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 유형 및 영향 요인 분석 - ‘전형’과 ‘특이’ 유형 간 차이를 중심으로 -

        백정이,박성석,김정자,민병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국어교육연구 Vol.39 No.-

        This study aims to di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 (OSLP) trends. It is based on a series of studies on OSLP o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particular, two articles (Chung et al, 2016; Min & Baik, 2016) that focused on students’ autonomous and voluntary literacy practices in various places other than in schools we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Chung et al. (2016)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OSLP of elementary students and found some predictors that influence the latent growth of OSLP. Min and Baik (2016) argued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the ‘prototypical’ type shows a downward tendency fit to the pattern of ordinary students, the ‘peculiar’ type shows an upward tendency, the ‘superior’ type stays high, and the ‘inferior’ type stays low.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four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proposed by Min and Baik (2016) were prov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groups were 36.9% for ‘superior,’ 28.1% for ‘prototypical,’ 21.2% for ‘peculiar,’ and 13.8% for ‘inferior.’ Second, the ‘prototypical’ and ‘peculiar’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ll the variables used as predictors in Chung et al. (2016)’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gap between the ‘prototypical’ and the ‘peculiar’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ight variables, among which are literacy attitudes, family members’ literacy practices, and frequency of library use. Moreover, the level of the ‘peculia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totypical’ group for all variables. The gap of aspects of change between the ‘prototypical’ group and the ‘peculiar’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individual students (literacy attitudes, time for media use, time for academic tasks), family (family members’ literacy practices,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about literacy practices), teachers (teacher instruction), and environment (numbers of books at the school library, frequency of library use), except for perceived difficulties in literacy practices. Third, four factors, including time for academic tasks,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about literacy practices, literacy attitudes, and teacher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d the effect size was big in this order.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외 공간에서 주체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문식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정혜승 외(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예측 요인들을 바탕으로 하여 민병곤‧백정이(2016)에 제시된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 추이의 네 가지 유형인 하향세의 ‘전형’, 상향세의 ‘특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우수’,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미흡’의 분포를 먼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에 변화를 보이는 ‘전형’과 ‘특이’ 유형의 집단을 대상으로 예측 요인별로 대비하여 집단 간 수준 차와 변화 양상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 학생 수는 ‘우수’ 36.9%, ‘전형’ 28.1%, ‘특이’ 21.2%, ‘미흡’ 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형’과 ‘특이’ 집단 간 수준 차는 문식 태도, 가족 문식 활동, 도서관 이용 빈도에서 유의하였으며, ‘특이’ 집단이 ‘전형’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형’과 ‘특이’ 집단 간 변화 양상 차이는 문식활동 어려움을 제외하고, 학생 개인 요인(문식 태도, 매체 이용 시간, 공부 시간), 가족 요인(가족 문식 활동, 가족 문식 대화), 교사 요인(교사 지도), 물리적 환경 요인(도서관 선호 장서 수, 도서관 이용 빈도)에서 유의하였다. ‘특이’ 집단과 ‘전형’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공부 시간, 가족 문식 대화, 문식 태도, 교사 지도의 순으로 4개 변인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실제성 제고를 위한 모의 수업 시연 설계 시론 - 예비 교사의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및 수업 실연 경험을 바탕으로

        백정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의 실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예비 교사가경험한 모의 수업 시연과 현장 수업으로 향하는 과정에 위치한 수업 실연에 대한 인식을 대비함으로써 경험 주체가 인식하는 수업의 실제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 학기에 모의 수업 시연과 수업 실연을 모두 경험한C교육대학교3학년 학생들이 두 경험 모두를 포함하여 작성한 성찰 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수업 실연과 대비되는 모의 수업 시연 과제는 대여섯 명이 한 모둠을 이루어 국어과5개 영역 가운데 하나를 중복되지 않게 선택한 뒤 동료 예비 교사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온전한 한 차시의 수업을 생략 없이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자기성찰지 분석에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국어과 수업 능력 범주가 코딩에 활용되어 각각에 대한 인식이 크게 ‘수업 설계 능력,수업 실행 능력,수업 개선 능력’의 세 범주에서 대비되었다.그 결과 이들 간 차이의 중심에 학습자와 수업 주체 간상호작용으로 인한 역동성이 있음을 확인하고,이를 중심으로 실제성이 점차 증가하도록 모의 수업 시연 과제를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수업 능력과 교육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보완적 수단으로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며,본 연구는 모의 수업 시연을체계화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정보화가 의사결정 신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통령 비서실을 중심으로

        백정미(白貞美) 한국국정관리학회 2007 현대사회와 행정 Vol.17 No.2

          The Informationalization has been brought the great changes to organizations. Especially it ha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time to make decisions. The effect of decision making rapidity differs according to the kind of informationalization system and work, and step of decision making.<BR>  To analyse the effect of ICT of Office of President about decision making rapidity, path model is used. The model is consisted of independent variable(ICT), intermediate variables(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behavior of ICT user, capability of ICT user), and dependent variable(rapidity of decision making). The rapidity of decision making is affected directly by ICT or indirectly by intermediate variable such as capability of ICT user. The total effect of the decision making are largest at the database in all kinds of works. And, the users" capability of using ICT among the intermediate variabl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의사결정 신속성은 성공적인 국정관리의 한 요소로, 본 연구는 대통령 비서실 정보화가 의사결정의 시간단축에 영향을 주었는지, 주었다면 어떠한 경로를 그리면서 주었는지, 그리고 의사결정 단계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BR>  분석결과 정보화수준이 높아질수록 의사결정 시간단축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정보화시스템의 종류, 그리고 업무의 종류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그리고 의사결정 유형에 있어서는 전략적 정책판단이 필요한 경우나 위기시 업무보다는 일반관리업무에서 의사결정 시간단축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 단계에 있어서도 문제인식단계에서의 시간단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대통령 비서실 정보화가 의사결정 신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화시스템 중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매개변수에서는 이용자의 능력과 태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술 대회 토론문의 관계 접근적 분석 - (한)국어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

