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성 스포츠 게임의 선택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과 가치에 관한 연구: 스크린 골프장을 중심으로

        변경원 ( Kyung Won Bye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크린 골프 고객의 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토대로 심층면접을 이용한 래더링 기법과 APT 래더링 기법을 사용하여 스크린 골프 고객의 가치-기능적혜택-심리적헤택-가치의 인지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크린 골프의 중요시 고려되는 속성은 ‘시설’, ‘입지’, ‘스크린장비의 우수성’, ‘주차시설’, ‘가격’, ‘운영시스템’, ‘서비스’이다. 또한 속성을 통한 기능적 혜택에는 ‘운동집중’, ‘이용편리’, ‘시간절약’, ‘비용절감’, ‘필드와 같은 현장감’, ‘실력발 휘’, ‘타인과의 약속관리’이다. 기능적 혜택과 연결되는 심리적 혜택에는 ‘여유로’움, ‘만족감’, ‘자신감’, ‘유쾌한 기분’, ‘심리적 안 정’, ‘부담감소’, ‘타인과의 친밀감’이다. 최종적으로 소구되는 가치는 ‘삶의 즐거움’, ‘성취감’, ‘편안함’, ‘골프실력 향상’, ‘건강함’, ‘경제적이익’, ‘타인과의 관계도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통한 가치단계도(HVM)를 살펴보면, ‘시 설’/‘입지’-‘이용편리’-‘만족감’/‘여유로움’-‘편안함’/‘골프실력향상’이 가장 강한 연관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ttribute of screen golf customer. To achieve objectiv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designed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using the in-depth laddering technique and APT laddering technique which understanding the linkage of A(attributes)-FB(functional benefits)-PB(psychological benefit)-V(valu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screen golf customer provided attributes were ``facilities``, ``location``, ``screen equipment excellence``, ``parking facilities``, ``price``, and ``operating system service``. A linkage between the attributes and the functional benefits are presented such as ``concentration in exercise``, ``convenient use``, ``time saving``, ``cost saving``, ``presence in field``, ``show ability and ‘appointment management with others’. A linkage between the functional benefits and the psychological benefit are presented such as ``relaxation``, ``satisfaction``, ``confidence``, ``pleasant mood``, ``psychological stability``, ``reducing the burden``, ``intimacy with others``. Finally, the terminal values are revealed as follows: ``enjoyment of life``, ``achievement``, ``comfort``, ``improve golf skills``, ``healthy``, ``economic benefits``, and ``improve relations with others``. The key idea from the HVM, interestingly, in was very clear that screen golf customer who selected ``facilities`` & ``location``, wanted the functional benefits of ``convenient use``, wanted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satisfaction`` and ``relaxation`` that they associated with a value for ``comfort`` and ``improve golf skills``.

      • KCI등재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과 참가만족,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 대학태도와의 관계

        변경원 ( Kyung Won Byeon ),김영기 ( Young Ki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과 참가만족,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 대학태도와의 이론적 관계를 규명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스포츠이벤트의 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이벤트이미지, 대학이미지를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대학태 도를 종속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 3대3 농구대회에 참가자 192명이다. 자료처리는 PASW Ver. 17.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환경요인(보상프로그램, 시설, 심판)은 참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참가만족은 이벤트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만족은 대학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이벤트이미지는 대학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다섯째, 이벤트이미지는 대학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대학이미지는 대학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sports event environmental factors of university, participation satisfaction, event image, university image, and university attitud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ports event environmental factors of university, mediating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satisfaction, event image, and university image. and dependent variable was university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participants who participants participated 3on3 basketball tournament in university. This study used PASW Ver 17.0 for frequency analysis and AMOS 5.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factors(reward program, facilities, refere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vent image. Third,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image. Fourth, event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niversity image. Fifth, event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attitude. Sixth, university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attitude.

      • KCI등재

        스포츠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택속성과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모형 비교

        변경원 ( Kyung Won Byeon ),김용만 ( Yong Man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선택속성과 브랜드 이미지(콜라보레이터, 콜라보레이티),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각 가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저관여 집단과 고관여 집단 간에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스포츠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소비자 269명이다. 자료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선택속성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은 콜라보레이터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택속성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은 콜라보레이티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집단 간 경로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을 통해 설정한 변인 간의 경로를 조사한 결과, 저관여 소비자 집단과 고관여 소비자 집단의 경로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스포츠콜라보레이션 선택속성은 콜라보레이터와 콜라보레이티 이미지 모두 영향을 미치고 관여도 수준별 다집단분석에 있어서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 경로에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브랜드 기업의 운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이 스포츠 콜라보레이션 선택속성을 느끼는 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llaboration brand selection attribute, brand image(collaborator, collaboratee), attitude toward brand, brand loyalt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relative effect regarding each hypothesis influence on changes between low involvement consumer group and high involvement consumer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9 questionnaires who sports collaboration brand consumer. Data analysis used for SEM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EM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ection attribute of extrinsic and intrinsic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llaborator brand image. Second, selection attribute of extrinsic and intrinsic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llaboratee brand image. Third, trut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mmit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stablished through the model on which path invariance constraints between groups were placed,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between path of low involvement consumer group and high involvement consumer group. In conclusion, It`s found that the sport collaboration brand selection attribute which is the sport collaboration brand affects the perceived collaborator image and collaboratee image. Furthermore, our study revealed that the sport collaboration brand selection attribute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make a difference for the path of the attitude toward brand and brand loyalty in a involvement consumer multiple group SEM. Therefore, It`s concluded that increasing a level of the consumer`s sport collaboration brand selection attribute with a sports brand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achieve higher profits for managing.

