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무암 섬유의 나노실리카 입자 개질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와 섬유 계면의 부착강도 특성

        서동주,박종건,권호찬,송기창,허광희 한국콘크리트학회 2024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36 No.2

        현무암 섬유는 시멘트계 복합체와의 부착성능이 매우 낮아 건설 재료로서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현무암 섬유의 계면 부착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칼리성 환경하에서 실란커플링제인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와 TEOS(tetraethyl orthosilicate)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현무암 섬유의 표면을 나노실리카 입자로 개질하였다. 현무암 섬유의 조성과 미세구조를 SEM, EDS 및 FT-IR로 특성화하고 분석하였다. 나노실리카 입자는 현무암 섬유의 표면에 완전히 덮여 균일하게 분포되어, 결과적으로 나노실리카 입자의 얇은 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시멘트 모르타르 내에 매입된 현무암 섬유의 계면 부착강도에 대한 새로운 표면개질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섬유 인발시험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나노실리카로 개질된 현무암 섬유 시멘트 모르타르(basalt fiber cement mortar, BFCM)의 계면 부착강도는 개질되지 않은 BFCM에 비해 상당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섬유 인발시험 및 SEM 분석 결과는 현무암 섬유 표면의 나노실리카 입자가 섬유와 시멘트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켜 시멘트 모르타르 내에 현무암 섬유의 가교 효과를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의 계면 부착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Basalt fiber exhibits notably low bonding performance with cement-based composites, limiting its application as a construction material. We aimed to enhance the interfacial bond properties of basalt fibers in cement mortar by modifying their surface with nano-silica particles through chemical bonding of GPTMS (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and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a silane coupling agent. The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the basalt fiber were characterized and analyzed using SEM, EDS, and FT-IR imaging techniques. The resulting nano-silica particles were completely covered and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basalt fibers, forming a thin layer. In addition, a single fiber pull-out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new surface modification method on the interfacial bond strength of basalt fibers embedded in cement morta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facial bond strength of basalt fiber cement mortar (BFCM) modified with nano-silica was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unmodified BFCM. Single fiber pull-out experiments and SEM analysis revealed that nano-silica particles on the surface of basalt fibers increased the interfacial bond strength between the fibers and the cement matrix. This enhancement facilitated the bridging effect of basalt fibers in the cement mortar, ultimately improving the interfacial bond strength of the cement mortar.

      • KCI등재

        예술대중화논쟁과 내셔널리즘 - 나카노 시게하루의 예술대중화론 비판의 위상 -

        서동주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09 일본사상 Vol.0 No.17

        昭和初期の芸術大衆化論争の背景には、公共圈のナショナルな再編がある。また、それはナショナルな象徴としての天皇を世俗化する傾向を示していた。ここでは、こうした現象を大正文化の典型的に示している「おもしろさ」の普遍化という問題に結びつけて考察した。結局、大衆化論争のみならず、昭和の新しいナショナリズムも大正の大衆文化と出版資本がもたらした「おもしろさ」の普遍化に拘束されるかたちで展開された、異なる二つの政治的運動であった。 プロレタリア芸術における大衆化論争とナショナリズムとの平行性は、こうした「おもしろさ」の内在化に限らない。両者はともに、大衆的公共圈のなかで、それぞれ「階級」と「臣民」という集合的な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めぐって対立した。このような点からすると、両者の政治的な基盤は葛藤的といわざるをえない。しかし、大衆=個人を集団の論理に結びつける論理の側面からみるならば、両者は同一性を持つ。というのも、両者ともに、個人を集団の一員として表象したからである。一方、中野重治はこうした表象の仕方を拒否した。彼は、大衆の争奪という政治的な問題より、こうした政治的な競争が行なわれる公共圈の内的論理を射程にいれていたのだ。したがって、中野の大衆化批判論が、これまで評価されなかったことは、中野がこうした異質的な視線の持ち主だったからではなかろうか。

      • KCI등재후보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In2O3-Ga2O3박막의 구조와 전기적 광학적 특성