        백정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4 No.-

        A discussion script at academic conference is a text which premise an oral discussion, and indicates what is shared by the academic community as a full and complete text published in a conference book. The formal discussion scripts has not yet become a subject of research, so not a few pre-scholars have difficulties to write down their scripts for discussion. A discussant/presenter identification and a sensitivity to interpersonal expressions can be anticipated as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 scripts, since knowledges or opinions are exchanged by professionals at academic conferences. Discussion scripts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97 published ones in 2013 by two representative associations. Texts are qualitatively analysed and quantified adopting mixed research method using Nvivo10. Findings are two in large: First, the components of discussion scripts which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the contents of discussion, and roles they play from the interpersonal point of view. Second, the way contents of discussion provided in an interpersonally-appropriate way. These can be helpful for students who go through difficulties in delivering their thoughts and ideas in a discussion, and want to join active and passionate discussion maintaining affirm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학술대회 토론문은 토론하는 것을 전제로 쓴 글로, 학술대회 자료집에 실려 학문 공동체가 그 자체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토론을 위한 초고와는 성격이 다르다. 학술대회의 토론자이자 토론문 필자는 자신을 토론문을 쓰는 사람, 토론하는 사람 등으로 인식하기도 하며, 발표자에 대하여 토론문을 읽는 사람, 토론문을 듣는 사람,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학술대회 토론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하여 지식이 교류되기 때문에 견해가 불합치할 경우 이를 조정하는 과정이 관계적 측면에서 보다 첨예하게 드러날 것이고 이것이 토론문에도 반영되어 있으리라는 점을 예상해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토론문은 학습자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 또는 말하기에서의 관계적 표현을 연구하는 데 좋은 바탕이 된다. 본 연구는 언어 사용에 민감하고 교육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국어 교육’ 영역으로 한정하여 국어교육학회 및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각 3차례의 학술대회 토론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삼아, Nvivo10을 활용한 혼합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격적인 토론 내용 외 토론문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관계적 측면에서 밝히고, 본격적인 토론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은 어떠한지 어휘, 표현 층위, 그리고 형식 및 내용 요소 층위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결과는 토론 시 토론 내용을 갖추었음에도 토론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상대방과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는 가운데 활발하게 토론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자기 노출 요구에 대한 반응 양상

        백정이,구영산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6

        <Abstract> Self-disclosure is a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through which individuals truthfully, sincerely and intentionally communicate novel, traditionally private information including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mselves to one or more individuals. People have personal and relationship-based motives for engaging in or refraining from self-disclosure. This study explores how people react when they are required to self-disclose but are unwilling to do so. The drama “Gaetmaeul Chachacha” was analyzed as a source. Scenes for analysis were self-disclosure situations including follow-up questions and reactions, considering both verbal and nonverbal cues of hesitation. Consequently, instances of self-disclosure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ccepting provided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providing minimized information, providing reduced information, telling a white lie, and providing factual information), not providing information (closing the conversation, pretending to be indifferent, claiming incompetence, denying directly and indirectly), joint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elaying providing information. Since self-disclosure relies strongly on relationships and mutual relationship perceptions may differ, interest in active self-disclosure should be constructively expanded to manage various self-disclosure aspects through self-disclosure decision-making. .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촉진자로서의 교사 개념 및 수업 실천에 대한 인식

        백정이,김승현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5

        While there is ample literature on the principles and case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little is known on what teachers do in classes as “facilitators”. This study surveyed 74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ir own classes and the concept of a facilitator.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classes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teacher-centered classes to student-centered classes. Their learner-centeredness was implemented at various levels from lesson flow 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local major characteristics. They were expected to have difficulty because of incomplete conceptual recognition, and confusion regarding the teacher’s act of “leading/eliciting” as being teacher-centered or student-centered. Their characteristics as facilitators fell under six categorie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participate”, “interact”, “think”, “lead”, “create relationships and atmosphere”, and “connect.”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actice through the elaborating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the facilitator, self-regulation of instructional practice through the hierarchization of facilitator types, and establishment of four areas of facilitator education.

      • KCI등재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초등학교 및 중학교를 중심으로-

        백정이,김지영,상경아,박준홍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in the school field. As a result, the lack of content authenticity, students level difference, and the lack of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responded to as causes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Discussion/debate learning methods and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were mainly used, separat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not us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available programs. The negative responses that the use of textbooks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es was insufficient, and the positive responses on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by level were high. As a way to utilize the communication program, it had high responses using it as a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 out of regular class hours or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the 6 to 10 lessons was the most prefer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fou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