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진핑 시기 중국의 국가안보전략과 한반도 군사 개입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중국의 대(對)한반도 국가이익을 중심으로 -

        석영달 대전대학교 안보군사연구원 2023 안보군사학연구 Vol.- No.23

        In Korean academic circles, there are ongoing analyses of China’s recent assertive actions in the Indo-Pacific using various theories. However, there has been a noticeable absence of specific attention directed towards China’s national security and military strategies that underpin these actions. The predominant approach has been to infer China’s national security strategy solely from a ‘security perspective’ without giving due consideration to the national interests China may be considering with regards to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Chinese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based on China’s national objectives and defense policies, and analyzes their military strategies accordingly.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re national interests that China considers in rel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conjunction with their military strategy. It also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oreseeable future. These discussions are expected to yield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impact of China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vent of a future emergency in North Korea. Furthermore, it provides suggestions for strategic preparations that should be made to effectively respond to such a scenario.

      • KCI등재

        이순신 해외 전파의 연결고리: 제임스 머독의 <일본의 역사>

        석영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0

        Homer Bezaleel Hulbert and George Alexander Ballard have been noticed as the two main figures in the propagation of the image of Admiral Yi Sun-shin to the West. Hulbert was a ‘Koreaphile’ who introduced Admiral Yi to the Western world. Ballard was a high-ranking Royal Navy officer who favorably compared Admiral Yi to Admiral Nelson and otherwise touted his accomplishments. However, there is a missing link in the propagation of the image of Admiral Yi to the West between the efforts of Hulbert and Ballard. That link is ‘James Murdoch.’ This study examined Murdoch who has long been marginalized in Korean academia even though his book on Japanese history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propagation of the image of Admiral Yi abroad. Murdoch faced many difficulties in his life. After much wandering around the world, he finally settled down in Japan where he wrote A History of Japan, his three-volume masterpiece on Japanese history. The second volume included 16th century Japanese history and so discussed the Imjin War in which Japan invaded Korea and in which the legend of Admiral Yi began.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this work is that it also draws the comparison between Admiral Yi and Admiral Nelson. This comparison did not originate with Murdoch, but actually arose from Japanese sources in the 1890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Japanese wanted the power of the Japanese navy to surpass that of Western navies. They appropriated the legendary history of Admiral Yi in pursuit of this goal. It was in this context that the comparison between Admiral Yi and Admiral Nelson arose. However, this comparison did not last long because of the performance of Tōgō Heihachirō in the Battle of Tsushima (1905). In this battle, Tōgō soundly defeated the Russian navy, causing him to become a source of pride in Japan, so the Japanese had no further need to compare Admiral Yi to Admiral Nelson. However, Murdoch’s history was published in 1903 before the Tōgō had achieved his famous victory, a time when the comparison between Admiral Yi and Admiral Nelson was still prevalent. Murdoch wrote about this comparison because it was so popular at the time and Ballard quoted from Murdoch’s history.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image of Admiral Yi was propagated to the Western world more broadly.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순신의 해외 전파’라는 주제에 있어 전면에 다뤄졌던 인물은 호머 베잘렐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와 조지 알렉산더 밸러드(George Alexander Ballard)라는 두 사람이었다. 이 중 헐버트는 친한파 외국인으로서 이순신을 넬슨에 비유하여 서양에 최초로 소개한 인물로서, 그리고 밸러드는 영국의 고위 해군 장교로서 이순신을 ‘동양의 넬슨’으로 상찬한 인물로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이순신이 해외로 전파되는 과정을 좀 더 명확히 하자면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하나의 미싱 링크(missing link)를 밝힐 필요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제임스 머독(James Murdoch)이라는 인물이다. 머독은 자신의 본국인 스코틀랜드를 떠나 삶의 터전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으로 옮기면서 부인과의 불화를 포함한 복잡한 삶의 굴곡을 겪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일본에 정착하게 되는데, 여기서 우연한 계기로 일본의 역사를 『일본의 역사』(A History of Japan) 1,2,3권으로 남기게 되었다. 그리고 이 3권 중 2권에서는 일본의 16~17세기의 역사, 즉 임진왜란과 이순신과 관련한 역사를 포함한 시기를 다루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이 책이 임진왜란과 이순신의 역사를 그냥 서술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우리나라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이순신-넬슨’ 비교 담론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비교 담론은 비단 머독으로부터 시작된 것은 아니었으며, 이미 1890년대부터 일본에서 성행하던 것이었다. 19세기 말 일본은 서양을 극복하고, 초월할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줄 동양의 해군 대표 장수로 이순신의 전설적인 역사를 활용하고자 했으며, 그 맥락에서 일본 내에 ‘이순신-넬슨’ 담론이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일본에서 이 담론의 생명은 그리 길지 않았다. 1905년 쓰시마 해전을 통해 러시아를 제압한 영웅 도고 헤이하치로가 등장하면서 더 이상 일본에서는 이순신을 ‘동양의 넬슨’으로 전유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1905년 이후에는 일본에서 도고를 서술할 때 주로 ‘동양의 넬슨’이라는 비유를 사용하고, 이순신에게는 그러한 비유를 더 이상 거의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머독은 일본 내에서 이러한 담론의 변화가 있기 전, 즉 도고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이며 아직 ‘이순신-넬슨’ 비교 담론의 성행이 절정에 달하던 시점인 1901~1903년에 책을 저술하고 출판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시점에 저술된 머독의 책이 서양으로 전파되고, 그의 책을 인용한 조지 알렉산더 밸러드의 책이 더욱 파급력 있게 소비되면서 서양에는 ‘이순신-넬슨’이라는 비교 구도가 삭제되지 않은 채로 널리 퍼지게 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머독의 책은 일본의 자료만을 다룬 편향된 역사가 아니라, 헐버트의 충실한 한국사 서술을 포함한 다양한 서양의 자료들을 함께 종합, 분석하여 다룬 역사 서술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미군의 인삼 복용?" : 20세기 말 인삼의 미국 식이보충제 시장 편입과 미군 매뉴얼