      • KCI등재

        야간 스키리조트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 태도 및 고객충성도와의 구조적인 관계: 지역에 따른 모형비교

        변경원 ( Kyung Won Bye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키리조트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 태도, 고객충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각 가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지역별 스키리조트 고객 간에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스키리조트 고객 268명이다. 자료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선택속성의 하위변인인 편리성과 가격, 친숙성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설질과 슬로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선택속성의 하위변인인 슬로프와 친숙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편의성과 설질, 가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지각된 가치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태도는 고객충성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경기도에 위치한 스키리조트 이용 고객과 강원도에 위치한 스키리조트 이용 고객 집단 간 경로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을 통해 설정한 변인 간의 경로를 조사한 결과, 친숙성과 지각된 가치 경로와 태도와 고객충성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스키리조트의 야간 선택속성 중 친숙성은 지각된 가치와 태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지역별 다집단분석에 있어서도 지각된 가치 경로에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스키리조트에 친숙함을 느끼는 강도를 높이는 것이 야간 스키리조트 운영 성과에 있어서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객의 야간 소비트 렌드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고 야간 할인과 야간 프로모션 행사에 대한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이용빈도와 기간을 증대시키는 고객관계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주효한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ki resort selection attribut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at relative effect regarding each hypothesis influence on changes between customers group to the ski resort in Gyeonggi-do and customers group to the ski resort in Gangwon-do.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8 questionnaires who ski resort customer. Data analysis used for SEM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EM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ection attribute of convenience and price, familiar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But selection attribute of snow quality and slope condition not had a influence perceived value. Second, selection attribute of slope condition and familiar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But selection attribute of convenience, snow quality and price not had a influence perceived value. Third,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Fourth,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Fifth, attitud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Furth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stablished through the model on which path invariance constraints between groups were placed,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between familiarity-perceived value path and attribute-customer loyalty path of customers group to the ski resort in Gyeonggi-do and customers group to the ski resort in Gangwon-do. In conclusion, It``s found that the familiarity which is on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ski resort for the night session affects the perceived values and attitude. Furthermore, our study revealed that the familiarity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make a difference for the path of the perceived value in a regional multiple group SEM. Therefore, It``s concluded that increasing a level of the consumer`s familiarity with a ski resort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achieve higher profits for managing a ski resort during a night session. Hence, proper information for consumer`s trend must be provided to them. Furthermore, It``s concluded that an enhancing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ight be beneficial to increase a participation during a night ski session.

      • KCI등재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과 구단충성도에 관한 연구

        변경원(Byeon, Kyung-Won)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trust, attachment and team loyal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3 questionnaires who professional baseball fans. Data analysis used for SEM analysis and multiple mediator model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econd,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achment. Third,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oyalty. Fourth,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achment. Fifth,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oyalty. Sixth, Attach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oyalty. Seventh, Indirect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2 paths[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 trust → team loyalty;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 trust → attachment → team loyalty].

      • KCI등재

        스키학교 강사의 조직후원인식, 팀-종사원 교환관계와 고객지향성과의 구조적 관계: 조직신뢰와 동료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변경원 ( Kyung Won Bye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스키학교의 조직후원인식과 팀-종사원 교환관계, 고객지향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후원인식과 팀-종사원 교환관계를 독립변수로, 신뢰(조직, 동료),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고객지 향성을 종속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연구대상은 스키학교 강사 227명이다. 자료처리는 PASW Ver. 17.0과 AMOS 5.0을 이용 하여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직후원인식은 조직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종사원 교환관계는 동료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 째, 조직신뢰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동료신 뢰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동료신뢰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 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아홉째,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S(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TMX(team-member exchange), customer orienta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OS(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and TMX(team-member exchange), mediating variables were organization trust, co-work trus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Finally, dependent variable was customer orient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7 questionnaires who ski school lecturer. This study used PASW Ver 17.0 for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5.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trust. Second, TMX(team-member exchan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work trust. Third, organization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urth, organization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Fifth, co-work trust had a non-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ixth, co-work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Seventh,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Eighth, job satisfaction had a non-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Ninth, organization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

        스키학교 강사의 직무착근도와 근무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용만 ( Yong Man Kim ),변경원 ( Kyung Won Byeon ),이정우 ( Jung Woo Lee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스키학교 직무착근도와 근무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착근도를 독립변수로, 자긍심,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근무의도를 종속변수7로 각각 구성 하였다. 연구대상은 스키학교 강사 258명 이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 20.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 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무착근도의 하위변인 중 적합성과 희생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긍심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긍심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직무만족은 근무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조직몰입은 근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work inten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job embeddedness, Mediating variables were self-esteem,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Finally, dependent variable was work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8 questionnaires who ski school lecturer. This study used IBM SPSS Ver 20.0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18.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 embeddednes of fit and sacrifi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Fifth,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work intention. Sixth, organization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 intention.

