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빈곤사회를 위한 사회적 디자인(Social design)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서인경 ( In Gyoung Se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디자인이 인간권리 확보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함께 디자인이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빈곤사회를 위한 사회적 디자인 평가지표」 개발을 목표로 한다. 먼저 사회적 디자인 개념 및 특성을 정의하여 연구주제의 기틀을 갖춘다. 이후 소득을 창출하지 못해 인간의 기본권마저 보장받지 못한 삶을 살고 있는 절대빈곤층을 위한 디자인 개발사례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또한 관련분야의 평가지표 개발사례 및 사회적 디자인 개발사례특성을 토대로 사회적 디자인 평가를 위한 네 가지의 기본원칙을 도출한다. 도출된 기본원칙은 ‘인간권리확보, 공유가치창출, 사회적 적합성, 지속가능성’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칙은 사회적 디자인을 평가하는데 필수조건으로 작용되어야 할 것이다. 절대빈곤층에 관련한 사회적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한 현실에서, 사회적 디자인 개발 및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지표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desig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can secure human rights and mitigate social inequal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social design guidelines to resolve a conflict in poor societies caused by economic inequalit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design is defin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 design is derived from analyzing many design development practices and previous studie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bsolute poor people who can not secure human rights because they can not generate enough income. Basic principl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nsuring human rights``, ``shared value creation``, ``social appropriateness``, ``sustainability``. The four principles act as essential items to assess social design and could be used as criteria to develop social design. And the four principles ensure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for social design in reality that there`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design for the extremely poor.

      • KCI등재

        논문 : 재활환자 경험디자인 리서치를 통한 의료서비스디자인 콘셉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공공의료기관 B병원의 재활병동을 중심으로-

        서인경 ( In Gyoung Seo ),유하늬 ( Ha nui Yu ),최민영 ( Young Cho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B병원 재활의학센터의 환자 서비스경험 향상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전략구축 및 디자인 콘셉트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성격의 연구로 추진되었다. 즉 디자인 사고를 중심으로 B병원만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실행전략을 개발하고 서비스 개선 및 개발을 위한 핵심 터치포인트를 찾아 서비스디자인 콘셉트를 제안하는 실증적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다양한 서비스 이해관계자의 수요범위 및 질환특성별 환자상태에 따라 의료서비스디자인 수행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가정 하에 B병원 의료서비스 수요조건에 적합한 재활환자(노인성 질환자 대상) 경험디자인리서치를 수행했다. 이후 분석결과에 앨더퍼(C.Alderfer)의 ERG이론을 적용하여 환자·보호자 욕구동인에 따른 병원환경특성을 새롭게 개념화해 전략화 함으로써 환자·보호자의 서비스 기대가치를 높이고, 향후 구체적인 디자인개발 사업이 가능한 범위 안에서 서비스디자인 아이디어 콘셉트 10개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공적 의료서비스 강·약점에 관한 이슈도출 및 인사이트를 밝히고 공공의료서비스에 대한 국가적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의 토대를 확보하고 제시된 콘셉트의 구체적 실행을 위한 디자인개발연구가 후속되어 서비스디자인 시나리오 검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study of the master plan for the nature of the service design and design concept develope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atient experience, the B hospital services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Focusing on design thinking, we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develop differentiated strategies of the B hospital medical services and find the key touch point for service improvement and propose concepts of service design.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rvice stakeholders`` opinions, attitudes and perceptions etc.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existing hospital system through an experience design research of rehabilitation patients, especially who has a geriatric. Then, after applying the ERG theory of C.Alderfer, we developed 10 concept designs which will be available in the future and increase the value of service expected by patients and caregivers. We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design for multi-angle and preparing the ground for improvements of service design to increase the confidence in national public medical services.