        서동주 한국물리학회 2002 새물리 Vol.44 No.2

        In$_2$O$_3$-Ga$_2$O$_3$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 substrates by spray pyrolysis. Transparent conducting In$_2$O$_3$-Ga$_2$O$_3$ films prepared with Ga contents [Ga/(Ga+In) atomic ratio] up to 34.7 at \% were identified as Ga-doped In$_2$O$_3$ (In$_2$O$_3$:Ga) with the preferred orientation (222). The minimum resistivity and the maximum carrier concentration of the In$_2$O$_3$-Ga$_2$O$_3$ films deposited at a Ga content of 8 at \% were found to be 5$\times$10$^{-2}$ $\Omega$$\cdot$cm, 2.18$\times$10$^{20}$ cm$^{-3}$, respectively. The optical transmission of the sample deposited at a Ga content of 8 at \% was about 93 \% in the range from 400 nm to 800 nm. The optical energy band gap of the In$_2$O$_3$-Ga$_2$O$_3$ films deposited at a Ga content of 8 at \% was 3.750 eV and those of the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Ga content. 분무열분해법으로 유리기판 위에 In$_2$O$_3$-Ga$_2$O$_3$ 박막을 성장시켰다. In$_2$O$_3$-Ga$_2$O$_3$ 박막의 결정구조는 Ga[Ga/(Ga+In) atomic ratio]이 34.7 at. \%까지는 (222)면이 뚜렷하게 성장된 In$_2$O$_3$:Ga 구조로 확인되었고 그 이상 Ga의 양이 증가하면 비정질 박막으로 성장되었다. In$_2$O$_3$-Ga$_2$O$_3$ 박막의 최소 비저항과 최대 운반자 농도는 Ga를 8 at. \% 첨가하여 성장시킨 시료의 경우였는데, 그 값은 각각 5$\times$10$^{-2}$ $\Omega$$\cdot$cm, 2.18$\times$10$^{20}$ cm$^{-3}$ 이였다. Ga를 8 at. \% 첨가하여 성장시킨 In$_2$O$_3$-Ga$_2$O$_3$ 박막의 경우 400$\sim$800 nm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은 93 \% 이상이었다. Ga를 8 at. \% 첨가하여 성장시킨 시료의 광학적 에너지 띠간격은 3.750 eV이었고, Ga의 at. \%가 증가함에 따라 In$_2$O$_3$-Ga$_2$O$_3$ 박막의 광학적 에너지 띠간격은 감소하였다.

