explicar el comportamiento de los cliticos de dichas construcciones. Nuestra idea es que son diferentes los modos de asignar el caso dativo y el acusativo a sus complementos de las construcciones en cuestion, y que las huellas dejadas por la subida de los cliticos deben cumplir el Principio de la categoria vacia.

      • KCI등재

        우리민족의 태양신 신앙과 아메리카 이동

        손성태(Son, Sung-Ta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2

        We have two myths on first kingdoms of our ancestor’s. One is the Myth of Dankun and the other is the Myth of the Sun-god. The first myth is well-known to us, but the second is little known to us. However many ancient books and monuments have said about our ancestor’s faith in the Sun-god. According to them, kings of Buyeo and Koguryeo, our ancient kingdoms existed in Manchuria and great Amur basin, were believed to be sons of the Sun-god. In present paper, I found many evidences that our ancestors believed in the Sun-god. One of them is the direction of ancient tombs with mural paintings of Koguryeo. These tombs are toward the west, which means that one who visits the tombs has to go toward the east, where the sun rises. Our ancestor’s method to give reverence to the sun is looking toward it. To look toward the east is to believe in the Sun-god. This idea is confirmed by the direction of Buddhist images of Busuk-temple and Sukgulam-temple. They are sitting with face toward the east, the direction of the sunrise. I found that the symbol bird of the sun of our ancestor’s was not a chinese crow with three-legs, but a cock, and that our crow with three-legs is differentiated from Chinese one by comb that our crow has. The comb was originated from comb of cock, our authentic Sun-bird. I found that bird design on clothes of the Gilyak tribe of the Amur, who was believed to be descents of our ancestors, is same as the shape of the bronze incense burner of Bekjae-kingdom. By way of comparing the two, I could explain that the bird on the top of the incense burner is a cock and the small ball under head of the cock is symbol of the sun. I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 fact that the Koreans went on a great scale over the sea to America in ancient epoch. So I compared our ancestor’s faith in the Sun-god with that of American native’s in order to prove that their faith in the Sun-god were the same as ours. Many features were found in common. One of them is the bird with spread wings, looking toward the sun. Another is number three. The Korean ancestors liked the number three so much that they believed that three was holy number. In the faith in the Sun-god of the aztecs of Mexico and the inkas of Peru was deeply mixed the number three. And the last same feature is the method of giving reverence to the Sun-god, looking toward the sun or the east. In doing research on this theme, I found a very important document saying the content of our ancestors faith in the Sun-god, where appeared three gods, three white birds, three first persons, three suns and our ancestors" legendary tale about the creation of the world.

      • KCI등재

        아메리카에 나타난 우리민족의 민속놀이(I)

        손성태(Son, Sung-Tae)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0

        우리민족 고대사에서 지금까지 설명하지 못했던 가장 큰 미스터리가 10세기 고려가 건국되었을 때, 왜 갑자기 만주대평원이 다른 민족의 영토로 변하고 우리선조들은 청전강 이남의 작은 지역만 차지하는 약소민족으로 돌변했는가 였다. 이에 필자는 2007년부터 우리선조들이 삼국시대 대규모로 아메리카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밝혀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증거의 하나로, 아메리카에 전해 내려오는 우리민족 고유의 민속놀이를 살펴보았다. 매우 다양하고 많은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가 아메리카에서 행해지고 있었지만, 그 중에 숨바꼭질, 공기놀이, 팽이치기, 죽마놀이, 고누놀이, 자치기, 널뛰기, 말타기, 등타넘기, 달집태우기를 본 연구에서 다루었다. 이 모든 놀이는 그 세세한 놀이방법이나 규칙도 우리의 것과 같지만, 일부 놀이의 경우 명칭까지 우리말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놀이에서 상대편 말을 체포할 때, 우리는 ‘잡는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아메리카 원주민들도 같은 개념의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대부분의 놀이는 19세기 이전에 채집된 것이지만, 달집태우기의 경우는 멕시코 서부 게르레로(Guerrero) 지역에서 16세기의 원주민들이 남긴 그림 역사서에 담긴 내용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그 그림 역사서는 13세기부터 1565년까지의 그 지역 원주민들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므로, 달집태우기가 우리민족 고유의 민속놀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그들은 아메리카로 건너간 우리민족의 후예였고, 멕시코에서도 달집태우기 놀이까지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We Koreans have played many traditional folk games for a long time, which were not ever played by other nations. Those games had been transplanted to America by the Koreans’ great migration to America and were played by the American natives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study, I treat some of them like hide and seek, konggi-noli(throwing a pebble and picking others on the ground), Pengichiki(playing tops), Chukma-noli(horse pole riding), Konu-noli(moving chips on the diagram), Chachigi(stick hitting), Nultuiki(jumping on board), Maltaki(human horse riding), Dungtanumki(jumping over others), Talchipteuki(buring talchip). These games are perfectly same as Korean traditional folk games in playing methods and rules even in detail. And Some games like Pengichiki and Talchipteuki are same in its names made in Korean. So I think that these games are parts of proves that the Koreans ancestors went over the Pacific to America in ancient times.

