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과 서평 학습자의 비평 요소 선택

        서은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2

        대학 서평 교육에서 주요한 교육 목표로 논의되는 대화적 문식성(dialogic literacy) 은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지만, 장기적으로 대화적 문식성을 갖출 수 있기 위해서는 학술 서적에 대한 이해와 구조화 능력이 필수적이다. 텍스트 이해도가 높을수록 그와 관련된 적극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에서는 읽기-쓰기 통 합 학습 모델과 관련된 의미 있는 연구들 중, 학습자의 서평 쓰기 과정에 대한 직접적 진단의 필요성을 언급한 선행 연구에 주목하였다. 즉, 학습자의 사고 과정 진단은 서 평 교수 학습 모델에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 효과와 학습자들의 글감 선택 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평 대상 도서와 내용상 밀접하게 관 련된 영화 <서치(Searching)>를 쓰기 동기화 자료(stimulus)로 선정하였다. 이 영화는 온라인 감시 문제에 주목할 수 있는 영화로서, 서평 대상 도서의 주요 문제 의식 중 한 부분을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여지를 준다. 영화 감상 전후 온라 인 감시 문제에 대한 생각 여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실제 온라인 감시 문제를 서평 초고의 글감으로 선택하는 것이 이러한 생각 유무와 실질적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 였다. 분석 결과 실제 영화 감상 이전부터 온라인 감시에 대한 생각이 있었던 학습자들이 영화 감상 이후에 새롭게 온라인 감시라는 영역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학습자들보다 서평 초고 작성 시 해당 문제를 글감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고가 있고 이후에 그것이 말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말과 의 접합점에서의 길항을 통해 사고가 탄생된다는 비고츠키(L.Vygotsky) 의 ‘내적 말’ 의 개념으로 설명해 볼 수 있다. 즉 원래부터 해당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 학습자들은 정서적, 충동적 동기 영역에서 온라인 감시와 관련된 내적 말을 발달시 킬 장을 마련해 둔 상태이고, 이것이 영화 감상을 통해 촉발되며 실제 글(외적 말)로 표 현된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영화를 보면서 새롭게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학습자들은 정서와 충동으로 이루어진 동기 영역에서 이러한 내적 말을 발달시키는 장을 마련할 여지가 부족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그것이 외적 말인 글로 표현되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글감 선택 시 화제를 필자가 자기 주 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논한 연구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특정 문제에 대한 생각 여부는 해당 글감을 선택하고 실제로 비평하는 데 있어 외부 자료를 활용한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반영하고, 근거를 얼마나 조직적으로 배치하는지의 문제와는 관련이 없었다. 근거의 조직성 정도는 학습자 개개인의 과제 표상의 적합성, 토의를 통한 다른 관점에 대한 접촉과 같은 요소와 보다 밀접하게 관 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쓰기 동기화 자료를 실제 수업에 활용할 때는 그것이 교수자의 견해로 인식 되지 않도록 글감을 만드는 구조화 방식임을 분명히 안내해야 하며, 자유롭고 비판적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함께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Understanding and structuring a text is one of the most necessary skills for undergraduates’ book reviews. The more understanding the text, the more assessments are produced. Establishing authorship, which is ultimate goal of teaching academic writing is more related to assessment skills. This is the reason for focusing on the studies on reading-writing teaching model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students' thought and selecting a specific topic for a book review. The book selected for review deals with classification in big data society and surveillance and the movie chosen as a stimulus focuses on online observation. I assessed the change in thought before and after watching movie and I compared it with the students' book review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thought and the tendency to select a specific topic. I used SPSS program to perform a cross analysis for this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originally thought about online observation tended to select surveillance as the topic of their review more than those who did not. This can be explained using L.Vygotsky’s concept of “inner speech”. Vygotsky discovered it in children at the stage of learning the language. He proposed that the inner speech area is usually activated in children to solve problems. Inner sppech is distinct from outer speech, which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concept of inner speech can also apply to adults’ cognitive processes. By applying Vygotsky’s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d that students who thought about online observation prepared the inner speech area in combination with emotional and motivational aspects. Watching the movie activated this area and they easily converted their inner speech into Abstract outer speech based on their emotion and motivation. However, students who did not think about online observation could not prepare their inner speech area in this manner. They cognitively modified their thought, without combining it with emotion and motivation and thus faced. Difficulty in turning transforming thought into a specific language. This result can be significantly interpreted using F. Weaver’s research, which emphasizes writers’ self-initiated-transition about certain topic with stimulus. Additionally, students’ change of thought is unrelated to the stage of organizing evidences during the book review. Organization is related more to an individual’s task representation and their discussison of the problem with other students. Teachers should mention the contents of stimulus is unrelated to teachers’ opinions and discussion should be accompanied to using stimulus for students’ creative thought.