        석영달,Seok, Yeong-dal 고려인삼학회 2019 인삼문화 Vol.1 No.-

        이 논문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미국삼이 19세기 서구 약전에서 퇴출된 이후, 20세기에 수출 상품으로서 위기를 겪고, 결국은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사회와 군대 내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먼저 1994년의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이라는 법령의 제정은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미국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해줬고, 그 결과 인삼은 과거 약전에서의 퇴출 이후 '식이보충제'로서 <미국 약전 및 국민 처방집>에 다시 등재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인삼과 기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완전한 연착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경계한 미국의 의학계에서는 끊임없이 '위험 담론'을 제기하면서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식이보충제 활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것은 <식이보충제 건강 및 교육법>의 느슨한 검증 제도로 인한 근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중들이 전문 의료인들을 찾기보다는 직접 식물성 식이보충제에 대한 정보를 얻어 그것을 통해 본인의 건강을 돌보고자 하는 새로운 분위기와도 관계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옹호 담론'을 펼치는 식이보충제 제조업자 및 식물 약재 관계자들의 주장은 다소 여유로워 보였다. 소비자들이 '옹호 담론'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옹호론자들은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오랜 세월 아무런 문제없이 세계적으로 활용되어왔으며, '천연의' 원료로 만들어졌다는 점만 강조하면 되었기 때문이다.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식이보충제들이 사회 내의 담론 충돌 속에서도 식품 통제에 엄격한 미군의 식이보충제 매뉴얼에까지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 내의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에서 살펴본 미군의 초창기 식이보충제 매뉴얼에서 인삼은 여러 식물성 식이보충제 가운데 가장 자세하게 다뤄지고 있었다. 물론 그 속에는 사회 내에 존재하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다소 섞여있었지만, 효능에 대한 충실한 과학적인 설명이나 인삼의 미국 사회 내 성행과 영향력에 대한 언급도 분명히 함께 이뤄지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식이보충제로서의 인삼'에 대한 미국 사회의, 그리고 미국 군 내부의 관심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rocess of ginseng being removed from the Western pharmacopoeia in the 19th century, experiencing a crisis as an export product in the America in the 20th century, and eventually settling in the U.S. society and the military as a dietary supplement in the 21th century. In this process, the legislation of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of 1994> provided a bridgehead for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to enter the U.S. market. As a result, ginseng could be re-listed in the U.S. pharmacopoeia as a dietary supplement. However, this did not mean a complete soft landing of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in the America. The U.S. medical community, which has been afraid of the indiscriminate spread of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has constantly raised "the risk-discourse" and expressed concerns over the use and abuse of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that have not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This involved not only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lax verification process of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of 1994>, but also a new atmosphere in the U.S. where the public sought information about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rather than seeking professional clinicians related to their health. Against this situation, "the advocate-discourse" suggested by dietary supplement manufacturers and the people in charge of botanical products seemed rather relaxed. As consumers are taking this side, the advocates had only to stress that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have been used worldwide for a long time without any problems and were made from 'natural' materials. The fact that ginseng and other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were able to advance to the U.S. Military's dietary supplement manual, which is strict in controlling food, seems to have jumped on the bandwagon of this atmosphere in the U.S. Society. In the early U.S. dietary supplement manual reviewed in this paper, ginseng was the most detailed among many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safety concerns' that still exist in the civilian society, but there are also certainly good scientific explanations for the efficacy and references to the popularity and influence of ginseng in the American society. Given this, the U.S. society and military's interest in ginseng as a dietary supplement seem quite high.

