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막암종에서 cyclin E, CDK2, p27 발현에 관한 임상병리학적 연관성

        백윤지 ( Yun Ji Baek ),정혜인 ( Hye In Chong ),장호진 ( Ho Jin Jang ),서동수 ( Dong Soo Suh ),윤만수 ( Man Soo Yoon ),최경운 ( Kyung U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내막암종에서 cyclin E, CDK2, p27 발현 양상을 관찰하여 자궁내막암종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1998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자궁내막암종으로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71예를 분석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여 cyclin E, CDK2, p27 발현 양상을 살펴 보았다. 결과: 71예의 자궁내막암종 중에서 cyclin E, CDK2의 양성 발현은 각각 28예 (39.4%), 29예 (40.8%)에서 보였다. cyclin E 발현은 종양 세포의 림프절 전이 (P=0.033),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 (P=0.003)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CDK2 발현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 (P=0.000)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p27은 42예 (59.2%)에서 음성이었는데, 다른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cyclin E 발현과 p27 소실을 보인 군에서는 진행된 병기 (P=0.002), 림프혈관침범성 (P=0.030), 림프절 전이 (P=0.002)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Cyclin E 발현과 p27의 소실은 자궁내막암종의 나쁜 예후를 시사하는 인자로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al relevance for the expression of cyclin E, CDK2 and p27 in endometrial carcinoma. Methods: With a retrospective review, slide samples (n=71) were analyzed. All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hysterectomy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6. The expression of cyclin E, CDK2 and p27 were analyz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Of 71 cases, the positive expression was cyclin E; 28 cases (39.4%), CDK2; 29 cases (40.8%). The expression of cyclin 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ymph node metastasis (P=0.033) and estrogen receptor. The expression of CDK2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strogen receptor (P=0.000). The negative expression of p27 was 42 cases (59.2%) and showed no correlation with other clinicopathological factors. Cyclin E overexpression with loss of p27 exp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vanced stage (P=0.002), lymphovascular invasion (P=0.030)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02). Conclusion: Cyclin E overexpression with loss of p27 expression could be an useful negative prognostic factors for endometrial carcinoma.

      • KCI등재

        신생아에서 수질자궁증과 수신증의 원인이 된 처녀막 폐쇄증

        백윤지 ( Yun Ji Baek ),김정태 ( Jeong Tae Kim ),장성규 ( Sung Kyoo Jang ),최욱환 ( Ook Hwa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Imperforate hymen is a common congenital malformation, but usually remains asymptomatic and not detected until menarche. Neonatal hydrometrocolpos caused by imperforate hymen is reported to be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hydrometrocolpos in newborn presenting with pelvic mass and bulging membrane in vaginal introitus causing both hydronephrosis which is treated surgically with good result.

      • KCI등재

        자궁내막암에서 E2F-1 및 Ki-67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연관성

        정혜인 ( Hye In Chong ),백윤지 ( Yun Ji Baek ),장호진 ( Ho Jin Jang ),서동수 ( Dong Soo Suh ),윤만수 ( Man Soo Yoon ),최경운 ( Kyung U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저자들은 자궁내막암 조직에서 E2F-1과 Ki-67의 발현이 임상병리학적인 예후인자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서 이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 71예의 자궁내막암 조직과 21예의 정상 자궁내막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E2F-1과 Ki-67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과: 71예의 자궁내막암 조직에서 E2F-1에 발현을 보이는 경우가 38예 (53.5%)로 정상 자궁내막조직에 비하여 E2F-1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E2F-1과 자궁근층 침범 (P=0.001), 림프혈관 침윤(P=0.000)과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Ki-67 지수는 자궁내막암조직과 정상 자궁내막조직에서 각각 30.56±25.67, 9.38±8.35이었다(P=0.001). Ki-67은 종양의 크기 증가(P=0.046, γ=0.238)와 림프절 전이(P=0.001, γ=0.396), 자궁경부 침윤(P=0.000, γ=0.404), 림프 혈관 침윤(P=0.000, γ=0.597)과 양성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E2F-1과 Ki-67의 발현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0, γ=0.734). 결론: E2F-1과 Ki-67의 발현이 종양세포의 증식과 침윤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를 토대로 자궁내막암의 예후에 기여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E2F-1 and Ki-67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Methods: Retrospectively, endometrial cancer slide samples (n=71) were analyzed. E2F-1 and Ki-67 were evaluat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as a control (n=21),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by hysterectomy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Results: Of 71 cases, the positive E2F-1 expression was 53.5% (38/71) in endometrial cancer. The expression of E2F-1 showed a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with myometrial invasion (P=0.001) and lymphovascular invasion (P=0.000). The Ki-67 labeling index was 30.56±25.67 in endometrial cancer and 9.38±8.35 in normal endometrial tissues (P=0.001). The Ki-67 labeling index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creased tumor size (P=0.046, γ=0.238),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P=0.001, γ=0.396), cervical invasion (P=0.000, γ=0.404) and lymphovascular tumor invasion (P=0.000, γ=0.597).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2F-1 and Ki-67 expression (P=0.000, γ=0.734). Conclusion: The Ki-67 expression seems to be related with tumor invasiveness and growth in endometrial cancer and shows a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with E2F-1. The E2F-1 expression seems to be not related as a direct prognostic factor but related with tumor invasiveness and growth in endometrial cancer.

      • KCI등재

        자궁선근증을 동반한 여성에서 과배란 유도 후 발생한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주종길 ( Jong Kil Joo ),조덕현 ( Dyeok Hyeon Jo ),백윤지 ( Yun Ji Baek ),최종열 ( Jong Ryeol Choi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is usually developed after infection, metastatic cancer or complicated pregnancy. We experienced a case of infertile woman with adenomyosis, who had not been predisposed any common risk factors but had acute DIC during menstruation afte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The patient received anticoagulation therapy with supplementation of coagulation factors, followed by surgical removal of uterus 3 months later. We assumed that DIC resulted from rapidly aggravated lesion dur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and massive intramuscular hemorrhage during menstruation. So, we report the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