      • KCI등재

        오피니언마이닝을 활용한 자동차 실내공간 고급감 결정요인 체계에 관한 연구 - 국내·외 프리미엄 자동차를 중심으로 -

        서인경 ( Seo In Gyoung ),최민영 ( Choi Min Yo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대표적인 고급소비재로 분류되는 자동차를 고급감 분석범위로 한정해, 자동차 실내공간 고급감 정의를 위한 가치체계 구조화를 연구목적으로 설정했다. 연구추진을 위한 연구방법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 고급가치에 관한 온라인 리뷰 및 인터뷰 평가의견을 토대로 오피니언마이닝을 실시해 고급감 개념정의에 요구되는 결정요인 및 평가속성을 규정하고, 고급감 요인에 대한 만족관계모델을 체계화했다. 또한 실차실험을 통해 앞서 실시한 연구결과를 검증하고 고급감 결정요인의 대표특성을 구조화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피니언마이닝 분석을 통해, 고급감을 개념화하기 위한 핵심요소로서, `과시성, 지속성, 심미성, 안락성, 조작성, 공간성, 직관성, 안정성, 편의성`과 같은 9개 고급감 결정요인을 추출하고, 각 요인의 품질만족정도에 따라 매력적 레벨, 일차원적 레벨, 필수적 레벨을 구분했다. 뿐만 아니라 요인특성에 따른 감성만족정도의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고급감 만족관계 포지셔닝 맵`을 구축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자동차 실내공간 고급감 디자인 개발 및 평가체계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 to conceptualize a “sense of luxury" and to investigate how to apply it to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value system structure for defining the sense of luxury of automobile interior space. The research process and conten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Opinion mining was conducted to define the determinants and evaluation attributes for defining the concept of luxury and systemize the sense of luxury relationship model. In addition, the results of previous experiments were verified through real vehicle experiments and systematized the sense of luxury design principles. The results of the opinion mining to build a definition of luxury, `ostentation, persistence, aesthetics, comfort, intuitiveness, spatiality, intuitiveness, stability and convenience` were extracted as the decision factors of the sense of luxury. It was classified into the attractive level, one-dimensional level, and required level according to the degree of quality satisfaction of each factor. And the `Sense of Luxury Satisfaction Relation Positioning Map` was constructed which can classify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sense of luxury decision factors and evaluate the level of emotion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standard for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중심의 일차의료의 활성화를 통한 만성질환관리 서비스디자인 연구

        유하늬(Yu, Ha Nui),서인경(Seo, In Gyoung),최민영(Choi, Min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7 No.2

        현대 사회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의 사망 및 질병의 구조가 만성질환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만성질환은 고혈압, 당뇨 등 지속적인 관리와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한 질환으로, 보건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사업을 추진하여 교육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이는 일부 파악된 환자에 국한되어 서비스가 전체적으로 확산되지 못하였고 의료기관에서의 진료와 보건소의 교육이 연결되지 못하여 효과적인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하여 1차 의료기관의 서비스를 통해 지역사회 건강서비스와 연계된 수요자 중심의 자기주도형 만성질환 건강관리 서비스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서비스디자인 더블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의료서비스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데스크리서치 및 관찰‧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현실적인 조사 방법을 통해 서비스 수요자‧공급자의 이용패턴 및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고, 의료서비스디자인을 위한 서비스의 맥락(Contextual)을 분석하여 만성질환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 건강관리 서비스모델로, 동네 의원과 연결하는 건강센터를 구축하여 교육과 진료를 연계하여 하나의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만성질환자의 꾸준한 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Due to the rapid population aging of modern society, the structure of death and disease in Korea is changing to chronic diseases. Chronic disease is a disease that requires continuous management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improvement of lifestyle habits. It has provided education-oriented services by promoting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ject centered on public health center. However, this is limited to a limited number of patients, And the health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medical care at the medical institution and the education at the health cent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consumer - centered self - directed chronic disease health care service model linked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 through the service of a general practitioner for continuous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patient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age pattern and potential needs of service consumers and suppliers to measure community-based health care service experience, by desk research, realistic research methods based on observation and interview, based on the Service Design Double Diamond process. And a chronic health care service model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ntext for service design. This is a primary health care centered healthcare service model linked to the local community. It will provide an expanded service by linking education and medical care, through a health center that connects with local clinic and constantly managing chronic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