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궁중 춤 전통과 그 전승의 이해: 시용(時用)의 의미

        서정록 ( Jung-rook Se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8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궁중춤의 전승에 대한 상이한 태도에 관해 심도있게 조사하고 그 차이점의 이유을 추정해 보고자 했다. 한국의 경우, 왕조의 교체 시, 이전 왕조를 철저하게 배격하기 보다는 계승자임을 자처하곤 하였는데, 이러한 태도는 중국의 왕조 교체시 나타나는 현상과 매우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왕조들은 이전 왕조의 전통 중 자신의 새로운 통치 철학에 부합할 경우 이를 전승하였는데, 이때 춤을 포함한 이전 왕조의 전통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닌 시대의 요구에 맞게 이전 왕조의 전통들을 수정 혹은 재창작하였다. 반면 일본의 경우 만세일계의 믿음속에 왕조의 교체 경험의 부재로 궁중의 춤의 전승에 있어 보존에 초점을 맞추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양국의 시대에 따른 궁중 춤의 공연 레퍼토리의 변화와 또 여러 악서에서 보이는 전문 용어 등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일본의 궁중 춤 공연 러퍼토리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 전승에 있어 일본 궁중악이 성립된 헤이안 시대 이후 새로 추가된 작품이나 창작품의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의 경우 시대에 따라 이전 시대의 작품들 중 일부가 전승되는 것과 함께 새로운 작품들이 창작되거나 재안무 되는 등 다양한 변화가 있다. 게다가 한국의 경우 상당수의 춤 관련 문헌들에 보이는 ‘시용(時用)’이라는 용어는 한국의 궁중춤은 시대와 공연상황에 맞추어 변화가 가능하였고, 그 전승에 있어서도 유연하였음을 보여주는 예라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국의 궁중 춤에 보이는 춤 레퍼토리의 변화에서의 차이점과 궁중악 관련 용어들의 비교를 통해 일본과 한국의 궁중악에 있어 전통을 대하는 태도가 달랐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delved into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 court dance transmission in Korea and Japan and tried to explain the reasons for them. To justify reformation, Korean rulers have often used the idea of the Five Virtues Cycle, specifically, the idea of generating. The application of this idea has created the notion that predecessors were considered producers, supporters and creators of the subsequent dynasties. The court dance transmission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is same idea.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Japanese emperor was a nominal ruler, the Japanese believe they have had no experience of overthrowing any dynasty for more than 1000 years. This belief would have been decisive in influencing the conservative and passive attitude toward transmission in the Japanese court. The different attitudes are found in various ways, such as in the aims involved in the writing of performance theory books, terminology, and changes in the repertoires according to the period. While most old Japanese books of dance were written to preserve and transmit traditions and techniques, most Korean books like Akhak kwebom were written to serve purposes of innovation and re-creation. The main motivation to write Kyokunshyo was to preserve gagaku performances. It may manifest the conservative tendency. In contrast, in Korean court dance the term siyong, ‘using by surrounding circumstances’, is commonly found. When we analyse changes in dance repertoires through the ages, we find a number of newly created and innovative pieces in the Korean court,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but it is hard to find new dance pieces in Japan after the Heian period. It suggests that attitudes toward court dance transmission in Korean and Japanese court dance are different.

      • KCI등재

        신라(新羅)의 「금환(金丸)」과 「월전(月顚)」과 일본(日本) 아악(雅樂)

        서정록 ( Jung-rook Se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0

        본 연구는 최치원의 시 「향악잡영오수」중 「금환(金丸)」과 「월전(月顚)」을 분석하여 고대한국 춤 보다 더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공묘기를 묘사한 금환이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춤이었음을 밝히었다. 또 본 연구를 통해 최치원이 이 공연을 경주나 울산 부근에서 관람하였음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금환은 일본의 『신서고악도』에 시라기가쿠(즉 신라악)이라고 소개한 「타마토리(弄玉)」와 유사함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향악`이라는 개념이 고려시대부터가 아닌 신라시대에 이미 존재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한편 「월전」의 경우 본 연구를 통해 이 춤이 고대 음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일본의 「코토쿠라쿠(胡德樂)」 「월전」이 매우 유사한 작품임도 밝히었다. 특히 두 춤의 비교를 통해 그 동안 의문시 되었던 「코토쿠라쿠」의 가면에 코가 삐뚤어지는 이유가 바로 음주와 관련이 있으며, 이 가면의 모습을 통해 지금까지 정확하게 의미가 파악하기 어려웠던 `月顚`이라는 의미가 코를 관련되었을 가능성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고대 한국의 춤은 일본의 춤의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또 한국 춤 이해에 있어 일본 궁중춤의 연구가 좀 더 촉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to understand the ancient Korean dances through the analysis of Five poems regarding various Korean performances(鄕樂雜詠五首Hyangak chapyong osu) particularly, `Kumhwan` (金丸) and `Wolchon` (月顚). With the study, we may find Kumhwan is a juggling dance to wish to make peace. We could also discover that the poet watched this performance in Ulsan area or Kyongju. In addition, Tamatori (弄玉) in an old Japanese painting could be related to Silla Kumhwan. On the other hand, Wolchon could be connected to the Wine-drinking Game in the Ancient East Asia. It is interesting that The Japanese court dance Kotokuraku (胡德樂) is quite similar to Wolch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Wolchon and Kotokuraku, we could explain why the mask of Kotokuraku has a wrenched nose. Korean idiomatic phrase has a similar expression to the Kotokuraku mask: “as crooked as the nose (코가 삐뚤어질 만큼)”. It corresponds well with the theme of Kotokuraku. Through the comparison, we could also guess that the meaning of the unique title Wolchon may depict the nose of the mask. In this sense, we can assume that the mood of this dance could be funny and com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