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등숙기의 생장조절제처리가 종실 및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史鍾九,金起植,韓世基,許範亮,金光鎬 한국작물학회 1988 한국작물학회지 Vol.33 No.3

        벼의 등숙기간중에 발생하는 수발아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품종간 수발아성 비교, 출수후 종자발달에 따른 발아율 비교, 등숙기의 생장조절제 처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 및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 재배한 포장에서의 수발아성은 일반형중 조생종들이 높았고 중만생종과 통일형 품종들은 수발아가 되지 않았다. 2. 일반형 품종인 대성벼는 출수후 30일, 통일형인 태백벼는 35일이 경과되면 발아력이 높아져 종자로서의 발아조건은 충분히 갖추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3. 공시한 두 품종 및 3처리시기에서 모두 수발아 억제에는 NAA 및 CMH는 100ppm 그리고 Reglone은 0.4∼0.6%의 농도에서 효과가 가장컸다. 4.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공시된 두 품종 모두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없이 양호 하였으나 Reglone 이 처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5. 생장조절제가 처리된 두 품종의 등숙율은 NAA와 CMH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Reglone처리 구는 낮았고 종자 색갈은 NAA만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며 CMH와 Reglone 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갈색을 띄는 미립이 많았다. 도정특성을 보면 NAA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고 CMH 및 Reglone을 출수후 20∼30일에 처리한 구는 완전현미비율이 낮았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method of reducing viviparous germination of rice seeds using growth regulator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Among the recommended varieties, early Japonica type showed higher rate of viviparous germination, while late Japonica type and Tongil type varieties did not show viviparous germination in field condition. Grain showed high germination ability from 30 days of grain filling period in Daeseongbyeo of Japonica type and 35 days in Taebackbyeo of Tongil type. Growth regulators, NAA, CMH and Reglone were effective for reducing viviparous germination to the two rice varieties and three treatment stages in this experiment. NAA and CMH were most effective at 100 ppm and Reglone was at 0.4-0.6% concentration. Germination rates of rice seed were not different from non-treatment when NAA CMH were treated, while Reglone lowered germination rate. NAA and CMH had no effects on grain filling rate for both varieties, which showed high grain filling rate as the non-treatment, but Reglone results low grain filling rate. Grain color was not changes when NAA was applied, while CMH and Reglone made a lot of grain to dark brown as the concentration became higher. When grain were hulled, NAA had no difference with the non-treatment whereas CMH and Reglone had lower rate of perfect brown rice when they were applied at 20-30 days after heading.

      • KCI등재

        중북부 지방 벼 장려품종의 활착기 저온반응의 차이

        金起植,史鍾九,許範亮,石川哲也,石倉敎光 韓國作物學會 1989 한국작물학회지 Vol.34 No.2

        중북부 지방의 재배벼로 지정된 태백벼외 18개 장려품종들에 대한 생육시기 저온반응을 구명하고자 14℃ 와 12℃ 의 Growth chamber 내에서 저온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은 소백벼, 백암벼, 설악벼, 화성벼, 치악벼, 도봉벼, 대성벼, 상풍벼, 천마벼 등이었다. 2. SPAD 치에 의한 엽색의 정도는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들이 높았다. 3. 저온처리시 뿌리의 신장을 전혀 보이지 않았던 품종은 태백벼, 삼강벼, 백양벼, 풍산벼, 상풍벼, 진여 등이었다. 4. 저온처리후 20일 경과시 발근장과 발근수는 대성벼, 오태벼, 화성벼, 성락벼, 치악벼, 운봉벼, 소백벼 등이 많았다. 5. 활착기에 저온처리를 당했던 품종은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하더라도 2~11일 정도 출수지연 현상을 보였다. 7. 엽색이 농록이고 발근율도 높은 품종은 상품벼, 치악벼, 오태벼, 소백벼, 운봉벼, 설악벼, 도봉벼, 화성벼, 대서여 등이었고, 엽색농도가 낮고 발근율도 낮은 품종은 백양벼, 태백벼, 삼강벼, 농백 등이었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varietal responses of low temperature; 14~circC and 12~circC . at rooting stage of the recommended rice varieties in middle boreal area. The varieties showed discoloration resistance are Sobaegbyeo. Baegambyeo. Hwaseongbyeo Chiagbyeo. Dobongbyeo and Daeseongbyeo. varieties wi th no root growing under low temperature are Taebaegbyeo. Samgangbyeo. Baegyangbyeo. Pungsanbyeo and Sangpungbyeo. The varieties showed dark green leaf color and high rooting rate are Sangpungbyeo. Chiagbyeo. Odaebyeo. Unbongbyeo. Dobongbyeo. Hwaseongbyeo. Sobaegbyeo and Daeseongbyeo. light-green of leaf color and low rate of rooting are Taebaegbyeo. Baegyangbyeo. Samgangbyeo and Nongbaegbyeo.