      • KCI등재

        한국전쟁기 ‘잔류파’ 문학인의 경험과 삶의 태도 변화 : 박계주의 반공수기 및 해군 종군작가단 활동에 대한 고찰

        석영달 부산경남사학회 2023 역사와 경계 Vol.126 No.-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life of Park Gye-Ju, a Korean intellectual, and explores his thoughts and judgments on his military writing group activity and artistic activiti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historical event of the Korean War. Park Gye-Ju was an individual who lived in turbulent times and was able to adapt well to the changing currents of the era. Before liberation, he consistently showed a ‘pro-Japanese tendency’ in his works, but after liberation, he immediately added a ‘pro-Korean independence color’ to cover up his past, and late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leftist literary circle. However, as the domestic literary atmosphere shifted towards the right and the Korean War brought great hardship, Park Gye-Ju suffered greatly. In particular, the label of ‘Remaining Group’ which was attached to him during the Korean War, threatened his personal safety because of his past leftist activities. Previous research in Korea evaluated his anti-communist memoirs and military writing group activity as voluntary, but this paper shows that his background reveals a sense of urgency to demonstrate his ideological innocence. After the Korean War, Park Gye-Ju dedicated himself to transcending the label of ‘Popular Writer’ and striving to become a genuine writer, using the safety measures he had established during the war as a stepping stone. While popular novels undoubtedly brought him fame and success, he felt that as a ‘leftist popular writer,’ he could not survive in the reorganized literary circle after the Korean War. His life and artistic activities reflect the struggles of many intellectuals who lived through the disorderly era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llustrating the conflict between adaptation to mainstream, self-justification, and efforts for survival.

      • KCI등재
      • KCI등재

        필립 머피(Philip Murphy)의 역사학적 여정: 2차 대전 후 영국과 영연방의 관계 변화 속에서

        석영달 ( Seok Yeong Dal ) 영국사학회 2018 영국연구 Vol.40 No.-

        이 글은 필립 머피(Philip Murphy)의 연구 여정을 따라가면서 ‘2001년’ 이라는 분기점에 의미를 두어 그의 연구를 두 개의 갈래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 중 먼저 첫 번째 갈래에서는 2차 대전 이후 영국이 영연방과의 관계에서 보여준 ‘이중적인 태도’를 다룬다. 머피는 여기서 영국이 ‘왕실’을 통해 영연방 국가들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던 사례들을 다루며, ‘영연방을 유지하고 싶지만 그럴 여력과 의지가 부족했던’ 당시 영국의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그의 연구의 두 번째 갈래는 영국 정보기관과 영연방 국가들의 정보기관 간의 관계를 다룬다. 여기서 ‘정보기관’이라는 새로운 분야처럼 보이는 연구는 사실 머피의 첫 번째 연구 갈래와 결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이는 영국 정부가 정보기관이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영연방을 어떻게 ‘관리’하고자 노력했으며, 그 노력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어떻게 미온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보이고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의 결론부에서는 머피의 연구 관심이 어떻게 ‘국적법 논의’라는 다소 색다른 주제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해 언급한다. 그것은 영 제국의 영광을 놓지 못했던 영국이 시대적 변화를 겪으며 점차 그 과거의 향수와 결별하고 단일국가로 나아가고자 하는 모습과 맞닿아 있는 것이었다. This study explores how Philip Murphy’s research interests have developed during his academic career so far. While examining significant changes in his research interests, this paper also suggests that one main theme, the relations between Britain and Commonwealth countries in Africa, has been consistently addressed throughout his academic career. Although a few Korean studies dealt with the British Commonwealth and the identity of Commonwealth countries,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those Commonwealth countries in Africa and their problematic identity. The paper stresses that from the year 2001 onwards Murphy has concentrated on two issues: one concerns the ambivalent feelings of Britain’s political elite about the control of the African Commonwealth countries and the other is about the ways in which the British intelligence agency has formed a network with its counterparts in the Commonwealth countries and has utilized those agencies. The latter theme forms part of Murphy’s ongoing interest in the relations between Britain and the African Commonwealth countries, and illuminates how the British government has sought to manage the Commonwealth through intelligence agency and how this practice has changed over time. The paper concludes by looking at how Murphy’s research interest has finally focused on the Nationality Act, which he believes was related to Britain’s escape from the nostalgia of imperial Britain.