      • 스키학교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 근무의도와의 관계

        오현환(Oh Hyun-Hwan),변경원(Byeon Kyung-Wo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7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키학교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 근무의도와의 이론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키학교의 내부마케팅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고객지향성과 근무의도를 종속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조사대상과 방법은 강원도에 소재한 3곳의 스키리조트 스키학교 강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서 384부를 표집 하여, 연구에 적절하지 못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349부를 최종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WIN Ver.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AMOS 5.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의 3가지 하위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몰입은 근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of ski school and customer orientation, work inten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nternal marketing of ski school, Mediating variables we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Finally, dependent variable was customer orientation and work intention. As the method and the subjects, 349 questionnaires from ski school instructor in 3 ski resort located Kang-won were used without 35 questionnaires which was not pertinent for this study after being collected 384 questionnaire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order to treat data, after SPSSWIN Ver. 12.0 was utili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or inquiring closely into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AMOS 5.0 was utili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examination of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variables out of internal market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organization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Fourth, organization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 intention

      • KCI등재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과 구단 이미지, 구단 태도 및 구단 충성도와의 구조적인 관계: 순차적 통합방법설계

        문제민 ( Moon Je-min ),변경원 ( Byeon Kyung-w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7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는 프로야구 진정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2가지 연구주제를 가진다. [연구주제 1]의 목적은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과 전문가 회의를 통해 프로야구 구단 진정성의 속성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접 대상자는 목적표집을 통해 응원경력 3년 이상의 팬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문가회의는 스포츠경영학 교수와 질적연구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 속성은 `진실`, `소통`, `노력`, `관계`로 파악되었다. [연구주제2] 목적은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과 구단 이미지, 구단 태도, 구단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각 가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저관여와 고관여 팬 집단 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과 스노우볼 추출법을 이용하여 프로야구 팬 3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의 하위속성인 `진실`, `노력`, `관계`는 구단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소통`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의 하위속성인 `진실`, `노력`, `관계`는 구단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프로야구 구단의 진정성의 하위속성인 `소통`은 구단 충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단 이미지는 구단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구단 태도는 구단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관여도 집단 간 경로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을 통해 설정한 변인 간의 경로를 조사한 결과, 진정성의 하위속성인 `관계`→구단 이미지, 구단 이미지→구단 충성도, 구단 태도→구단 충성도 경로에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has two research themes for research on professional baseball authent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 1] was to analyze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To achieve objectiv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using the in-depth technique and experts` consultation which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and struc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 fans over three years of support experience through purposive sampling. Expert meetings consisted of sports management professo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authenticit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provided attributes were `veracity`, `communication`, `effort`,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2]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n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selection attribute, team image, team attitude and team loyalty.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relative effect regarding each hypothesis influence on changes between low involvement group and high involvement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9 professional baseball fan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Data analysis used for SEM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EM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of `veracity`, `effort`, and `relatio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image. But authenticity of `communication` had a non-influence team image. Second, authenticity of `veracity`, `effort`, and `relation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attitude. But authenticity of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eam attitude. Third, team ima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oyalty. Fourth, team attitud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oyalty.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established through the model on which path invariance constraints between involvement groups were placed, it was 3 path(authenticity of relationship→team image, team image→team loyalty, team attitude→team loyalty) found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 KCI등재

        스포츠경영학에서의 구조방정식모형 연구에 관한 문헌조사: 연구동향과 논점을 중심으로

        김용만 ( Yong Man Kim ),변경원 ( Kyung Won Byeon ),이정우 ( Jung Woo Lee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8 No.1

        구조방정식모형은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있는 연구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스포츠경영학 연구에서도 이러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잠재변수를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보다 명시적으로 모형화할 수 있으며, 복잡하게 구성된 변수들 간의 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SEM은 비교적 복잡한 통계기법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잘못 적용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다. 스포츠경영학 연구에서도 SEM 연구의 증가로 인해서 이러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SEM에 대한 오용사례를 밝힐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경영학 분야의 SEM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4호)까지 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62편의 SEM 논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활용에 대한 분석주제는 모형개발과 모형추정, 모형평가이다.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be useful in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and studie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a tendency to increase in sports management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able to make the hypothesis more explicitly by using latent variables, it can also estimate the complex relationship constructed between variables. However, the case that was mis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by researcher can be seen in academic journal because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s a relatively complex statistical methods that include a lot of statistical assumptions. Therefore, this study endeavor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problems appear when structure equation model is used in sports management study by literature review. Also, this study inte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future researcher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avoid the problem due to misuse. For the study, 162 studie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n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between 2003 and 2012(4) were analyzed to literature review. The issue of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is study are model specification, model estimation, and mode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