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태위에 따른 질식분만의 주산기 예후

        윤정혜 ( Jung Hye Yun ),서은정 ( Eun Jung Seo ),오혜영 ( Hye Young Oh ),변아롱 ( Ah Rong Byun ),이현이 ( Hyun Lee Lee ),이순표 ( Sun Pyo Lee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쌍태임신에서 태위에 따른 질식분만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분만한 쌍태임신 301예에서 임신 28주 미만 출생 16예, 출생체중이 1000 g 미만 6예, 자궁내 태아사망 4예, 질식분만 후 제왕절개분만 1예 등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연구에 부합하는 최종 274 예를 대상으로 쌍태아 태위에 따라 두정위/두정위를 A군 (133예), 두정위/비두정위를 B군 (80예), 첫 번째 아이가 비두정위인 경우를 C군 (61예)으로 나누었다. 이를 다시 분만방법에 따라 질식분만과 제왕절개분만한 경우로 나눠 각 군별 분만방법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test를 이용하여 p<0.05를 의미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A군에서 질식분만이 46예 (34.6%)로 B군, C군의 각각 5예 (6.3%), 5예 (8.2%)보다 높았고 (p<0.01), 질식분만의 임신 기간이 제왕절개분만보다 더 짧았다 (p<0.05). 제왕절개분만을 한 경우는 총 218 (79.6%)예로, A, B, C군 각각에서의 선택적 제왕절개분만 비율이 65.4%, 93.8%, 91.8%로 가장 높았다. 질식분만으로 출생한 경우 신생아 중환아실 입원비율은 A군에서 40.2%였고, 제왕절개분만을 한 경우 32.8%로 질식분만의 경우 더 높았으나 이는 대부분 저체중에 의한 경과 관찰로 평균 입원 기간은 A군의 질식분만시 17.0일, 제왕절개는 16.8일로 더 길었으나 이는 임신 기간이 더 짧았기 때문으로 5분 apgar 점수, 인공 호흡기 치료 등 주산기 예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쌍태아 질식분만은 태위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고, 두정위/두정위의 경우 분만방법에 따른 주산기 예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이 경우에서의 선택적 제왕절개분만 빈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perinatal outcome of vaginal delivery in twin pregnancy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Methods: A total of 274 cases suitable to this objective were selected from the 301 cases of twin pregnancy delivered between March 2000 and February 2005. They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vertex/vertex as the group A (133 cases), vertex/nonvertex as the group B (80 cases), nonvertex in the first twin as the group C (61 cases). And then each group also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according to the mode of delivery;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delive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groups in each group as to perinatal outcome was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incidence of vaginal delivery in group A (46/133, 34.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B (5/80, 6.3%) and C (5/61, 8.2%). A total of 218 (79.6%) cases were underwent the cesarean delivery and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delivery was elective twin cesarean delivery in all 3 groups (65.4%, 93.8%, 91.8%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neonatal admiss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as, however, higher in vaginal delivery (40.2%) than in cesarean delivery (32.8%) in group A. The most common cause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was low birth weight for simple observation, and average admission dates of vaginal delivery was 17.0 days and cesarean delivery was 16.8 days. Conclusion: Vaginal delivery of twins depends on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natal outcome of group A were observed between the mode of delivery. Therefore attempt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elective twin cesarean delivery in group A is demanded.

      • KCI등재

        임신중 발생한 추간판 탈출증

        이호형 ( Ho Hyung Lee ),김석영 ( Suk Young Kim ),변아롱 ( A Rong Byun ),오혜영 ( Hea Young Oh ),이현이 ( Hyun Lee Lee ),윤정혜 ( Jung Hye Yoon ),이상구 ( Sang Gu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1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during pregnancy has been a rare occurrence with a reported incidence of 1:10,000 case. It is hard to diagnose because of the potentially hazardous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to the fetus when complaining back pain during pregnancy. In this ca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ovide safe and useful modality and in general, back pain usually respond readil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uda equina syndrome or severe and/or progressive neurologic deficit is a medical emergency that necessitates prompt surgery during pregnancy. She admitted at 31 weeks gestation for sudden development of right leg paresthesia and ankle motor weakness, an MRI showing compression on right nerve root at the level of L5~S1. After 4 weeks treated with bed rest and analgesics, w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and laminectomy at the same time. We have experienced a pregnancy with HNP, so report of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