      • KCI등재

        『한일관계사료집』을 통해 본 1910년대 이광수의 글쓰기

        서은혜 춘원연구학회 2019 춘원연구학보 Vol.0 No.15

        Yi Kwang-su participated in Publishing Historical Records Committee which belong to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This experience has not explained enough yet but if we consider it, there would be possibility which the contexts and backgrounds of his 1910s' writings are newly revealed. First of all, the chapter 5 'Korean's cultural capacity' in Collection Ⅱ, the contents are closely related to ethnography which is shared in Shinmunkwan(신문관) group , researching and publishing network community. It is very similar to the contents of 'New Understanding' in Korean-Russian Orthodox Newspaper 10, (『대한인정교보』 10) which Yi edited almost all contents of the paper. It proves that Yi knew the product of researching on Korean ancient history in Shinmunkwan group and approved it. The researchers such as Choi Nam-seon(최남선) said that Koreans had glorious culture in ancient times, and spread it to Japan. Secondly, the Collection says the legislation about private school in Choseon made in 1914 was the way of oppressing nationalistic private school. This mention is interesting because "Visit to the middle Schools(중학교 방문기)" series in Youth(『청춘』) are kind of product for corresponding against this cruel oppression. Introducing nationalistic private schools or describing the class such as Korean or Korean history class taught by Korean teacher has important meaning because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eon strictly forbid this kind of classes by making new laws and legislations. Thirdly, we can find the aspects of Yi's double writing in 1910s, which differentiate writing tones and opinions according to the anticipated read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pers. Comparing the critical mention about the educational goal and contents in Collection and writings such as "To the every educators(「교육가 제씨에게」" or "The Comend on Choseon Students' education"(「조선인 교육에 대한 요구」) shows us this possibility of double writing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광수 소설의 ‘사랑’ 형상화와 자전적 언술행위

