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가야고분 조사 자료 공개사업의 성과와 활용

        배효원 ( Bae Hyowon ) 국립중앙박물관 2022 고고학지 Vol.28 No.0

        일제강점기 가야고분은 신공황후 삼한정벌 기사나 임나일본부 기사를 근거로 고대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주장하는 ‘남선경영론’이나 ‘임나일본부’의 실체를 고증하기 위해 일본인에 의해 주도적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창녕·함안·고령 등의 왕릉급 고분이 다수 조사되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의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사업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자료 공개만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지만 나아가 이를 재검토하고 재평가하여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한 고고학적 활동이 한국고고학의 범주로 평가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구해야 할 것이다. 이는 연구자 개개인의 역할이며 이러한 성과들이 모여 한국고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일제강점기 자료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 또한 우리 세대의 몫이며 남겨진 과제이다. The Gaya tomb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excavated to prove the “Theory of South Joseon Management”(南鮮經營論) and “Theory of Imna-ilbonbu”(任那日本府說), which argued historical text called Records of the Nihon shoki(日本書紀). For this reason, several royal tombs such as Changnyeong(Ch’angnyŏng), Haman, and Goryeong(Goryŏng), were excavated, and The Gaya tomb was released to the public through the information disclosure projec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l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disclosure of the data is meaningful, and the next step with this disclosure should be reviewing and re-evaluating if archaeologica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ould be evaluated as a category of Korean archaeology. This is up to each researcher's ability, and these achievements will open a new horizon for Korean archaeology. Furthermore, it is our generation's responsibility to explore ways to utilize data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