      • KCI등재

        연구논문 : 1920년대 영국 해군 중장 조지 밸러드의 일본사 저서가 갖는 의미 -『해양이 일본 정치사에 미친 영향』(1921)을 중심으로-

        석영달 ( Young Dal Seok ) 영국사학회 2015 영국연구 Vol.34 No.-

        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영국이 맞이한 시대적 변화의 흐름은 오랫동안 영국과 일본이 맺어왔던 관계 역시 변화시켰다. 1902년 영일동맹 이후 오랜 세월 동아시아에서 영국의 든든한 우방국이었던 일본은 1920년대로 접어들며 점차 위협적인 경쟁자로 변해갔다. 이런 상황의 변화를 기민하게 인식했던 영국 해군성은 정부 및 대중에게 이를 알리고 해군력 증강을 통해 일본을 견제하고자 했다. 하지만 전쟁 이후 국방비 지출에 부정적이었던 정부 및 대중의 태도는 쉽게 바뀌지 않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해군 중장 조지 알렉산더 밸러드는 『해양이 일본 정치사에 미친 영향』(1921)이라는 책을 펴내게 된다. 밸러드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에게 일본이 해양을 이용하여 어떻게 성장했는지,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에서 얼마나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는지를 보이고자 했다. 그리고 이와 함께 한 때 세계의 해양을 장악했던 영국이 현재에는 어떤 위치에 놓여있는지 글의 행간에서 암시적으로 묘사했다. 결과적으로 밸러드는 일본 해양사 서술을 통해 영국 내에 일본의 위협적인 성장을 알리고, 이와 동시에 영국이 동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 해양에서 다시 한 번 일어서고자 한다면 해군력의 증강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리고자 했다. After end of the World War I, the changes in the time flow of generation that Britain had faced also changed the old relationship with Japan. After signing the Anglo-Japanese alliance in 1902, for almost twenty years Japan had been Britain`s strong ally in East Asia, in the 1920s however, Japan came to be a threatening competitor. The Admiralty recognizing the situation in a sensitive manner tried to inform the British public of its happening, and wanted to restrain Japan through naval buildup. But it was not easy due to the British government and public`s negative view for increasing the national defense budget. Under these circumstances, George A. Ballard wrote The Influence of the Sea on the Political History of Japan. In the book, Ballard wanted to explain how Japan develop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sea. Moreover, he tried to emphasize that Japan had become the most threatening nation in East Asia. Then, he tried to describe Britain`s naval status in the Asia-Pacific region in light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s growth. As a result, Ballard wanted to notify the government and public about Japan`s threatening growth by writing Japanese maritime history, and intended to inform that the naval buildup is necessarily required to recapture past glories of the Royal Navy.

      • KCI등재

        평화가 가져온 군의 딜레마: 19세기 영국 해군의 진급 적체와 개혁 시도

        석영달 ( Seok Yeong-dal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2 No.-

        18세기까지 이상적으로만 여겨졌던 영국 해군의 인사 시스템은 19세기의 ‘평화’를 맞이하여 예상치 못한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그것은 이전까지 인사 시스템의 동력이 되었던 ‘계속된 전쟁과 전투’라는 환경이 19세기에 이르러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이었다. 이 변화는 곧 장교들의 해상보직 감소와 진급 기회의 부족으로 이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군본부에서는 다양한 조치를 시행했으나, 그것은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았다. 1870년 해군 장관으로 부임한 차일더스는 내각의 정치적 지원 속에서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급진적인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먼저 해군본부의 조직 개혁을 단행하여 권력을 장관에게 집중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진급 및 전역 제도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이 개혁은 여러 해군장교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차일더스는 이에 굴하지 않고 그 누구에게도 ‘예외 없는’ 개혁을 시행하고자 했다. 하지만 개혁이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발생한 ‘<캡틴 호> 침몰 사건’은 그의 개혁 기조에 균열을 가했다. 이 사건의 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차일더스가 해군본부 위원회를 ‘중앙 집권화’하면서 장교들과의 ‘의사소통’을 차단했고, 그것이 캡틴 호 제작에서 제기된 문제를 간과하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그의 개혁에 불만을 표했던 ‘측근들’에 의해 폭로되었고, 영국의 여론은 차일더스에 대해 비난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결국 이 비난을 견딜 수 없었던 차일더스는 해군 장관직을 사임하였고, 그가 추진했던 해군개혁은 미완으로 멈출 수밖에 없었다. In the 19th century, the personnel system of the Royal Navy that was considered ideal until the 18th century was suddenly faced with an unexpected dilemma. The dilemma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personnel system was naturally established through numerous battles in the 18th century, but these conditions were no longer applicable in the peace of 19th century. As a result, the Royal Navy was confronted with a shortage of officers’ positions and a lack of opportunity for promotion. In order to handle this issue, the Admiralty implemented various measures, but these were merely temporary solutions. In 1870, the First Lord Hugh Childers, with political support from the Cabinet, introduced radical reforms. First, he put into effect organizational reforms within the Admiralty, shifting power to the hands of the First Lord. This measure facilitated stronger reforms in the promotion and retirement scheme. While these changes resulted in heated opposition from numerous officers, Childers went forward with his reforms allowing no exceptions. On 7th September 1870, in the midst of the reform, the Royal navy witnessed the devastating sinking of the H.M.S. Captain and this obstructed Childers’ plan. Investigations into the incident revealed that Childers’ efforts to centralize the Admiralty resulted in a lack of communication and this led to negligence in addressing problems related to building the ship. Childers’ former ‘close aides’ who had discontent against Childers’ policies, did not hesitate to expose these findings, which roused public antipathy toward his reform. Childers was not able to endure criticisms and thus, resigned from his position in the end, with his reforms having never been completely realized.