      • KCI등재

        후’의 기원과 내부화하는 ‘냉전’ - 홋타 요시에의 「광장의 고독」을 중심으로 -

        서동주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5 일본사상 Vol.0 No.28

        ‘냉전’과 ‘전후’는 양립이 불가능한 개념이다. 왜냐하면 의미상으로 볼 때, 냉전(Cold War)이 일종의 ‘전쟁 상태’를 전제로 한다면, ‘전후(Postwar)’는 ‘평화 상태’를 가정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탈냉전 이후일본에서는 ‘전후’가 끝났다는 시간감각이 확산되었다. 이런 현상이 보여주는 것은 일본인들이 냉전의 시간을 ‘전후’의 감각으로 살았다는 ‘역설’이다. 그렇다면 이 ‘역설’의 시간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것은 어떤 논리에 의해 자명한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일까? 이 글은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1951년 아쿠타가와상 수상작인 홋타 요시에의 「광장의 고독」을 분석했다. 이 소설이 중요한 이유는 냉전의 세계에서 ‘전후’의 감각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한국전쟁 발발을 계기로 냉전이 실제로 전쟁이 벌어지는 현장(‘열전’의 장소)와 말 그대로 ‘냉전’의 장소로 분할되는 사태에 주목한다. 그리고 전쟁에 ‘연루’된 일본을 ‘열전’의 현장에서 떨어져 있는 ‘냉전’의 장소에 위치시킨다. 즉, 여기에는 ‘냉전’과 ‘전후’ 일본을 결부시키는 상상력이 개입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작가 개인의 차원에 그치지 않고, 보수(자유주의)와 혁신(사회주의)의 양당체제인 ‘55년 체제’로 현실화되었다. 이로써 일본은 좌익과 우익의 이념 대립은 있으나, 한반도와 달리 ‘전쟁’의 상태로 비화하지 않는 장소라는 의미를 획득한다. 「광장의 고독」은 냉전과 전후를 공존시킨 ‘역설’적 상상력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은 탈냉전으로 위기를 맞은 ‘전후’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로도 읽을 수 있다. Whereas the Cold War implies that the world was under war conditions, the period of Postwar assumes the conditions under with peace might be obtained. Because of that, the idea of the Cold War was not compatible with that of the Postwar period. However, it is my contention here that the end of the Post-Cold War period brought a sense of an ending of Postwar among the Japanese public. In other words, the Japanese were living with memories of Postwar during the Cold War. This paper explores ways of questioning the cause and origin of this paradoxical situation as it happened in Japan. In order to do this, I examine Hotta Yoshie’s novel, Stranger in Town, received the Akutagawa Award in 1951 which addresse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the so-called “hot war” in the Cold War—on Japan.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although his novel portrays continuing ideological conflicts for over fifty years between communism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it rather asserts the compatibility of the Cold War and the period of Postwar in Postwar Japan with the fictional element.

      • KCI등재

        분무열분해법으로 성장된 ZnO:P 박막의 구조와 광학적 전기적 특성

        서동주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9

        ZnO:P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 substrates by using spray pyrolysis with a spray solution consisting of zinc acetate and phosphorous atomic absorption standard solution. The transparent,conducting ZnO:P films deposited at a substrate temperature of 420^℃ had a hexagonal structure with preferred (002), (101) and (103) planes and lattice constants a_o =3.242 A and c_o =5.237 A. The optical transmissions of the samples were about 70 - 90 at.% in the wavelength range from 400 nm to 850 nm. The optical energy gap of the ZnO:P film prepared with a P concentration of 0 at.% was 3.229 eV. The optical energy gaps of the ZnO:P films decreased with increasing P concentration in the samples. The ZnO:P films were confirmed to be p-type semicondu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all-effect measurements. The resistivity, the carrier concentration and the Hall coefficient of the ZnO:P film deposited at a P concentration of 4.0 at.% were .98× 10^-3 Ω· cm,~4.07×10^17 cm^-3,~ 15.33 ㎡/C, respectively. 분무열분해법으로 zinc acetate와 phosphorous atomic absorption standard solution을 유리기판 위에 분무하여 ZnO와 ZnO:P 박막을성장시켰다. 성장된 ZnO와 ZnO:P 박막의 결정구조, 광학적, 전기적특성을 X-선 회절분광기(XRD), 주사전자현미경(SEM), 에너지 분산 엑스선분광기(EDS), 자외선-근적외선 분광기(UV-NIR spectrometer), van der Pauw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20℃에서 성장된 ZnO:P 박막은육방구조의 (002), (101), (103)면이 뚜렷하게 성장되었고, ZnO:P 박막의격자상수는 a_o =3.242A,~c_o =5.237 A이며 P가불순물로 첨가된 ZnO(ZnO:P) 박막으로 확인 되었다. ZnO:P 박막의광투과율은 400 - 850 nm 파장영역에서 약 70 - 90 at.%이었고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를 0 at.% 첨가한 ZnO:P 박막의 경우 광학적 에너지갭은 3.229 eV이었고, 시료내에서 P의 농도가증가함에 따라 ZnO:P 박막의 광학적 에너지갭은 감소하였다. P를 4.0at.%첨가하여 성장시킨 시료의 경우 홀 효과 측정결과 p-형 전도성을나타냈고 전기적 특성이 가장 좋았는데 이 시료의 비저항, 운반자 농도,홀계수는 각각 9.98× 10^-3 Ω· cm,~4.07×10^17 cm^-3,~ 15.33 ㎡/C이었다.

