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화기 시가의 장르론적 연구

        서재길 空軍士官學校 1997 論文集 Vol.39 No.-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transition of writing groups and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gen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epochal situation in enlightenment period(개화기). At the period when the independence association(독립협회) took the leadership of social movements,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oetry(애국계몽가류) which the new bourgeoisie had written represented their abstract passion for the enlightenment and new ages through the conjuration of poetry. while, at the times when japanese imperialism have encroached korea peninsula in a full-scale, the enlightened confucianists who le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애국계몽운동) expressed their ideas through the korea-daily-newspaper verses(대한매일신보), which had the form of descriptive poetry, that is, an epic and their satiric dictions reflected the epochal more effectively.

      • KCI등재

        한국 영화 속에 나타난 원효 -『신라성사원효』와 『원효대사』를 중심으로-

        서재길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삼국유사』의 문헌설화에서 비롯된 원효의 이야기가 1942년 이광수의 역사소설 『원효대사』와 1940년대 후반의 영화 시나리오 『신라성사원효』를 거쳐 1962년의 역사극 『원효대사』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원효에 대한 문화적 표상의 변화를 살핀 것이다. 이광수의 역사소설은『삼국유사』에서 비교적 가볍게 다루어진 ‘파계’라는 문제를 전면화함으로써 대일 협력 시기 작가 자신의 내면을 여성의 정조 상실 혹은 불승의 파계와 같은 것으로 동일시하고 있었다. 원효대사에 대한 최초의 영화화 시도인 『신라성사원효』의 경우 소설 『원효대사』에서 대부분의 이야기를 가져오면서도 이광수가 공을 들였던 ‘파계’라는 주제와 신라의 고신도에 대한 서술은 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흥행예술로서의 성격에 부합되게 원작을 각색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효라는 역사인물을 영화로 완성한 『원효대사』의 경우 ‘오도설화’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영화적 볼거리로서의 활극적 서스펜스와 인물들의 코스튬을 강조하였다. 이 영화는 원효를 일세의 풍류남으로 설정하고 주변의 여성들과의 러브라인을 스토리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흥행에 성공하면서 구도자로서의 원효의 삶과 내적 고뇌를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사상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수작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monk Wonhyo in various cultural texts, including novels and films such as Yi Kwangsu’s novel Great Monk Wonhyo (1942),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in the late 1940s, and the historical film Great Monk Wonhyo (1962). By highlighting the theme of the violation of the Buddhist commandments—which was neglected in Samguk- yusa,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y Iryon—Yi Kwangsu’s historical novel Great Monk Wonhyo identifies the author’s mind with that of a spoiled monk or that of a woman who lost her virginity as Yi was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at that time. The film script Wonhyo, the Holy Monk of Shilla was the first attempt to depict the Wonhyo story in film, and the adaptation seemed to succeed as a popular culture text by excluding both the theme of a monk’s viol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osindo, a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lthough the adaptation drew from many episodes from Yi’s novel. Great Monk Wonhyo, the first completed film about the monk Wonhyo, emphasized suspense and splendid costumes as cinematic spectacles, whereas it removed the famous episode of Wonhyo’s spiritual enlightenment. This film gained box office success by characterizing Wonhyo as a playboy of the age and by putting the love stories about his relationships with many women at the center of narrative. This film could also be considered a great artistic and philosophical film that expressed the life of Wonhyo and his inner conflict as a truth-seeker through the performances of the film’s excellent stars.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라디오 예술과 전통의 문제