      • KCI등재

        파생 명사구 연구

        손성태 ( Sung Tae So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3 스페인어문학 Vol.0 No.26

        Es un tema muy interesante la diferencia de los comportamientos sinta´cticos que se observa en el movimiento del argumento externo y del intemo en las Frases Nominales derivadas. El argumento extemo disfruta de libertad en dislocarse a una posicio´n ma´s alta, mientras que el interno tiene varias restricciones en experimentar el movimiento. Segu´n varios ligu¨i´stas que estudiaron las mismas construcciones en ligle´s, son diferentes el papel-B que se asigna al arguemto intemo que puede mover a una posicio´n `Espec` y el que se asigna al argumento intemo que no puede mover. Asi´ pues, estos autores dan a Tema unas definiciones ma´s detalladas y delicadas para estipluar unas restricciones no sinta´cticas. Pero, en el presente trabajo, nos aprovechamos del rasgo distintivo [+agentivo] del que se disfrutan los nu´cleos de las Frases Nominales derivadas. Creemos que dicho rasho debe distinguirse en dos tipos : [+agentivo] fuerte y [+agentivo] de´bil. Nuestra propuesta es que es un rector propio sobre las huellas de los elementos deslocados solamente el nu´cleo nominal que tiene el rasgo fuerte. Con esta propuesta podemos dar explicaciones oportunas a la diferencia en cuestio´n con el principio de la Categori´a Vaci´a.

      • KCI등재

        스페인어의 여격대명사

        손성태 ( Sung Tae So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1997 스페인어문학 Vol.11 No.1

        스페인어의 여격 대명사는 비록 형태적으로는 대격에 비하여 간단하지만, 의미적 통사적 관점에서 보면 보다 많은 문제점들이 설명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우선 통사 범주로 볼 때에도, 여격 목적어는 언어에 따라서 명사구나 전치사구로 다루어져 하나로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스페인어 여격 대명사의 경우에는 형태적으로 대격과 같은 경우도 발생함으로써, 지역에 따라서는 lei`smo, loi`smo, lai`smo 현상을 보여 주기도 한다. 의미적 관점에서 볼 때, 스페인어 여격 대명사는 대단히 다양하게 나누어 진다. 우리는 그 가운데서 본 연구에서는 dativo de intere`s와 dativo e`tico의 차이점을 논하였다. 우리의 결론은 전자는 [+psicolo`gico, +fi`sico]의 변화가 일어나지만, 후자는 오직 [+psicolo`gico]의 변화만 발생한다. 이렇게 심리적 변화만 초래하면서도 다양한 뉘앙스를 가지고서 문장 속에 눈에 띄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는 우리 언어 생활 속에서 극도로 제한적인 요소일 수 밖에 없다. 우리는 그러한 요소는 대개의 경우에는 `1인칭 화자`이거나 `yo`가 포함된 `우리`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또 이 요소는 다른 여격 대명사와는 달리 의미역 이론의 측면에서 보면 의미역을 받을 수 없다. 이것은 다시 문장에서 중요하고 두드러진 역할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적 차이점은 통사적 측면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므로, 우리는 최근에 받아 들이고 있는 명사구를 SD라고 보는 이론하에서, 대격 대명사는 SD의 핵심어 위치에 오고, 여격 대명사는 SP 범주 내에서 기저 생성되며, 의미역을 받지 못하는 문체의 dativo e`tico는 동사 V에 부가되어 기저 생성된다고 보아야 함을 제안한다. 그리고 표층구조에서 이 다양한 여격 또는 대격 대명사가 어느 위치에 과연 오는가, 그리고 어떻게 오는가 하는 문제는, 학자들간에도 이견이 많은 여러가지 선결문제가 개입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 KCI등재

        이동이론을 통한 스페인어 교수법 연구

        손성태(Son Sung-tae)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6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3 No.2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troduce a new teaching method for Spanish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Movement theory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we want to show that this new method can explain Spanish grammar phenomeno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school grammar. For this purpose, we start with some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of the Korean and Spanish languages. We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s by comparing their nominal phrases and simple sentences from the point of view of Movement theory. The difference is that the Korean language does not have movement phenomenon but the Spanish language does. This difference is consistent in all of complex clauses with relative pronouns. We show that with this theory we can teach Spanish nominal phrases, simple clauses, exclamative clauses and relative clauses in a unitary and effective method of explication without a supposition ad ho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