        서은혜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3

        Lee, Gwang-su is the author who fictionalize his own experience in various works, including the novel of which the matter of love is described. We can find repetitive motives related to the theme of love, which is based upo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hero encounter the matter of choosing one between his love and his duty on the whole community. The hero, such as ‘I’ in “A Letter in Blood” ( 혈서 , 1924) and Hang-mok(항목) in “The Leader”( 선도자 , 1923) experience severe inner conflict to choose between his personal love and his business for independence of the colonial Joseon. The author maximize tragic characteristics of the fate of main character and his lover in the former, and divide the narrative into two parts, subscribing the personal background of Yi Hang-mok which the reality have an edge on the story and the love story with Seon-kyong which the fictional trait is involved mainly in the story. This setting-up of narrative i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the author. Yi really had severe inner conflict to choose one between his lover Yeong-suk(영숙) and his business and his fair such as An, Chang-ho(안창호) in a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He wrote his inner conflict in the letter to the Yeong-suk in 1921. He eventually returned to the colonial Joseon from Shanghai, and many people criticize him for betray his fairs in Shanghai. He shows his apology for his fairs and gratitude for his wife simultaneously in the essay “The Appreciation and the Apolgy”( 감사와 사죄 , 1922). After this, he published “A Letter in Blood”( 혈서 , 1924) and “The Leader”( 선도자 , 1923), and he embodied his experience reversely. The love motif in “The State of Enlightenment beyond passion”( 애욕의 피안 ) is more fictionalized and signified psychologically. Kang, Yeong-ho(강영호) who is autobiographical character suicide for protecting purity of love with Hye-ryon (혜련). And the narrator criticize this behavior as lack of harmony of intellect, emotion, and vollition. We can find the problem of harmonizing psychological elements is the main interest of the author in the early and the middle of 1930s, as the narratar of “the Soil”( 흙 ) criticize heroin Jeong-sun(정선) for the same reason. The interest of psychological elements is connected to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ical works of the neo-Kantists such as Tomonaga Sanjuro. The theme of love is generally described in his latter work “Love”( 사랑 , 1938). Lee metaphorized love as purity and honesty, based upon his impression his friends 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uch as Kim, Chang-se(김창세). Kim introduce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to the author, and he studied the Bible with the minister Conger in Shanghai. Lee called to rememberance this experience in the essay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I”(1938). This impression is projected to the heroin Sun-ok(순옥), who is the believ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is the metaphor of the love itself. She shows the love for all people and this attuide is signified the true love in the story. The author did not just his experience of love into the character, but also metaphorized his idea of love through the idea and behavior of heroin. 이 글에서는 이광수의 단편, 장편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관련된 모티프의연속 및 변주의 의미를 그의 자전적 체험을 투영하는 자전적 언술행위의 하나로부터 찾고자 하였다. 혈서 , 선도자 등 상해로부터 귀국 직후 창작한1920년대 초중반의 소설들은 대의에의 헌신과 개인적 사랑의 성취라는 두 가지 양립 불가능한 과제 속에서 전자(前者)를 선택하는 인물을 그림으로써, 작가가 실제 삶에서 경험한 내적 갈등을 투영하고, 선택하지 않은 다른 가능성을 성취하는 이상화된 허구적 인물을 창안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1936년발표된 애욕의 피안 에서는 작가의 이력을 강하게 환기하는 인물의 사랑 경험에 대하여, 당대 신칸트철학의 인격론과 관련된 비판적 조망을 덧붙임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38년 창작된 사랑 의 경우, 이전의 작품들에 비해 훨씬 다채로운 방식으로 자전적 언술행위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생 동안 지속한 투병생활, 이로 인해 얻게된 특유의 감성을 옥남이라는 인물에 투영하거나 자기희생, 중생구제라는 기독교, 불교적 가치관을 인물의 발화로 삽입하여 ‘사랑’이라는 것 자체를 총체적 가치관이자 지향점으로서 박애(博愛)로 의미화하고 있다. 그리고 더불어, 사랑론에 불교적 인연설이 개입되는 후반부의 서술을 통하여 작품이 집필되던 1938년 시점 이광수가 처해있던 대일협력에의 외압이 사랑론 자체를 변형시키는 첫 단초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처럼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관련된 자서전적 텍스트성은 이처럼 경험적 사실과 허구적 변용, 경험의 직접적투영과 은유적 형상화, 과거의 기억과 현재적 관심사가 다채롭게 교차되는 경계면에서 발현된다

      • KCI등재

        정난(靖難)의 변과 조선·명 관계의 반전(反轉)