        서재길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1930년대 후반의 라디오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있어서 전통적 예술이 새롭게 호출되는 양상과 그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경성방송국의 제2방송(조선어방송)에서는 전쟁기에 돌입한 1930년대 후반까지 ‘조선적’ 색채가 농후한 전통 음악 및 야담 등의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방송하였는데, 이는 청취자들의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기호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방송국과 총독부의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식민 통치의 효율화를 위해 라디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던 총독부의 의도와는 달리 조선인 사회에서의 라디오 수용 현상은 오히려 조선의 전통 문화를 확산하는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라디오 방송을 통한 전통 음악 방송 중에서 민속악의 경우 ‘아래로부터의’ 대중적 인기에 의거해서 편성이 이루어진 것이라면 ‘아악’이나 ‘민요의 발굴’과 같은 경우는 ‘위로부터의’ 정치적인 맥락 속에서 도입되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라디오를 통한 아악 방송은 아악을 대중화하는 것을 통해서 조선의 궁중음악이 지녔던 신성성을 탈피시키고 이를 제의적인 맥락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오리엔탈리즘적 시선 속에서 존립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총독부와 조선방송협회의 조선 토속 민요 발굴 사업은 연예 오락 프로그램의 ‘건전화’라는 명목하에서 총독부의 이데올로기 지배 방침인 ‘심전 개발’을 위한 것인 동시에 ‘제국’의 일부분으로서의 ‘조선’의 로컬리티를 오리엔탈리즘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일환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The Problem of ‘Tradition’ in Radio Art in Late 1930s Seo, Jae-Kil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aspects of recall of tradition and historical contexts of it focusing on traditional Korean music in radio entertainment program in late 1930s. Until the end of 1930s, the beginning of Sino-Japanese War(中日戰爭), ethenic Korean program such as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historical story was on air by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京城放送局) Channel 2. It was made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朝鮮總督府) and Korea Broadcast Association(朝鮮放送協會) who couldn’t have to considerate Korean listeners’ taste in radio program.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o envisioned the political usage of radio in mobilization and education for war, traditional Korean culture was spread in the phenomenon of radio listenning in Korean society. Traditional Korean music can be devide into two genres; the one is fork music such as Pansori(판소리), which was programmed owing to the popularity from ‘under’ Korean listener society, the other is ‘discovered tradition’ such as Aak(雅樂, the Korean court music) and ‘the discovered fork song’ which was introduced from ‘above’ in the political context. By removing divinity from the the court music Aak and separating it from the ritual context, broadcasting of aak and popularization of it was aimed for its colonial existence by the Japanese Orientalism. Korean traditonal fork song discovery event and its broadcasting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Korea Broadcasting Association under the motto of soundness of radio entertainment program, was projected for the Mentality Development(心田開發) policy and there was Japanese orientalism aimed to reconstruction of locality of Korea as a part of Japanese Empi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나운규 영화와 만주 - <사랑을 차저서>를 중심으로

        서재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0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features of Searching for Love (Sarangeul Chajaseo), the famous 1928 Korean silent film directed by and starring Na Ungyu. Originally entitled Crossing the Duman River, due to colonial censorship, the title was changed and the film was heavily edited. The film seems to be censored for three reasons. Firstly, original title might imply Korean resitance to Japanese oppression. Secondly, the trumpet call of the old Korean veteran in the film may have been construed as a call to arms. Thirdly, the nationalistic and resistance imagery of the school where the heroes and heroines settled in Manchuria might also have been problematic. Viewed as a cine-roman, the film itself is full of comedy, performance and action, possibly due to the removal of other important scenes. Although the prevalent tone of the movie is tragic, various songs, including the film’s theme song, are arranged in the film to be sung with an orchestral accompaniment in the movie theater, makes the audience laugh at the jokes and funny actions of the actor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aspect of the film is the action performances in hand-to-hand and gunfighting scenes between the protagonists and antagonists. Scenes involving the Korean hero’s gunfight on horseback are especially reminiscent of Hollywood horse operas and these make the movie stand out from other colonial Korean films. According to a review at the time, it was the heroism and actions of the protagonists rather than the tragic theme of the migrants’ fate in Manchuria that fascinated the film’s colonial audience. The fact that colonial audiences cheered at the Hollywood action implies that this film might be arranged mainly by the hero’s picture personality of action. It is also true that Manchuria was the very place that Na Ungyu could show his picture personality of action to the full. In this sense, Na Ungyu’s Manchuria might be a “heterotopia,” the Foucauldian space that is both realistic and mythical, because Manchuria exists as a migrant destination and the mythical space of a colonial Korean action film as well. 이 논문은 나운규가 감독, 주연한 무성영화 <사랑을 차저서>의 미학적 특징을 만주라는 공간과 결부시켜 논의한 것이다. 당초에 <두만강을 건너서>라는 제목으로 촬영된 이 영화는 식민권력의 검열을 거치면서 <사랑을 차저서>라는 제목으로 개봉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필름의 상당 분량이 삭제되는 수난을 겪었다. 검열의 이유는 첫째 ‘두만강을 건너서’라는 제목이 환기하는 저항적 이미지에 대한 식민권력의 즉물적 거부반응, 둘째 구한국 시절 군인으로 설정되었던 포포수 노인의 나팔소리가 식민지 대중들에 대한 선동으로 간주되었을 가능성, 셋째 두만강을 건너 만주에 정착한 주인공들이 생활하고 있는 학교가 지닌 민족학교적 색채와 저항적 이미지가 문제시되었을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중요한 장면들이 검열로 인해 삭제되었기 때문인지 영화소설 텍 스트에 국한해서 보면 영화 그 자체로서는 희극적 웃음과 공연성 및 활극성으로 충만해 있다. 비극적 정조 속에서도 등장인물들의 농담이나 행위는 관객들의 웃음을 유발하고 있으며, 극장에서 상연될 때 오케스트라 반주에 따라 가수가 부를 수 있도록 중간 중간 주제가를 비롯 다양한 노래가 적극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영화의 가장 중요한 미학적 포인트는 활극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조선인 남성 주인공이 말을 타고 총을 쏘는 등 할리우드 웨스턴을 방불케 하는 장면은 식민지기 영화에서는 매우 낯설고도 독보적인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당초에 표방한 만주 유이민의 애환이라는 무거운 주제 보다는 주인공의 영웅적 면모와 활극성이라는 측면이 더 부각되었다. 실제로 지식인 영화비평가들과는 달리 식민지 관객들이 할리우드적 활극성에 환호한 것은 결국 이 영화가 남성 주인공의 활극적 픽처 퍼스낼리티를 위주로 화면이 편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당초에 만주라는 무대는 나운규에게 있어 자신의 활극적 픽처 퍼스낼리티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런 관점에서 <사랑을 차저서>의 ‘만주’는 ‘현실적인 동시에 신화적인 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근접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마적 - 윤백남의 "사변전후"를 중심으로 -

