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냉동 보관된 자가골을 이용한 두개골성형술

        복원길,홍석기,민경수,이무섭,김영규,김동호 대한신경외과학회 2003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3 No.2

        Objective:Variable materials have been used in cranioplasty of skull defects, of which autologous bone is the most ideal. The authors explore methods and clinical results of cranioplasty with frozen autologous bone. Methods:Cranioplasty was performed using frozen autologous bone in 16 patients with skull defects between August 1997 and April 1999. Primary diseases were severe head injury in 14 patients and cerebral infarction in two patients, and all of them received decompressive craniectomy. Cranioplasty were done from 25 to 225 days after primary opera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Results:There was no infection or epidural hematoma. During the follow-up period, autologous bone flap were fused firmly to the skull without absorptive evidences and delayed complications. It was satisfactory in all cases when considered aesthetic aspects. Conclusion:Cranioplasty using frozen autologous bone is safe and satisfactory method for repair of surgically induced skull defects. Key words:Cranioplasty;Skull defect;Autologous bone.

      • 만성 경막하혈종의 단순 천공 배액술후 재발 및 두개강내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요인

        김영규,민경수,이무섭,김동호,복원길,홍석기,김호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만성 경막하혈종은 두개골 천두술및 혈종배액으로 쉽게 치료될 수 있는 예후가 양호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혈종의 재발 및 합병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두개골 천두술 및 혈종배액으로 치료받은 102예의 만성 경막하혈종 환자들을 분석하여 혈종의 재발 및 수술후 합병증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만성 경막하혈종으로 진단되어 두개골 천두술 및 혈종배액술법으로 본원 신경외과에서 수술치료받은 1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입원진료기록 및 방사선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재발 및 합병증의 발생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수술전 환자의 나이, 의식상태, 양측성여부, 뇌실질의 위축정도, 수술후 기뇌의 양, 전신질환여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재발의 빈도는 9.8% 였으며 재발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양측성, 고령, 수술후 뇌실질재팽창정도(뇌 실질위축, 잔여수액, 기뇌)가 관계가 있었으나 환자의 예후에는 영향이 없었다. 합병증의 종류에는 수술후 급성출혈 5예 및 경막하 농양 1예가 있었으나 이는 모두 출혈성전신질환 또는 면역결핍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예후가 불량하였으며, 긴장성 기뇌가 1예발생 하였다. 결론: 전신질환의 동반여부가 합병증의 발생 및 환자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비록 예후에는 영향이 적으나 혈종의 재발의 빈도가 드물지 않으며 기뇌의 방지 및 배액방법의 개선으로 재발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Most of chronic subdural hematomas(SOH) are amenable disease with simple cranoistomy drainage, but the recurrence of SDH or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fter surgery is not uncommon. To see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outcome the recurrence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and development of complication were analysed in 102 cases of chronic SDH after craniostomy drainage.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02 chronic SDH patients treated with craniostomy drainag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analysed the recurrence and complication rate,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recurrence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rate of recurrence of chronic SDH was 9.8% and factors related to recurrence were bilaterality, old age, and postoperative intracranial environments for brain reexpansion(degree of brain atrophy, amount of residual fluid, amount of intracranial air). Intracranial complications after surgery were developed in 7 cases(6.9%), 5 postoperative bleedings, 1 tension pneumocephalus, 1 subdural empyema. Conclusion : Preoperative clinical condition and association of serious sytemic disease were of major importance in prognosis. The recurrence of chronc SDH was not uncommon, Even though the recurrence was not related to the outcome, great care should be paid on the patients with high risk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