        서은혜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6

        It was the personal will of the Ming emperor and the political change of the Ming Dynasty that led the trend of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 In particular, the Jingnan Campaign served as a direct opportunity to reverse the Joseon-Ming relationship, which reached its ruin. However, it was Joseon's active and preemptive diplomacy that stabilized Joseon- Ming relations. King Jeongjong(定宗) dispatched two groups of envoys to try to contact the Jianwen 建文court. Jianwen Emperor showed favor to Joseon and accepted to bestow a title. However, The enthronement of King Taejong(太宗) provided suspicions to Jianwen Emper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was stagnated again. King Taejong dedicated 3,000 horses as well as proposed horse trade in order to reverse Joseon-Ming relationship. Eventually, Jianwen Emperor bestowed King Taejong the title as a king of Joseon. In the second year of King Taejong's reign, Joseon began to end its relations with the Jianwen court in anticipation of Yongle(永樂) Emperor's victory. At this time, there were two major diplomatic agendas that could have been disputed: horse trade and fugitive soldiers(漫散軍) issues. Upon hearing the news of the enthronement of Yongle Emperor, Joseon sent an envoy as soon as possible to celebrate the enthronement. Envoy Ha-Ryun(河崙) used his wit to ask the emperor to renew Joseon-Ming relationship. The emperor readily allowed it. At the same time, he demanded that the horse trade and fugitive soldiers issues, which occurred during the Jianwen reign, should be resolved. Joseon quickly resolved the two issues,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stabilizing Joseon-Ming relations. 홍무 말, 연이은 외교적 분쟁으로 조선·명 관계가 단절되기에 이르렀다. 파국에 이르렀던 조선·명 관계를 반전시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정난의 변이었다. 그러나 명나라가 변화의 단초를 제공하였던 조선·명 관계를 안정시킨 것은 바로 조선의 적극적이면서도 기민한 외교였다. 정난의 변이 한창 진행 중이었던 시기에 ‘3년1행’에 따른 사행 주기가 돌아오자 정종은 성절사와 하정사를 모두 파견하여 건문 정권과의 접촉을 시도하며 고명과 인신 사여를 요청하였다. 건문제는 조선에 호의를 보이며 이를 수락하였다. 그러나 태종의 즉위는 건문제의 의심을 사 조선·명 관계는 다시 침체되고 고명과 인신 사여는 수포로 돌아갔다. 태종은 건문제에게 말 3,000마리를 진헌하고 말무역을 제안하였다. 결국 건문제는 태종에게 고명과 인신을 하사하고 조선과 말무역을 시작하였다. 태종 2년 초, 조선은 연왕의 승리를 예상하고 건문 정권과의 관계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이때 분쟁의 소지가 있었던 외교 안건은 크게 두 가지로 말무역과 만산군 문제였다. 조선은 약세에 처한 건문제가 조선에 강제력을 발휘할 수 없으리라 생각하고 7,000필만 보낸 채로 말무역을 종료하는 한편 만산군을 모두 조선에 정착시키고자 하였다. 영락제가 즉위하자 조선은 빠르게 하륜을 하등극사로 파견하여 영락제의 즉위를 하례하였다. 하륜은 영락제를 접견한 후 기지를 발휘하여 새 고명과 인신을 내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영락제는 흔쾌히 고명과 인신을 하사하는 동시에 건문 연간 발생했던 말무역과 만산군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였다. 조선은 말 3,000여마리를 군말 없이 보내 건문제와 약속했던 10,000필을 채웠다. 만산군 문제는 더 재빠르게 해결했는데, 명에서 만산군을 데려가려 한다는 소식을 입수하자 바로 여러 도에 나누어 정착시키고자 했던 만산군을 모아 명으로 압송한 것이다. 이러한 선제적 조치는 명과의 관계 안정화에 큰 역할을 했다.

      • KCI등재

        속물․경계인․낙오자와 ‘비정상성’의 범주 최명익 소설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서은혜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2 No.-