        서재길 만주학회 2015 만주연구 Vol.- No.20

        This paper examines the desire and the un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colonial Korea, by explor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Manchurian bandits in Around the Incident, the popular novel written by Yun Paeknam. This novel attempted to describe both the legitimacy of Manchukuo and the necessity for self-government in Huabei, the North China, by depicting the Korean bandits who took an active part in the area from the Manchurian incident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1930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is novel is when the bandits of Manchuria attempted to move to Huabei after the Manchukuo had been built and also tried to establish self-government there unsuccessfully. It appears to be a fictional reproduction of the maneuver for the separation of Huabei from China throug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Kwantung Army that tried to build another puppet state in Huabei similar to Manchukuo. The protagonist Wang Myoung and his party, who had once been mere Manchurian bandits, begin the “revolution from the top down,” with the help of Qingbang, the Chinese traditional gangster, regarding Huabei as a possible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their political ambition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East Asia. The Korean bandits centering Wang, who had once been a socialist, were set up as pioneers leading both the Japanese and the Chinese to begin the revolution under the banner of Great Asianism as Manchukuo had been built by the Kwantung Army. It also shows Korean intellect’s fascination and ideological turn towards the vision of the utopian Asianism, which was suggested by the Japanese socialist in the outline of Asia against western imperialism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However, this ideology of Great Asianism lacked both the sense of imperialism/colonialism, and the sense of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본 논문은 윤백남의 "사변전후"에 나타난 마적 표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만주’와 ‘마적’에 대한 식민지 대중의 무의식과 욕망을 살펴본 것이다. "사변전후"는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 발발로 이어지는 시기의 만주와 화북을 배경으로 하여 이곳에서 활동한 조선인 마적들의 활약상을 통해 만주국 건국의 정당성과 화북 자치정부의 필요성을 그리려 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마적으로 활동하던 주인공들이 만주국 건국 이후 화북지역으로 거점을 옮긴 뒤 천진에 화북 자치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거사를 도모하다 좌절하게 된다는 설정이다. 이는 만주국에 뒤이은 새로운 괴뢰국가를 이 지역에 세우려 했던 일본 제국주의와 관동군에 의한 ‘화북 분리 공작’을 소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개 마적단 우두머리에 불과했던 왕명 일파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격변 속에서 화북을 자신들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무장 조직인 ‘청방’의 힘을 빌어 ‘위로부터의 혁명’을 추구한다. 일본 관동군에 의해 만주국이 건국된 것처럼, 전향 사회주의자 출신의 마적 왕명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이 일본인을 대동하여 ‘대아세아주의’의 기치 아래 중국의 혁명을지도한다는 설정인 것이다. 이는 만주사변 이후 조선의 전향 사회주의자들이 제국/식민지의 지배/피지배 관계에 대해서 무자각적인 채로 아시아 대 서양 제국주의라는 구도 속에서 일본 사회주의자들이 제시한 ‘유토비아적 광역권’이라는 비전과 전시광역권론 및 국가개조론에 대해 가졌던 매혹과 사상적 전회를 대중적 감각 속에 서사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나운규의 무성영화와 중간자막의 미학

