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집트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

        사라 벤자민(Sarah Benjamin),이호영(Ho-Young Lee)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4

        이 연구는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한국어 모음을 어떻게 지각하고 범주화하며, 이들이 발음한 한국어 모음을 한국인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 밝히고, 이를 토대로 이집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범주화가 그들의 한국어 모음 지각과 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1에서는 이집트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음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집트인 학습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자극 단어를 듣고 어느 단어를 들었는지 객관식으로 고르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고, 실험 2에서는 이집트인 학습자들이 발음한 한국어 모음을 한국인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 밝히기 위해 이집트인 학습자 9명이 산출한 자극 단어 117(13개×9명)개를 한국인들에게 들려주고, 어느 단어를 들었는지 객관식으로 고르게 한 다음 모음의 발음이 원어민 수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이집트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한국어 모음은 별도의 범주를 쉽게 형성하여 잘 지각된 반면 산출이 잘 되는 새로운 모음도 있었고, 산출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음도 있었다. 반면에 이집트어 음소와 “비슷한” 한국어 음소는 비교적 잘 산출되지만 지각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음성학습모델(speech learning model)과 지각동화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이 제2언어 학습자들의 제2언어 음성 지각을 잘 설명해 주지만 음성 산출을 설명하는 데 미흡함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Egyptian learners of Korean perceive and categorize Korean vowels, how Koreans perceive Korean vowels they pronounce, and how Egyptian learners’ Korean vowel categorization affects their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vowels. In Experiment 1, 53 Egyptian learners were asked to listen to Korean test words pronounced by Koreans and choose the words they had listened to among 4 confusable words. In Experiment 2, 117 sound files (13 test words×9 Egyptian learners) recorded by Egyptian learners were given to Koreans and asked to select the words they had heard among 4 confusable word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new” Korean vowels that do not have categorizable ones in Egyptian Arabic easily formed new categories and were therefore well identified in perception and relatively well pronounced, but some of them were poorly produced. However, Egyptian learners poorly distinguished “similar” Korean vowels in perception, but their pronunciation was relatively well identified by native Kore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gued that the Speech Learning Model (SLM) and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PAM) explain the L2 speech perception well,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explain L2 speech production and therefore need to be revised and extended to L2 speech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