        Snobs, Losers and Resisters who exist outside the order of capitalism are fully described in Choi Myung-ik’s short stories in 1930’s and 1940’s. The character’s lives are explained something comical and uncanny, this feature make his characters abnormal and his stories grotesque simultaneously. There are three ways to describe these category’s people. First, losers such as the patient, the unemployed, the prostitute are demonstrated in a way of trigger comical and uncanny feelings in A Lungfish Man(1939), The Spring and A New Highway(1939), A Pattern of Mind(1939), The Common Crowd(1941). Choi insert comical things shortly after cause readers uncanny feelings in a specific scene. This kind of setting cause readers defensive smile, grotesque-comic sublimation in a Michael Steig’s context, which aim to relieve tension aroused by uncanny things. Secondly, the snobbs who desperately want to be rich are described satirical, in a way of expanding part of their body such as eye or nose like caricature or parallel to disgust animals in A Characterlessness Man(1937), a Paradox(1938), The Common Crowd(1941). Sense of difference which readers feel when they face to these snobbs also applied to the order of capitalism and its inhuman features. It is recognized as the medium of making people blind, and the blindness is the very reason of bring out sense of difference. Thirdly, intellectuals doubt the legitimacy of capitalist order and show extreme passive nihilism against general moral sense in A Rainny road(1936), A Pattern of Mind(1939). Their own attitude of passive nihilism mean overwhelming power of capitalist order in middle and the latter of 1930’s. In conclusion, the grotesque of his short stories based on a reorganized sensibility called ‘Ero, Gro’ disargument in early 1930’s. Addition to this, pessimistic atmosphere after Sino-Japnese War is main reason of appearing this aesthetics. 최명익 소설에서는 속물, 낙오자, 경계인 등 자본주의적 질서의 내부와 외부, 경계에 위치한 다양한 인간군상의 삶의 태도가 세밀하게 묘사된다. 이때 개별 인물들은 희극적인 것과 섬뜩한 것의 복합적 공존이라는 존재조건에 놓여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인물들의 ‘비정상성’과 그로테스크함이 부각된다. 「폐어인」(1939), 「봄과 신작로」(1939), 「심문」(1939), 「장삼이사」(1941)에서는 병자, 실업자, 매춘여성 등 자본주의적 질서로부터 소외된 낙오자형 인물들의 삶이 섬뜩함과 희화화가 교차되는 방식으로 그려지며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때로는 그 긴장을 더욱 배가시키는 방어적 웃음을 불러일으킨다. 한편 「무성격자」(1937), 「역설」(1938), 「장삼이사」(1941)에서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것을 절대의 가치로 추구하는 속물형 인간은 그 신체 이미지 일부가 기이하게 확대되어 묘사되거나 혐오동물과의 유비라는 방식으로 그 이질감이 부각된다. 그 이질감은 속물형 인간 그 자체보다는, 그들을 비정상적 범주로 이끈 자본주의적 질서의 압도적 힘에 속한 것이다. 또 「비오는 길」(1936), 「심문」(1939)에서 자본주의적 질서의 정상성에 대해 의문을 품는 지식인, 경계적 성격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극도의 수동적 허무주의의 태도는 기존의 도덕 및 윤리규범에서 완전히 이탈한 자리에 놓인다. 이를 통해 공고해진 자본주의 체제의 압도적 영향력과 그에 대한 저항 불가능성이 암시된다. 본래 그로테스크는 격심한 사회변동기의 혼돈을 포착해내는 고유한 미적 자질로서 의미를 지닌다. 최명익 소설의 그로테스크는 1930년대 전반 구인회의 모더니즘을 기반으로 한 ‘에로․그로’ 담론 등 새로운 감각과 감수성의 재편으로부터 탄생된 것이면서, 동시에 중일전쟁 이후 경제적 어려움, 사회주의적 몰락, 파시즘적 체제의 강화 등 비관주의적 분위기에 대한 작가적 대응으로 읽을 수 있다.

      • 안전, 제도와 매뉴얼만으로 가능한 것인가?: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효과성,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 이론(SDT)를 중심으로-

        서은혜,이효주,박성민 한국정책학회 2017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

        큰 재난과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국민안전처의 신설 등 정부 조직 개편을 단행해왔지만, 재난·안전 분야의 잦은 순환보직과 공무원들의 기피현상 문제들은 해결되지 않아 안전사회 구현이라는 정책 목적의 적실성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재난·안전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부분으로써 어느 부처에 소속되어있는지 보다 업무에 임하는 공무원의 직무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공익을 위해 헌신하고자 하는 공무원들의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근거해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율성, 역량성, 관계성이 내재적 동기라 할 수 있는 공공봉사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렇게 형성된 동기들이 공무원 개인의 삶의 질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외재적 동기인 보수만족도와 후생복지가 공공봉사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 역량성, 관계성이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간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기와 조직시민행동, 삶의 질 간의 영향관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삶의 질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공공봉사동기의 증가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와 공동체의 이상

