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혼 남녀의 성인 애착과 관계 만족: 주는 감사와 받는 감사의 매개효과
백상은,설경옥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o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insecuriti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 sample of 248 young adult heterosexual couples. Also, we investigated how appreciative and appreciated mediated based o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First, men’s anxious attachment and women’s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women’s appreciative, and women’s anxious attachment and men’s satisfaction were fully mediated by men’s appreciative. The link between ow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one’s appreciative. Second, men’s anxious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ere fully mediated by men’s own appreciated, and women’s anxious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women’s own appreciated. The link between ow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one’s appreciated. Lastly, own appreciate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partner’s avoidant attachment and own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성교제중인 248쌍을 대상으로 성인 초기 미혼 남녀의 불안 및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이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주는 감사’와 상대방의 감사를 느끼는 ‘받는 감사’ 각각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연인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을 적용하여 감사가 성인 애착과 관계 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했다. 주는 감사 최종 모형 검증 결과, 상대방의 불안 애착과 자신의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의 주는 감사가 남성은 완전 매개 그리고 여성은 부분 매개했다. 남녀 모두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의 주는 감사가 부분 매개했다. 받는 감사 최종 모형 검증 결과, 자신의 불안 애착과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의 받는 감사가 남성은 완전 매개 그리고 여성은 부분 매개했다. 남녀 모두 자신의 회피 애착과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의 받는 감사가 부분 매개했다. 또한, 남녀 모두 상대방의 회피 애착과 자신의 관계 만족의 관계를 자신의 받는 감사가 완전 매개했다. 연구 결과의 의의 및 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했다.
백상은,송진아,백진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1
Beginning with Jong-Ro and Chunggechun in 2003, the city of Seoul has been continuously progressing projects for improvements to city landscapes. In Myung-dong, the center of shopping and culture, a sign remodeling project was executed from September 2008 to improve the disorganized signs on the main streets. The precedent study which was carried out for the signboards in the Myeong-dong street before the project was launched, indicated that the signboards were too big for the buildings, provocative in coloring, extremely numerous and complicated in their locations. Based on survey result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visual factors of the signs, a guideline suited to the regional and individual store specialties was suggested targeting interior visual design factors of outdoor signs (form, size, color, lettering, formative image, lighting, layout) and exterior visual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 and the surrounding area). A total of 88 establishments participated until the February 2009 completion period. In this research, 25 store owners and 121 pedestrians were surveyed for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degrees: Their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mprove the aesthetic refreshment of street spaces and the conveyance of effective information to pedestrians and to find 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regarding signs which were improved to be more suitable to the local area related to store sales for establishment owners targeting the Myeong-dong area where the sign remodeling project is currently partly completed. 서울시는 2003년 종로와 청계천을 시작으로 도시 미관을 개선을 위한 사업이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 쇼핑과 문화의 중심지인 명동의 경우 중심가로의 난립한 간판을 개선하기 위해 2008년 9월부터 간판개선사업이 시행되었다. 간판개선사업의 시행에 앞서 명동로 지역 간판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간판이 건물에 비해 크고, 색채가 지나치게 자극적이며, 개수 또한 많고 부착위치가 복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판의 시각요소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옥외간판의 내부적 시각 디자인 요소(형태, 크기, 색채, 문자, 조형 이미지, 조명, 레이아웃)와 외부적 시각요소(간판이 부착되는 환경과 간판의 관계)의 개선이 요구되는 간판을 대상으로 지역특성, 업소특성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으며, 2009년 2월 완료시점까지 총 88개 업소가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간판개선 사업이 부분적으로 완료된 명동 지역을 대상으로 보행자에게 가로공간의 미적 쾌적함과 효과적인 정보를 전달을 도와주고, 업주에게는 지역의 특성에 맞게 개선한 간판이 업체의 매출과 관련하여 개선 간판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업주 25명, 보행자 121명을 대상으로 선호도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인애착과 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의 매개효과와 교제기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상은,설경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5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length in the link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 hypothesiz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and this mediating effect would be moderated by relationship length.