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백은주 남민우 이해듬 순천향대학교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중단 예측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하위문항을 구성하였고, 도구의 타당화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학업중단 예측도구를 지방대학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는 가정환경ㆍ경제수준(4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3문항) 전공의 적성 및 진로 부합도(5문항), 교수와의 상호작용(3문항), 전공의 취업전망도(3문항), 대학생활 적응도(5문항), 대학만족도(3문항)로 총 7개 요인, 26개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최종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는 본 학업중단 예측도구가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백은주,남민우,이해듬,Baik. Eun-Joo,Nam. Min-Woo,Lee. Hae-Deu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중단 예측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하위문항을 구성하였고, 도구의 타당화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학업중단 예측도구를 지방대학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신입생 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는 가정환경ㆍ경제수준(4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3문항),전공의 적성 및 진로 부합도(5문항), 교수와의 상호작용(3문항), 전공의 취업전망 도(3문항), 대학생활 적응도(5문항), 대학만족도(3문항)로 총 7개 요인, 26개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최종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는 본 학업중단 예측도구가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ausing factors of academic dropouts, construct various factors and sub-questions for a customized tool for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n lastly, systamatically verify the tool’s validity. The academic dropout prediction tool which was constructed by looking into previous studies and going through expert’s content validity test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627 local university freshmen.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26 questions composed of 7 factors: home environment/economic standard(4 items), academic self-efficacy(3 items), major fitness/career relation(5 item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3 items), their current major’s possibility of employment(3 item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5 items), university satisfaction (3 items). For the varification of the final criterion, the internal consistancy was calculated, a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The overal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tool was congruent and valid when measuring the factors that causes local university freshmens’ dropping out of their academic studies.

      • KCI등재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남민우(Nam, Min-Woo),이해듬(Lee, Hae-Deum),백은주(Baik, Eun-Joo)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4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변인으로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를 설정하였고, 가정생활ㆍ경제수준, 학 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 전공의 취업전망도를 외생변인으로 하는 연구 모델을 설정하였다. 지방소재 대학의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모델에 포함된 요인들의 상관 관계 매트릭스를 LISREL에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델의 전반적 적합도 검증 결과는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등으로 분석되어 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해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만족도에는 전공 적성 및 진로 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대학생활 적응도에는 대학 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모델의 변인 간 직접ㆍ간접효과와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도, 전공 적성 및 진로부합도, 교수와의 상호작용성이 학업중단의 영향요인 간 관계에서 핵심변인으로분석되었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A sample of 627 university freshm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goodness-of-fit test results (RMSEA=.058, RMR=.048, GFI=.894, AGFI=.868, CFI=.927, IFI=.927, CN=244.91), the model turned out to be good enough to conduct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cademic self-efficac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dropout intention. In terms of direct effect result,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The study result also confirmed that university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inally, university satisfaction,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major fitness/career rel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identified as key variable through their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dropout intention of local university fresh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