        서은혜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6

        이 글은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종교적 감성 구조를 그의 다양한 사상적, 정치적 궤적을 새롭게 설명할 수 있는 핵심적 매개로 보고,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래 재난의 상상력은 인간의무기력함과 초월적 운명에의 희구, 신에 의한 징벌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적 감성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 중에서도 이광수 소설의재난 장면은 이상적인 사회를 향한 대규모 방향전환의 의미를 뚜렷하게 보인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무정>의 삼랑진 홍수 장면은 매우 유명한 바, 이것이초기작품에 그치지 않고 일제 말기까지 이어지는데, 이는 단순히 ‘민족의식’이라고 간단하게 환원해 버리기 힘든 다양한 의미망을 보여준다. 특히 이광수의 각 시기별 사유와 정치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있다. 초기 작품인 <무정>, <어린 벗에게>에서는 홍수나 파선(破船) 모티프를 통하여 공동 운명에 놓인 타자를 발견하고 그를 ‘구제’하는 윤리적 책임에의 각성이라는 주제를 형상화하였다. 유명한 삼랑진 홍수 장면이 그러하며, <어린 벗에게>에서 개인적 사랑의 대상을 ‘동포’와 ‘인류’의 층위에까지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이 바로 재난 장면이었다. 이 때 ‘숭고’라는 감정 범주나 ‘영혼’과같은 기독교적 개념이 매개로 등장, 공동 운명에 놓인 타자와의 연대라는 주제를 정당화한다. 중기 작품인 <흙>에서는 굶주림과 가난으로 고통 받는 식민지현실을 ‘지옥’이라는 종교적 수사로 명명하면서 식민지인들의 무기력함을 부각시켰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이상촌 건설의 의지를 정당화하였다. 후기 소설인<사랑>은 희생적 사랑의 실천을 사회, 우주 운용의 원리로까지 확장시킨 작품으로서, 전염병으로 인한 수많은 죽음을 아귀다툼이 난무하는 사회악의 결과인것으로 의미를 부여하여 파시즘 하의 시대적 상황에의 대응 양상을 보여준다. <원효대사>에서의 전염병 구제 장면 역시 작품의 중심 서사인 ‘파계-구제’로이어지는 결절점이 된다는 것, 그리고 두타행을 실행하는 원효의 모습에 수양동우회 사건 무렵의 이광수의 내면 풍경이 겹쳐진다는 점도 이와 함께 고려할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이광수의 소설 속에서 재난 모티프는 타자와의 관계 및 윤리적 각성의식의 계기, 파행적 근대화를 시행하는 식민지 현실의 형상화, 파시즘 하 시대상황의 은유로서 각 시기별로 다양하게 의미화 되었다. 이러한 재난의 상상력은이광수의 준비론적 사상뿐만 아니라 아나키즘, 기독교적 상상력 등과 다층적으로 연계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atastrophic motives' in Kwangsu Lee's novels and short stories, which are related to his own religious sensibility and political idea. Generally, the imagination of catastroph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sensibility including awakening people's helplessness, the hope for transcendency or the punishment from God in literary tradition. However, The catastrophic motives in Lee's works mainly function as an opportunity of huge overturn towards ideal society,as we can see flood sight of Samrangjin. This kind of catastrophic motives continue to the latter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have various meanings even though many people call it just 'national consciousness'. Chapter 2 examines the meaning of catastrophic motives in early part of Lee's works,<Heartlessness>, <To a little friend>. The famous flood sight in <Heartlessness>shows the process of finding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The shipwreck scene in <To a little friend> is an important chance for main character to realize his lover as a member of compatriot or humankind. The new concepts such as 'Sublimity' or 'Soul' can be used explaining character's emotion, justifying the subject of solidarity for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Chapter 3 discusses the mening of catastrophic moives in middle part of Lee's works, <Earth>. Lee emphasized miserable colonial reality including hunger and poverty, and he named it as 'a hell' in Christianity term in the work. He also accented the will of building ideal village against Japanese imperialist government. Chapter 4 examines the meaning of catastrophic events in the latter part of Lee's works, such as <Love> and <A high priest, Wonhyo>. Lee shows the worth of agape and tried to expand it to the main principles of orginizing ideal community in <Love>. The infectious disease scene is kind of metaphor of social evil in this work. Same motif is used in <A high priest,Wonhyo>, demonstrating complicated Lee's inner side against compulsory turn by a Japanese imperialist in 1940s. The infectious disease in this work makes Wonhyo helping other people, ultimately makes him come through the sense of guilt, even though it failed repeatedly. In conclusion, the catastrophic motives in Kwangsu Lee's works have various meanings, such as an opportinity of realizing other people who are in common destiny,miserable reality in colonial period, an metaphor of social evil in strong influence of facism. This kind of meaning closely relates to his own thought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 KCI등재

