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aisdzein이 Benzo(k)fluoranthene에 의한 CYP1B1 유전자조절 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김여운,신윤용,Seo, Mi-Jeong,Kim, Yeo-Woon,Sheen, Yhun-Yhong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4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4 No.4

        Cytochrome P4501B1(CYP1B1) is known to be inducible by xenobiotic compounds such as policyclic aromatic hydrocarbon(PAH) and dioxins such as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these induction of CYP1B1 is also regulated by many categories of chemica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on CYP1B1 gene expression in Hepa-I and MCF-7 cells, 5' flanking DNA of human CYP1B1 was cloned into pGL3 basic vector containing luciferase gene, and then transfected into these cells. After treatment of chemicals, the luciferase activity was measured. CYP1B1 enzyme metabolize PAHs and estradiol. CYP1B1 metabolize estradiol to 4-hydrozyestradiol that is considered as carcinogenic metabolite. Recent industrialized industrialized society, human has been widely been exposed to widespread environmental contaminants such as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that are originated from the imcomplete combustion of hydrocarbons. PAHs are known to be ligands of the AhR(aryl hydrocarbon receptor). Induction of cytochrome P4501B1(CYP1B1) in cell culture is widely used as a biomarker for PAHs.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PAHs i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to evaluate bioactivity of PAHs. We have used the United State of America EPA selected 13 different PAHs, PAHs mixtures and extracts from environmental samples to evaluate the bioassay system. We examined effects of PAHs on the CYP1B1-luciferase reporter gene and CYP1B1 mRNA level. Benzo(k)fluoranthene and dibenzo(a, h)anthracene showed strong response to CYP1B1 promoter activity stimulation, and also CYP1B1 mRNAs increase in MCF-7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PAHs significantly up-regulate the level of CYP1B1 mRNA. Some flavonoids such as genistein, daidzein, chrysin, naringenin and morin were also investigeted. These flavonoids decreased B(k)F infuced luciferase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 But, these flavonoids exhibited stimulatory effect at high concentratio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홍선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는 특수한 근무환경과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 로 하는 간호수행에 따른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므로 감정표현에 영향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자신만의 문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과 의료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간호업무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직무 스트레스 감소는 절실히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감정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내의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12명 간호사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시행하였 으며, 양적 연구에는 직무 스트레스 척도, 정서표현 질문지,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양적 분석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 정서표현, 우울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질적 분석은 집단구성원간의 진솔한 감정표현과 긍정적인 에너지로 집단의 응집력과 자아 통합 을 갖게 되어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took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12-sessions,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express of psychiatry ward nurses. Psychiatric ward nurses get a high level job stress, because of working in a special conditions and doing the emotional labor that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 patient of affective disorder. So we have recognize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need to be reduced why job stress of the nurses in psychiatric ward have not only staying on their own problems, but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patients, healthcare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consequently. In this study, we set the following a subject of inquiry with the group art therapy. First,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job stress in psychiatric ward nurses? Second,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psychiatric ward nur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12 nurses who are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in Gwangju. For quantitative analysis, levels of job stress, questionnair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are used and pre- and post- survey were also undertaken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Qualitative analysis has been consisted of group art therapy in order to see the impact onto the stress level and emotional express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gab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 ares of job stress,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effect. Having been integrated into the energy of group cohesion and self-unity, 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were positively influence.

      • KCI등재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 경험: 그룹 대화방을 중심으로

        서미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bystanders who witness cyber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focus was on limiting group chat rooms. The cyber bystanders were silent, joined the bullying, or spreaded rumor about the victim online. There were also bystanders’ responses to leave the chat room, invite the teacher to the chat room to attempt intervention, and support the victim. The responses of bystanders in cyber bullying were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hips, the powers of bystanders who help victims as well as the bullies, the blame on the victims, and the pressure or mood of the group. Bystander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sponses were mentioned psychological burdens such as fear of being bullied, anxiety about being punished if involved, and perception of loss. Additionally, there were bystanders who think they had nothing to do with cyber bullying, who want to get acquainted with the bullies, hoping to help the teacher to solve the problem, and supporting them by empathizing with the victim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further approach their life and culture by viewing and understanding cyber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s.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그룹 대화방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으로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주변인의 행동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행동 이면에 존재하는 이유나 동기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남, 여학생 13명에게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그룹 대화방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은 침묵하거나, 대화방을 나가거나, 피해자를 괴롭히는데 동참하거나, 피해자에 대한 소문을 퍼뜨리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또 어떤 주변인은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여 중재를 시도하였으며, 소수이지만 피해자를 위로하는 주변인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변인의 행동은 사회적 관계, 힘의 위계, 피해자에게 잘못을 전가하는 것, 그리고 집단의 압력이나 분위기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괴롭힘에서 주변인의 행동에 대한 이유는 자신이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함께 연루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손실 지각 등 심리적 부담감이 언급되었다. 또한 가해행동에 동참함으로써 가해자와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이버 괴롭힘에 관심이 없어서, 혹은 도와줄 게 없다는 이유로 침묵하였다. 주변인이 교사를 대화방에 초대하는 이유는 사이버 괴롭힘의 해결을 위해 교사의 도움을 희망하기 때문이며, 피해자를 지지하는 주변인은 피해자의 고통을 공감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사이버 괴롭힘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첫 시도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괴롭힘의 중재 전략에는 오프라인과 사이버 괴롭힘의 통합적 개입이 유용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