      • KCI등재

        1988년도 강원도 산간 지대의 벼 장해형랭해 실태조사

        許範亮,安明動,金起植,金在錄,史鍾九,金昇卿,張鎭先,金得來 한국작물학회 199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5 No.6

        1988년도 강원도내 산간고랭지 등 국지적으로 발생한 랭해피해양상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온 경과시기는 지역간 차이는 있으나 7월 23일부터 8월 2일 사이로 감수분열기에 해당된 벼가 장해형 랭해를 유발하였다. 이때 최저극기온 횡성군 둔내면은 8.5℃ , 평창군 진부면은 5.7℃ 였다. 2. 저온피해지역은 표고 300m 이상 산간고랭지가 대부분 해당되는 지역이었다. 3. 랭해피해지역의 임실비율이 80% 이상 되려면 감수분열기 13일간 평균기온 적산온도 285℃ , 최저기온 적산온도 225℃ 이상, 17℃ 이하 지속일수 5일 이하로 경과하여야 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4. 감수분열기 저온피해정도별 수량은 총재배면적 총피해품종면적/총면적 감수 분열제 피해면적/총피해품종면적 총예상수량 임실장해율로 산출할 수 있다.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cold-induced sterility of paddy rice in 1988 in the alpine area of Kangweon province when cold spell occurred during late July to early August, During this period minimum temperature as low as 8.5~circC and 5.7~circC was recorded at Dunnae and Jinbu, respectively. The rice cultivars, which encountered this cold spe]J at meiotic stage of microspore, were damaged by sterility in most alpine areas of higher than 300m in altitude. To secure spilkelet fertility higher than 80% it was estimated that the minimum and average air temperature accumulated during 13 days of meiotic stage should be higher than 225~circC and 285~circC , respectively and/or the duration of lower than 17~circC in minimum temperature should not exceed fivedays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춘천지역의 기상요소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해석

        이안수,김재록,조윤상,김용복,함진관,정정수,사종구,신진철 한국작물학회 2011 한국작물학회지 Vol.56 No.2

        1988년부터 2009 년까지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수행된 벼 작황조사시혐의 오대벼와 일품벼 관련 기상요소 및 조사성적을 바탕으로 각 기상요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벼 출수기, 간장, m2 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품종 및 생육 단계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제로 총수기 까지의 일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기온일교차, 풍속 및 상대습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수기는 일평균 기온과 상대습도의 영향을, 간장, m2 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일교차 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등숙율, 천립중 및 쌀 수량은 벼 출수기 부터 40 일간의 일평균 기온, 기온일교차, 강수량, 일조시간에 대하여 오대벼와 일품벼가 전혀 다른 반용을 보였으나, 풍속 및 상대습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쌀 수량은 풍속이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과 상대습도는 기온, 기온일교차, 일조량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국내 벼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상대습도가 낮고 바람이 충분한 환경에서 벼는 활발한 증산 작용과 광합성을 통해 수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ere we reported an analyzing resul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variables and rice(c.v. Odaebyeo and Ilpumbyeo) yield characteristics (including some growth characteristics) based on a long-term observed data at GARES and at KMA for rice and weather, respectively. Most of crop parameters investigated, such as heading date, culm height, panicle number m-2 , grain number panicle-1 ripening rat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were strongly affected by wind velocity and relative humidity, as well as by daily mean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sunshine hours and daily variations in air temperature depending on variety and crop developmental stages. Air velocity and relative humidity had not been studied as climatic variables aff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ice growth and yield, however, they turned out to affect all the characteristics of rice investigated, especially ripening rate and yield, as much as any other climatic variables in this study. Air velocity appeared to affect highly the culm height and yield of Odaebyeo and ilpumbyeo. Relative humidity appeared to affect highly grain number and ripening rate of Odaebyeo and yield of Ilpumbyeo. Consequently Rice yield revealed to increase in the climatic conditions of high air velocity and low relative hum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