      • KCI등재

        역사 연구가 해군력에 미친 영향 -빅토리아 시대 후기 영국 해군 역사학 운동을 중심으로-

        석영달 ( Seok Yeong Da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6 學林 Vol.38 No.-

        19세기 중후반 영국은 다른 유럽 열강들과의 끝없는 건함 경쟁 속에서 해군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며 물리적인 해군력에서 계속해서 앞서 나가고자 노력했다. 그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어 증기 장갑함의 시대가 도래한 이후에도 영국은 군함의수나 무기 체계의 측면에서 여전히 세계 제1의 해군력을 유지해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영국 해군의 내부를 자세히 들여다봤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영국 해군은 장교들의 ‘정신 전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에서 새로운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었다. 증기선의 도입 이후 기술의 변화를 따라가기 위해 기술 교육에만 급급해하던 당시 교육의 세태는 장교들이 전쟁사 연구를 통해 전략, 전술 등을 습득하는 데에 소홀하도록 만들었다. 이런 교육 체계의 문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해졌고, 전사 및 전략 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장교들의 무지는 영국 해군에게 새로운 위협이 닥쳤을 때 해군성에서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나 준비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도록 만들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그 문제점을 인식하고, 바로 잡고자 노력했던 움직임이 바로 로튼, 콜롬, 브리지, 콜벳 등의 인물이 이끌었던 ‘해군 역사학 운동’이었던 것이다. 해군 역사학 운동은 장교들이 전쟁사, 특히 해군사를 연구하고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그 속에서 과거의 전략 및 전술 교리를 탐구하고, 나아가 그것을 현재의 해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줬다. 그리고 그런 지적 조류의 변화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는 더 이상 쓸모없을 것만 같았던 과거의 역사적 교훈들이 시대를 관통하며 영국 해군의 전략 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역사학운동은 전략 수립을 위한 장교 교육에만 머무르지 않고 역사를 통한 교훈 도출을 통해 전략 및 전술의 원리 및 군의 역사적 정체성 확립에까지 여파를 미치면서 영국 해군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n the mid-late 19th Century, the Royal Navy tried to keep their position by investing a lot of budget in the ‘Naval Arms Races’. Due to the endeavor, the Royal Navy could maintain ‘the most powerful navy in the world’ in the aspect of the number and weapon system of battle ships. However, it is not the same in the aspect of naval officers’ mental power. In that time, the educational trend of the Royal Navy was only focus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to keep up with the technological changes. Therefore, the Royal Navy officers became ‘exam-oriented’ and uninterested in learning and studying naval strategies, tactical principles and naval history. This problem got worse and worse with time. The deficiency of the knowledge about history and naval strategies made the Royal Navy difficult to prepare and cope with the new threat and the changing circumstances. The Historical Movement of the Royal Navy was the effort for redressing this situation. The Historical Movement of the Royal Navy made the mood for studying naval history and the environment for encouraging the improvement of naval strategies and tactical principles of the past. It cultivated the ability of naval officers to adjust the legacy of the past to the present. The change of the stream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teachings of the past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Royal Navy. Furthermore, the Historical Movement not only focused on making a strategy but also drawing the lesson related to officer’s virtues from history. It had an impact on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naval strategies and the identity of the Royal Nav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