        서재길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Studies of silent film in modern Korea have focused on the benshi, the silent film narrators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audiences’ acception of silent film, a new medium from the West. These studies could at times illuminate the dynamism of silent film, but they neglected to evaluate the aesthetic possibility and self-completeness of the text of the film.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areas in enjoying silent film through benshi can be mattered and there were limits of benshi performances beyond film censorship.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and the aesthetic functions of the intertitles in Na, Un-gyu’s films using his cine-roman texts. Intertitles, shots of texts printed on material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egesis of a film, came into us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ventions in Hollywood films by the 1910s. Na, Un-gyu’s films were influenced by the so-called classical Hollywood style films, including his use of intertitles. There are two types of intertitles: dialogue intertitles, which enunciated within the diegesis, and expository intertitles, which enunciated outside the diegesis. We can find various types of expository intertitles in Na’s films, such as identifications, temporal markers, narrative summaries, characterizations, mediated thoughts or paraphrased dialogues, and commentary on stories or discourses, as also seen in Hollywood’s silent films. Intertitles in Na’s film were influenced by and imitated the classical Hollywood style, but we can also note that Na created the most effective and original intertitles to utilize actions, performances, and comedies that featured the popularity of silent film in colonial Korea at that time. Intertitles of the lyrics of songs were often used for the performances in theaters, whereas dialogue intertitles in action scenes were used less often. Comedies in Na’s films were mostly the effect of dialogue intertitles, which created humorous situations or contained reversed and appropriated expressions uttered by others. Musical effects using rhyming couplets also strengthened the comedic effects of his intertitles. Metaphoric and symbolic expressions, which might be the “commentaries on story,” constitute the best use of intertitles in Na’s films. The figurative and lyrical intertitles found in his various films might belong to the territory of literature rather than that of film, as they appeal to audiences’ visual recognition through reading the literary intertitles rather than to their auditory recognition of information that they received passively through the benshi performance. Ultimately, we can say that silent film in colonial Korea was located in the dynamic space between oral audienceship composed by the benshi performances and the visual spectatorship made by the intertitles. 무성영화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서양에서 들어온 영화를 토착적으로 수용할 수있도록 해 준 매개로서의 변사에 주목해 왔다. 이러한 연구는 무성 영화가 지닌 역동성을 밝힌 것은 분명하지만 영화 텍스트 자체의 미학적 가능성과 완결성에 대한 가치판단에 소홀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변사를 통한 영화 수용의 지역적 불균등성, 검열을 넘어서는 변사 연행의 한계성 등이 문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를 ‘텍스트에로의 귀환’이라는 문제의식에서 고찰한 것으로, 주로 나운규의 영화소설에 나타난 중간자막의 유형과 그 미학적 기능을 살폈다. 무성영화 시기 디에게시스에 속하지 않는 내용이 각인된 텍스트 쇼트를 의미하는 중간자막은 19세기 말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10년대에 이르면 할리우드 무성영화의 중요한 관습의 일부가 된다.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나운규 영화는 흔히 고전적 할리우드 스타일로 설명되는 작품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이는 중간자막의 활용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중간자막은 디에게시스 내부에서 언표되는 대사자막과 디에게시스 외부에서 표현되는 설명자막으로 양분된다. 나운규의 영화에서는 식별, 시간표지, 서사 요약, 성격제시, 매개된 사유 및 재서술된 대화, 이야기 혹은 담화에 대한 논평 등 할리우드 무성영화 설명자막의 다양한 유형들이 발견된다. 나운규 영화는 할리우드 영화를 단순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예술적 환경에 대한 자각 속에서 영화 예술의 대중성을 구성하는 활극성, 공연성, 희극성 등을 매우 효과적이고 기능적으로 활용하는 과정 속에서 제작되었다. 활극성이 강조되는 장면에서는 대사 자막이 줄어드는 반면, 공연성이 강조되는 경우 영화의 화면에서 노래 가사의 자막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나운규 영화의 웃음은 대사 자막을 통해 해학적인 상황을 연출하거나 등장인물이 상대방이 사용한 대사를 자신의 대사 속에 전유하면서 비틀어서 표현함으로써 유발된다. 이는 대개 대구(對句)를 이용하거나 라임을 활용하는 등의 표현을 통해서 음악적인 효과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야기에 대한 논평’의 한 형태로도 볼 수 있는 비유적 표현 나아가서는 상징적 표현은 나운규 영화에서 자막이 매우 뛰어나게 사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나운규 영화에서 두루 발견되는 이 같은 서정적 자막은 이는 어떤 의미에서는 영화의 영역이라기보다는 문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변사의 연행을 통해 수동적으로 지각되는 청각적 정보가 아니라 자막 읽기라는 시각적 인지를 통한 문학적 울림에 호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는 소리로 충만한 극장 속에서 변사에 의한 해설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술적인 관객성과 더불어 자막이라고 하는 시각적인 관람성이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공간 속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