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학하는 실천 삼위일체적 평화통일신학의 적용 -북한이탈주민들과 한국사회와의 상호 이해와 포용을 중심으로

        백충현 ( Chunghyun Baik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49 No.-

        Though Korean division has caused a lot of pains and sufferings, peaceful reunification seems to be far away not only in politic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but also in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UNFPA estimates that the current population of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around 75,00 millions. If peaceful reunification would come, could there be a real reunification? A touchstone of this question is to examine how North Korean refugees settle down in South Korea, that is, what kind of relation and community they have with South Koreans. However, some current phenomena seem to give us a negative answer. For example, there are hardly found Korean Christians in a church consisting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North Korean refugees seem not to settle down within diocese or parish groups in South Korean churches. According to the 2014 research of Korean Hana Foundation, North Korean refugees` difficulties and sufferings are muti-dimensional, muti-faceted, and muti-layered. And these are even compounded and aggravated by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disregard, and exclusion. Thus North Korean refugees need warmer welcoming, hospitality, social embrace, economic consideration, cultural mutual understanding, and so on, which would help them overcome their own difficulties and sufferings more easily. This paper provides a theological vision of overcoming this social conundrum in terms of some insights from contemporary trinitarian theology. A trinitarian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grounded in the togetherness, openness, and mutual indwelling of the triune God, provides significant principles of relation/community and openness/embrace for human existence and society. There principles could enhance and foster a mutual understanding and embrace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refugees not only in churches but also in society, and would create considerable effects for overcoming the current issue.

      • KCI등재

        다(多)문화사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의 모색

        백충현 ( Chunghyun Baik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한 사회 안에서 외국인 거주자의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多文化社會, multi-cultural society)”라고 규정하는데, 한국은 2018년 말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이 약 234만 명으로 전체인구 중에서 4.5%를 넘어섰다. 지금까지의 가파른 증가폭을 고려하면 조만간 체류외국인 비율이 5%를 넘어서서 다문화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다(多)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와 한국인들의 인식은 매우 열악하다. 여성가족부가 수행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다(多)문화공존에 대한 찬성비율이 36%에 불과하여 유럽의 74%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그러기에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는 다(多)문화에 대한 인식을 크게 개선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먼저, 본 논문은 먼저 다(多)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와 관련된 여러 통계조사 자료들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에, 다(多)문화와 관련하여 성서적, 교회사적 등등의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신학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이 다(多)문화적이시며, 또한 이러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창조세계 전체가 다(多)문화적이다. 다(多)문화성 자체는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존재의 원리이며, 또한 세계의 가능성과 당위성이다. 그러기에 인간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인간론도 또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인간론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의 논의를 통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안에 다(多)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이 개방성, 관계성, 다양성, 보편성의 관점에서 확산될 것이며, 이것은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를 정신적으로 더 풍성하게 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의 오랜 적폐로 지적되어온 수직적 위계질서의 구조를 수평적 상호존중의 구조로 변화시켜줄 것이며, 이로 인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더 온전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A multicultural society refers to a society where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exceeds 5% of the whole population. At the end of 2018, Korea has around 2.34 million foreign residents, which was more than 4.5% of the entire population. Considering the steep increase until now, Korea would soon go beyond 5% in the number to be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an awareness about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people is very low.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n ‘Korean Acceptance of Multiculture,’ only 36% of the whole pop-ulation agree to multicultural coexistence, which is markedly low in comparison to 74% in Europe. Thus Korean society and church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multiculture greatly. Considering such a point, this paper tries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First, it examines several statistical survey data to grasp Korean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multiculture. Then, while examining biblical and church historical discussions on multiculture, it provides an outline of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y. Finally, it goes further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Trinity is a multicultural God, and the whole world created by the Triune God is itself multicultural. Multiculture itself is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 of the Triune God, and it is also a principl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n this regard, multiculture is both pos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world. Thus anthropology as an exploration of human identity should be also trinitarian and multicultural. This paper could contribute greatly to the spread of Korean awareness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openness, relation-ality, diversity, and universality, thereby enriching Korean society and church mentally. And it, in turn, could contribute much to solve deep-rooted problem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by trans-forming their vertical hierarchy into horizontal structure of mutual respect in order that they might manifest the aspects of the Kingdom of God more fully.

      • KCI등재

        폴 틸리히의 삼위일체 - 삼위일체적 체계구조 하에서 상징적 특성과 변증법적 특성 사이의 긴장

        백충현 ( Chunghyun Baik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본 논문은 삼위일체에 관한 폴 틸리히의 이해를 탐구한다. 삼위일체에 관한 그의 진술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삼위일체의 세 가지 특성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그의 신학 체계는 삼위일체적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모든 부분들이 하나의 역동적 일치 하에서 서로 밀접하게 및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둘째, 그는 삼위일체에 관하여 상징적 이해를 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는 삼위일체에 관하여 변증법적인 이해를 제시한다. 이러한 변증법적 이해는 신적인 삶의 변증법에 관한 그의 강조에 근거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특성들 각각을 “구조적 또는 방법론적 삼위일체” “상징적 삼위일체,” 그리고 “변증법적 삼위일체”로 명명한다. 삼위일체에 관한 폴 틸리히의 진술들을 분석하고 관찰함으로써 본 논문은 삼위일체에 대한 그의 이해가 하나의 긴장을 이루고 있음을 주장한다. 즉, 삼위일체적 체계구조 하에서 상징적 특성과 변증법적 특성 사이에서 하나의 긍정적인 긴장을 이루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삼위일체에 대한 그의 이해는 닫혀진 것이 아니라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폴 틸리히의 입장이 지닌 장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삼위일체에 대한 그의 상징적 이해 및 그의 변증법적 이해를 많은 논란들을 초래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Paul Tillich’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A careful analysis of Tillich’s statements has enabled us to point out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Trinity. First, his theological system is trinitar-ianly structured, where all the parts are closely and indirectly related with each other under a dynamic unity. Second, he has a symbolic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And the last is his understanding of dialectical Trinity, which is based on his emphasis on the dialectic of divine life. In this paper each of them can be expressed as “Structural or Methodological Trinity,” “Symbolic Trinity,” and “Dialectical Trinity.” Through this analysis and observ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illich’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s in a tension between its symbolic and dialectical characteristics under a trinitarian structure of system. Thus hi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can be considered not to be closed but to be open. However, despite some strengths of Paul Tillich’s position, his symbolic and dialectical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has some limits which occurred many deb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