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의례의 문화적 기억과 정동의 배치 : 한국전쟁에서 발생한 죽음 기억을 중심으로

        서경원(Seo, Kyeongw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4

        이 연구는 한국전쟁으로부터 비롯된 죽음과 의례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죽음 기억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의례의 의미 구조를 분석하여, 그속에서 생성되는 정동의 배치와 기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한국전쟁으로부터 발생한 죽음이 어떤 특정한 인식의 기반 속에서 의미화되는지, 그 의미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의례를 작동시키는 정동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안동 지역의 두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죽음의례의 전통을 살펴본 결과, 죽음의례 구조는 일회적으로 수행되는 상장례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제례로 분화 작용하여, 죽음에서 비롯된 충격 공포 슬픔 등 정동의 문제를 근원적 순환적으로 해결하고 사회를 안정화시켰다. 그러나한국전쟁에서는 죽음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죽음에서 비롯된 정동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국전쟁에서 발생한 죽음에 대한 기억은 의례의 수행 여부에 따라서공식적인 기억과 비공식적 기억으로 유형화된다. 이같이 유형화된 기억의 의미 구조를 기호학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죽음의례와 기억이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죽음을 기념하거나 망각하는 데 의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례를 수행한 죽음은 기념되는 반면에 의례를 수행하지 않은 죽음은 망각된다. 또한 어떤 의례 방식을 통해서 죽음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에 따라 그 죽음에 대한 기억이 달라진다. 공식적 의례에서 기념하는 죽음에는 정상적인 죽음의 의미가 부여되는 반면, 비공식적 의례에서 기념하는 죽음에는 비정상적인 죽음의 의미가 부여되었다. 또한 죽음에 대한 의미는 행위와 이데올로기 차원에서도 다양한 의미체계를 생성한다. 행위의 차원에서는 의례의 수행할 수있는 조건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이데올로기의 차원에서는 사회적으로 죽음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에 따라서 죽음에 부여하는 의미가달라진다. 전통적으로 죽음의례는 죽음 사건에서 비롯된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안정화하는 기능을 하였다. 곡(哭)은 죽음의례의 절차의 한 부분으로, 죽음에 대한 충격, 공포 등의 다양한 정동 가운데 슬픔을 특정하게 유교적으로 배치하면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안정화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재난으로 발생한 죽음에 대한 정동은 그 죽음의 원인과 책임을 둘러싸고다양한 집단이 갈등하면서 생겨난 것이므로, 그 정동을 규율하기 위해서는 보다 집합적인 정동의 배치가 필요하다. 죽음의례는 죽음에 대한 기억을 특정하게 선택하고 배제하면서 사회의 정상성을 유지해왔다. 예컨대 한국전쟁에서 발생한 다양한 죽음 기억가운데 사회의 통합에 기여하는 죽음에 대한 기억은 선택하여 의례를통해서 기념하였다. 반면 사회에 갈등과 분열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죽음에 대한 기억은 배제하여 의례를 치르지 않고 망각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의례를 통해 봉합된 죽음 기억은 언제 다시 돌출할 줄 모르기 때문에 잠정적 통합이 된다.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 typology of memories of deaths based on the rituals over deaths resulting from the Korean War and analyzed the signification of death rituals to delve into the placement and function of the affect generated from it. To that end, this paper discussed the perceptive base on which deaths resulting from the Korean War were signified and how such signification is formulated. Moreover, the affective base triggering the death rituals was considered. The cases of two villages in Andong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tradition and shift of death rituals. Traditionally, death rituals were divided into, and worked as, the one-off mourning funeral and the regular ritual formaliti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such death rituals, the affective issues rooted in death, e.g. shock, fear and grief, were radically and cyclically addressed, which was conducive to stabilizing the society. Yet, during the Korean War, people failed to perform death rituals properly and thus could not cope with the affective issues originating from death. The memories of deaths taking place during the Korean War are stereotyped into official and unofficial memories relative to the performance of rituals. semiotic analysis was applied here to analyze the stereotyped signification of memories. The analysis highlighted a close interrelation between death rituals and memories. Ritua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emorating or forgetting deaths. Deaths with rituals were commemorated, whereas those without rituals sank into oblivion. Also, The memory of death varies depending on what ritual method gives meaning to death. Deaths commemorated with official rituals were signified as normal deaths, whereas those commemorated with unofficial rituals were signified as abnormal deaths. Also the meaning of death creates a variety of semantic systems in terms of behavior and ideology. The meaning of death depends on what conditions the ritual can be performed in terms of behavior. Even in terms of ideology, it depends on what social meaning is given to death. Meanwhile, traditionally, death rituals quelled social chaos and conflicts resulting from death incidents. Wailing(哭) was part of death rituals, contributing to quelling the social chaos and conflicts by placing the grief in a Confucian way among various affects including the shock and fear of death. Yet, as the affect over deaths caused by social disasters arises from conflicts between diverse groups surrounding the causes of and responsibility for such deaths, a more collective placement is needed to regulate the affect. Also, death rituals maintained the normality of society by selecting and excluding the memories of deaths. For example, among the memories of diverse deaths that took place during the Korean War, the memories of deaths conducive to social integration were selectively commemorated through rituals. In contrast, memories of deaths prone to social conflicts and disruption were excluded and forgotten without rituals. However, as the memories of deaths sealed with rituals could unexpectedly loom large, they constitute a temporary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