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면시작 기준의 차이에 의한 수면잠복기반복검사결과의 변화

        임세원,복기남,이헌정,김린,Lim, Se-Won,Bok, Ki-Nam,Lee, Heon-Jeong,Kim, Lee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2

        목 적:수면잠복기 반복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는 주간 졸림증을 측정하는 객관적 방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국 수면학회의 MSLT guideline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최소 1개 epoch의 1단계 수면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수면센터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위해 3개 epoch 이상의 1단계수면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기준의 적용에 의해 수면잠복기반복검사의 결과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보다 타당한 수면시작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1999년 4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고려대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서 시행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중 60건(300 nap)의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동일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각기 1개 epoch 기준과 3개 epoch 기준을 적용하여 수면잠복기를 기록후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60명의 MSLT 중 수면시작의 기준을 달리 적용했을때 평균 수면잠복기 결과가 달라진 경우는 20명으로 33.3%였으며 3개 epoch 기준에 비해 1개 epoch 기준을 적용시 단축되는 평균수면잠복기의 변화율은 최소 1.3%에서 최대 38.5%으로 평균값은 15.9%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였으며 수면잠복기가 상대적으로 긴비기면병군이 기면병군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결 론:다른 수면시작기준의 적용에 따라 수면잠복기결과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졸림증의 정도가 중등도이상인 경우 그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은 아니였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졸리움을 보다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라는 측면에서는 1개 이포크기준이 보다 타당할 수 있겠다. Objectives: The 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 is commonly used as a valid objective measure of sleepiness. The procedure of MSLT is well standardized but the sleep onset criterion is somewhat variable. One epoch of stage 1 sleep is the most commonly used criterion, and the criterion of three epochs of stage 1 sleep is also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wo criteria used to determine sleep onset.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0 consecutive MSLT tha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a standaridized protocol. We scored each test using the two different criteria for sleep onset and then statistically analyed the results. Results: Using the different criteria, 20 patients among 60 showed changes in mean sleep latency (33.3%). The extent of change ranged from 1.3% to 38.5% (mean 15.9%). Non-narcoleptic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hange than other sleep disorder patients. Conclusion: Changes in mean sleep latency occurr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riteria of sleep onset. But the difference arising from different criteria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sleepiness. Considering that 1 epoch criterion for sleep onset is more sensitive in detecting clinically significant sleepiness,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1 epoch criterion is more reliable than the 3 epochs criter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