      • 중·러 '전략적 동반자관계' 강화의 정치·전략적 함의 : '중·러 선린·우호·협력조약' 체결(2001.7)을 중심으로

        서동주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러시아연구소 2002 유라시아연구 Vol.2 No.1

        중·러 新우호조약 체결을 계기로 양국은 법적인 측면에서 그간의 無條約 상태를 탈피, 정상적인 국가관계 단계로 올라섰으며 중장기적으로 안정된 양국관계를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즉 21세기 양국의 상호관계를 규정하는 큰 틀을 정립한 가운데 對美牽制 및 多極化 국제질서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였음은 물론 경제, 군사, 안보부문 등 전방위적 협력 증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푸틴정부 시기까지 이어지고 있는 중·러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강화 추이는 첫째, 국제질서 변화에 적극 대처하는 시도; 둘째, 군사·안보적 측면에서의 전략적 이해 공유; 셋째, 동맹 아닌 전략적 유대 성격; 넷째, 전방위적 교류·협력 증진 및 경제·군사적 實益 강조; 다섯째, 이념적 색채·적대인식이 퇴색하고 있지만, 아직도 관계발전의 제약요인 내재; 여섯째, 對美牽制 전략적 공조의 실질적인 실행·효과 면에서 일정한 한계 노정; 끝으로, 9.11 테러사태 이후 '기회와 도전' 동시 보유 등의 정치·전략적 함의와 성격을 담고 있다.

      • KCI등재

        분무열분해법으로 성장한 CdO : In 박막의 구조와 광학적 전기적 특성

        서동주,백경원,이관교 한국물리학회 2007 새물리 Vol.54 No.5

        CdO : In 박막을 분무열분해법으로 유리기판 위에 성장시켰다. CdO : In 박막을 성장시키기 위해 사용한 시약은 cadmium acetate, indium acetate, 이차증류수이며, 0.02 mole 분무용액을 만들어 가열된 유리기판위에 분무하였다. 성장된 CdO : In 박막의 결정구조, 광학적, 전기적특성을 X-선 회절분광기 (XRD) 주사전자현미경 (SEM), 에너지 분산엑스선 분광기 (EDS), 광학적 스펙트럼, van der Pauw 법을 이용하여연구하였다. CdO : In 박막의 결정구조는 (111), (200)면이 뚜렷하게성장된 입방구조이며 In이 불순물로 첨가된 CdO (CdO : In) 박막으로확인 되었다. CdO : In 박막의 광투과율은 400 $\sim$ 800 nm 영역에서약 50 $\sim$ 75 \%였고 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CdO : In 박막의 광학적 에너지 간격은 In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In을 3.75 at.\% 첨가하여 성장시킨 시료의 경우비저항, 운반자 농도, 홀계수, 이동도는 각각 3.7423 $\times$ 10$^{-4}$ $\Omega\cdot$cm, 7.0307 $\times$ 10$^{20}$ cm$^{-3}$, $-$1.1492 $\times$ 10$^2$ cm$^2$/C, and 30.708 cm$^2$/V$\cdot$s이었다. CdO : In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 substrates by using spray pyrolysis. The precursor solutions of 0.02 M were obtain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s of cadmium acetate and indium acetate in twice-distilled water and were sprayed on heated glass substrates.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do : In films were studied using XRD, SEM, EDS, optical spectra, and the van der Pauw method. The CdO : In films prepared with In concentrations up to 10.0 at.\% were identified as In-doped CdO (CdO : In) with (111) and (200) preferred orientations of cubic structure. The optical transmissions of the CdO : In films were about 50 $\sim$ 75 \% in the wavelength range 400 nm to 500 nm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concentration. The optical energy band gaps of the CdO : In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concentration. The electric resistivity, carrier concentration, Hall coefficient, and mobility of the CdO : In films prepared with an In concentration of 3.75 at.\% were 3.7423 $\times$ 10$^{-4}$ $\Omega\cdot$cm, 7.0307 $\times$ 10$^{20}$ cm$^{-3}$, $-$1.1492 $\times$ 10$^2$ cm$^2$/C, and 30.708 cm$^2$/V$\cdot$s respectively.