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e analyzed 274 heterosexual dating couple data. We found that woman’s attachment anxiety predicted her own and her partner’s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through her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Man’s attachment anxiety predicted his partner’s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through her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Furthermore, man’s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in the link between own attachment anxiety and own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relationship length. T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 expression was stronger as he stayed longer in his relationship. This study found that adult attachment as a trait and relationship schema can explain couple’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al expression, and how relationship length moderated this mediating effect. 이 연구는 연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관계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의 매개효과와 교제기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을 매개로 관계만족을 부적으로 예측하고 교제기간이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의 매개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성교제 중인 미혼 커플 274쌍의 설문 자료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으로 분석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여성의 애착불안은 자신의 높은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을 통해 자신과 남성의 낮은 관계만족을 예측했고, 남성의 애착불안은 여성의 높은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을 통해 여성의 낮은 관계만족을 예측했다. 교제기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교제기간은 남성의 애착불안과 관계만족 사이 남성의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제기간이 길 때 애착불안과 관계만족 사이 부적인 관계에서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개인의 성격 특성이자 관계 도식인 성인애착이 관계 내 부정적 갈등대처행동인 부정 정서 및 행동 표출을 통해 관계만족을 설명하고 교제기간에 따라 매개효과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백상화(S. H. Baek),이아윤(A. Lee),이우성(W. Lee),최계숙(K. Choi),우병환(B. Woo)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충남 태안에 소재하는 국방과학연구소 안흥시험장은 매년 평균 000 건의 유도무기 및 총포탄약 사격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약 80%는 해상을 탄착지로 하고 있다. 사격시험 수행 시 안흥시험장 보유 해상시험통제선박으로 미사일이나 탄이 탄착하는 위험구역에서 조업 중이거나 이동하는 선박을 안전한 곳으로 소개 및 유도하게 된다. 소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해소하고, 조업하는 어민들의 원활한 어로활동과 안전을 보장하고, 안흥시험장의 시험 및 안전통제 효율을 높이고자 2019 년부터 해상사격장 내의 월별 시험일수, 선박통제 횟수, 통제시간, 통제면적, 통제조업 선박수 등의 해상통제 통계량을 DB 하고 있다. 2019 년 통계량과의 비교를 통해 2020 년 해상통제 통계량의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2020 년 해상으로 사격한 시험일수는 128 일이 였으며, 조업 중인 선박의 통제횟수는 260 회였다. 일평균 약 2 회의 해상안전통제를 실시하였고, 매월 약 10 일 정도 해상으로 사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일수와 안전통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산점도를 분석한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시험일수 증가 시 안전통제 횟수가 비례해서 증가함을 의미한다. 안흥시험장은 여러 방안을 통해 해상으로 사격하는 시험일수를 줄이는 계획을 갖고 있다. 안전통제가 9 월과 10 월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평균 통제시간은 3.84 시간으로 2019 년 4.26 시간보다 10% 감소했다. 통제시간이 9 월, 10 월, 11 월이 다른 달보다 길었다. 일평균 통제면적은 60.84 ㎢ 로 2019 년 63.29 ㎢ 보다 4% 감소했다. 통제평균면적은 봄, 여름, 가을이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일평균 통제 선박수는 4.8 척으로 2019년 5.5 척보다 약 13% 감소했다. 통제선박수가 적다는 것은 위험구역 내에 조업선박수가 적다는 것으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요인들이 있다. 결론적으로 2019 년에 비해 2020 년에는 조업 선박에 대한 통제시간, 통제면적, 통제선박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시험일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에 기안할 수도 있으나 안전통제부서가 평소 지역주민들과 상호 상생의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사격시험 전 정확한 시험계획을 주민들에게 적시에 공지하고, 시험체계부서에서 조업이 많은 오전보다 오후에 사격시험을 실시하고, 위험구역을 안전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 및 최적화하고, 시험계획부서는 여름과 가을에 계획된 시험들을 봄, 겨울로 분산 배치하는 등 2020 년 시험계획 수립 시 안전통제부서의 협조를 받아 2019 년 해상통제 통계량의 분석자료를 반영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조업선박이 많이 출몰하는 해상구역을 회피하여 사격을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조업선박에 대한 통제횟수를 줄인 것도 한몫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안흥시험장의 사격시험 및 안전통제 효율의 증대, 지역 어민들의 어로 활동 보장, 조업선박에 대한 안전을 증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해상 통제 통계량을 DB 및 분석하고 다중 모집단(연도별 해상통제 통계량)의 비교상관분석을 통해 해상 통제 통계량의 수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sea control statistics of the fishing boats of Anheung Proving Ground in 2020. The sea control statistics are the number of tests per year and the numbers of controlled fishing boats, the required times of controlling fishing boats, the controlled area size and the numbers of controlled boats. The number of test per year is 128 days. The average time to control the fishing boats is about 1.89 hours. The size of controlled sea area is 60.84 ㎢ per a day. The number of controlled fishing boats per a day is 4.8. Many tests were focused on fall season. The Tests for the weapon systems using the marine firing rang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re more efficient and sa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