        서평 구성 관련 피드백 방식과 수정(revision)의 관련성 - 대학 신입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은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In this study, I examined more effective way to feedback to university students’ book reviews. I devided 20 students into two groups for assessment, one is provided explicit-elaborative feedback and the other is provided by implicit-explanatory feedback. Explicit-elaborative feedback means here that teacher directly tell the students how they can write the book’s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r limitation by means of illustrating specific examples. On the other hand, implicit-explanatory feedback indicates that teacher does not tell the examples but just mention the fact that they should write their own opinions about the book’s social significance or limitation. In this study, I used the SPSS program and Mann–Whitney test due to the scarcity of relevant cases.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were provided feedback implicitly tended to be acquire higher score in their revision text in comparison to the students who were provided feedback explicitly.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students’ willingness to make their writing better. In other words, providing explicitelaborative feedback to students can be thought to interrupt their revision of their own text. The results can be meaningful as an attempt to find where instructors should stand in a kind of dilemma that requires respecting the autonomy of the learner’s own thinking process while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ook review genre through feedback guidance.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일환으로서의 서평 장르 교육에 개입되는 효과적인 교수자 첨삭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서울 소재 대학신입생의 서평 중,책의 사회문화적 의의와 한계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20편 글을 대상으로 교수자 첨삭을 수행하였는데,13명의 학습자들에게는 명시적-정교화 피드백을,7명에게는 암시적-설명적 피드백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때 ‘명시적-정교화 피드백’이란,책의 사회문화적 의의나 한계를 분석하는 직접적인 사례를 교수자가 제시하며 수정을 권유하는 방법이고,‘암시적-설명적 피드백’ 은 보다 거시적인 틀에서 ‘사회문화적 의의와 한계에 대한 자신만의 의견이 필요하다’ 정도로 수정이 필요한 사항을 언급하는 것이다.두 집단 학습자들의 수정본 제출에서 유의미한 질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검정 중 표본 수 부족을 고려하여Mann-Whitney검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암시적-설명적 피드백 방식을 적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이 제출한 수정본이 더 수정 효과가 크고 글의 질이 발전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와 같은 결과는 서평과 독후감의 장르적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이론적 설명만으로도 충분하며,오히려 교수자 첨삭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수정 과정의 자율성을 최대한존중함으로써 피드백을 받은 사람의 응답 의지를 더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이 연구는 피드백 지도를 통해 학습자들이 지닌 서평 장르 이해도를 높이면서도 학습자 스스로의 사고 과정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는 일종의 딜레마 상황에 놓인 교수자들이 어떤 위치에 서야 하는지 모색해 본 시도로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