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범서식지 포유류종의 도로 횡단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변예슬 ( Ye-seul Byun ),권진오 ( Ji-no Kwon ),김정환 ( Jeong-hwan Kim ),신문현 ( Moon-hyun Shin ),이상돈 ( Sang-don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로드킬 GIS 데이터와 네이버 거리뷰를 이용하여 토지피복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포유류 로드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웃 경관과 도로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야행성이며 다중 서식지를 이용하는 일반종인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의 로드킬은 섭식, 번식을 위해 선호하는 서식지를 중심으로 영동과 중부 고속도로 인근 나지, 초지, 습지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된 지 오래된 노선인 영동에서는 종 간 토지피복의 차이가 없던 것(p=0.165)으로, 신규 개통 후 지속적인 연장공사가 이루어졌던 중부는 차이가 유의했던 것(p=0.001)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악지대인 영동선과 도심화 지대인 중부선 간 경관 유형의 차이 혹은 개통일과 야생동물의 주변 서식지 적응도 및 연장공사 빈도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추정된다. 야생동물 도로 횡단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난 펜스 및 가드레 일과 달리, 절ㆍ성토면의 방지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움닫기를 위한 경사면으로 연출될 경우 병치된 펜스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로 인근에서 고속도로와 병치되는 국도 혹은 지방도의 경우 펜스 및 성토면이 부재한 사례가 많아 로드킬 발생의 취약 지점으로 나타나며, 특히 교차로의 초지 패치는 고속도로 양 옆 경관 패치와 이어지는 시각적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도로를 건너려는 동물들에게 시각적 은폐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교차로 인근에서의 높은 로드킬 발생율로 설명되어진다. This study examined spatial disposition of wildlife highway mortality using road-kill GIS database and Naver panoramic 360 degree views to find out which habitat and road variables most influenced road-kill numbers for each mammal species and how the landscape and road elements are connected on highway. Road-kills on Yeongdong(YD) and Jungbu highway(JB) generally tended to be higher in natural barren, grassland and cropland due to its value of preferred habitats of nocturnal and multihabitat species like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argyropus), raccoon(Nyctereutes procyonoides) and hare(Lepus coreanus). Land cover in Y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pecies (p=0.165) while JB did by species (p=0.001). This may be explained by disparate landscape between mountain and urban or the fact that YD in long term operation might have enabled consistent crossing pattern compared to JB experiencing continuous extension works which may in turn have deviated the road crossing. Although road-kill prevention effect of local topography alone was appreciable, compared to less significant or ineffective fence and guardrail, gentle slope declining in a direction to the road turned out to offset the preventive effect of juxtaposed fence. Furthermore, green patches on road near intersection were deemed a visual stepping stone facilitating wildlife attempted crossing and local roads juxtaposed with a highway were especially left defenceless to road-kill without road barr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