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서술체의 시간범주에서 지속(durée)에 관한 연구 : 장면, 요약, 생략, 휴지를 중심으로

        서명수(SUH Myungs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8

        시간을 직접적으로 지각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영화에서 시간은 디제스의 구성이나 등장인물의 변화 또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해되고 접근되었다. 그러나 영화를 서술체 자체가 아니라 서술체의 담화적 차원, 즉 서술행위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시간에 대하여도 다시 주목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서술행위와 시간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토도로프에 이어 주네트는 서술체에서 시간의 문제를 세분화하고 체계화하여 이해의 폭을 넓혔고, 고드로와 조스트는 주네트의 업적을 영화에 접목시켜, 영화에서 시간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잘 보여 주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서 영화에서 장면, 요약, 생략, 휴지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영화작품에 직접 적용시켜 봄으로써 디제스의 시간과 상영의 시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리듬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술체의 시간문제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영화의 서술성을 해체하고 순수이미지가 드러나는 영화를 통해 시간을 사유하고자 했던 들뢰즈의 영화미학을 보다 더 세밀하게 이해하는 지평을 열었다. In the film, time was indirectly grasped and approach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diegesis, the change of characters, or the change of space, as it is difficult to perceive time directly. However, as we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iscursive dimension of the film’s storytelling, it became more time-centric. The reason is that narrative action and time are closely related. Following Todorov, Genette widened the field of understanding by subdividing and systematizing the problem of time in the narrative. Gaudreault and Jost incorporated Genette’s work into the film, demonstrating how time is managed in the film. Through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concepts of scene, summary, ellipsis and pause in films, and examined the effect of rhythm which occur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the diegesis and the projection. From this understanding of the cinematic narrative’s time problem, we opened up the horizon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cinematic aesthetic of Deleuze, who attempted to reflect time in cinema that reveals a pure image.

      • KCI등재

        예술작품의 사회통합적 기능에 관한 고찰 - 카타르시스, 승화 그리고 영화의 동일시를 중심으로

        서명수 ( Suh Myungsoo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3 No.-

        예술이론가들은, 예술작품이 생산자나 수용자로 하여금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을 내면화하고, 그 규범과 실재의 삶 사이의 균열로부터 발생하는 내적 갈등을 해소하여 문명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대에 도움을 준다는 것에 동의한다. 카타르시스나 승화는 문화예술의 이러한 사회통합적인 기능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다. 카타르시스나 승화는 모두 세정작용의 원리로 작용하고, 세정작용은 예술작품의 수용자가, 예술작품이 창조한 허구의 세계에 또는 인물에게 동일시하는 것에 근거한다. 본 논문은 영화의 경우 동일시가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면서, 예술작품이 어떻게 수용자에게 영향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자 수행되었다. 영화에서의 동일시는 현실감에 의해 촉발되며, 이중의 과정을 통해 작용한다. 영화에서는 ① 영화의 기표인 이미지가 꿈의 특성과 유사성이 많고, ② 영화와 꿈은 모두 각자 논리구조가 다르기는 하지만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 ③ 영화가 응시하는 자와 응시되는 자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이미지의 예술이라는 점, 그래서 완전한 관음주의를 보장한다는 점 때문에, 현실감이 극대화된다. 영화의 이런 강한 현실감 속에서, 관객은 스크린에 부재하면서 동시에 편재하고, 또 포착된 대상에 동일시하면서 동시에 역설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동일시한다. 관객은 동일시를 통해 정체성에 대한 원초적인 불확실성을 재 경험하면서, 자신에게 부여된 언어, 상징, 규범으로 인한 존재론적인 균열과 마주한다. 그리고 이런 불확실성에 대한 경험을 통해 역설적으로 심적 안정감을 회복하고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돌아가게 된다. 영화에서의 동일시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예술작품의 수용에 있어서 동일시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이해하게 하고, 또한 그동안 구체적으로 이야기되지 않았던 카타르시스나 승화의 수용자에 대한 작용과 영향력을 설명하는 단서가 된다. Cultural theorists have argued that works of art help both producers and audiences to internalize societal norms and live in a civilized society, eliminating internal conflicts between norms and existence. Catharsis and sublimation have been accepted as important concepts that explain this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of culture: catharsis and sublimation act as a principle of purgation, which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public to the character of the fi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notion of identification through the case of the film. We have specifically noted firstly that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in film is triggered by the impression of reality and secondly that there is a dual process in the identification in the film: the spectator identifies with both the captured object and paradoxically to himself also. The identification shows how the art influence the audience: the audience of the film is confronted with ontological cracks due to social norms. The experience of this confrontation leads the audience to purge first and then return to society with a healthy and stable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