      • KCI등재

        대한민국 엘리트의 기원과 계속되는 식민지주의-정종현의 『제국대학의 조센징』을 통해 본 한국 지식계의 ‘변방성’

        서동주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대한민국 국가형성기의 주류집단은 식민지 시기 제국대학 출신자였다. 그들은 학계뿐만 아니라 행정부, 사법부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 대부분은 일제 시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해 조선총독부의 행정관료 및 사법 관료로서 식민지 통치에 협력했던 이력을 갖고 있었다. 일본의 국가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했던 제국대학은 역설적으로 신생 대한민국의 국가형성을 주도한 관료 집단 ‘산실’이기도 했다. 정종현의 책 『제국대학의 조센징』(Humanist, 2019)은 해방 이후 헌법 제정을 비롯해 고등교육의 제도화 과정에서 주역을 맡았던 제국대학 출신자들에 대한 ‘집단 전기’를 표방하고 있다. 저자의 표현을 빌자면, 그들은 ‘출세인가, 지사인가’라는 고민과 함께 유학길에 올랐으나, 결국 제국일본의 관료가 되는 ‘출세의 길’로 나아갔다. 이 책의 저자가 ‘출세냐, 지사냐’라는 이분법을 도입한 것은 아마도 제국대학이 선사하는 ‘제국엘리트’라는 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에서 왔다는 ‘민족의식’ 사이에서 유학생들이 겪었을 고민과 좌절, 그리고 그런 분열의 해결책으로 선택된 ‘실력양성론’이 결국은 제국의 이익에 흡수되는 역설의 구조를 드러내려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출세를 선택한 제국대학 출신자들을 다만 제국에 ‘투항’한 엘리트로 규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불행한 처지에 있는 동포들에 대해 그들이 가졌던 ‘선의’와 ‘책임감’이 좌절되고 변질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지사냐 출세냐’라는 선택이 마치 비슷한 비중의 선택지였던 것처럼 기술하고 있지만, 제국대학 출신자의 절반가량이 식민지 체제의 ‘관료’로 살았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런 가정을 그대로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들의 다수는 유학을 떠나던 시점부터 시인 임화가 ‘지사’의 비유로 들었던 ‘하늘의 별’이 되기보다, 세상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속세의 별’을 등대 삼아 달려갔던 청춘처럼 보인다. 제국대학 출신자의 명맥은 끊어졌지만, 제국대학 출신자들을 우대했던 심리, 즉 ‘참다운 지식은 여기가 아닌 다른 곳에 있다’는 소위 ‘변경인의 심리’는 변함없이 우리 안에 똬리를 틀고 있지 않은가?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근대 한국의 엘리트 집단 형성의 역사를 통해 여전히 우리 안에서 청산되지 못한 ‘식민지주의’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The mainstream groups of the Korean national formation period were those who graduated from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xecutive and judiciary as well as in academia. Most of them had a history of cooperating in colonial rule as bureaucrats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The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which was a national elite training institution in Japan, simultaneously produced a bureaucracy that led the formation of a new Korea. This book Koreans at the Imperial University attempts to tell the stories of imperial college graduates who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libera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they were struggling between "success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eventually chose "the road of success" to become an official of Imperial Japan. This book does not define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as elites who “throttled” into Empire. The book details the process in which their "goodwill" and "responsibility" were frustrated and altered for their compatriots. However, even if they acknowledge the goodwill of the people of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it is hard to say that the choice of “independence movement or excuse” was similar to them. In reality about half of those from imperial colleges lived as bureaucrats. The imperial university graduates were cut off, but the so-called "modifier's psychology", "true knowledge is not here," remains in Korean society. In that sense, this book shows the common sense of “colonialism” that has not yet been cleared within us through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elite groups in moder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