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의 비교육의 교육

        배헌국 ( Bae Heon-gu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2

        노자사상은 의도성, 목적성, 계획성, 위계성 등으로 규정되는 전통적 교육, 특히 신유교의 교육방식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고 할 수 있는 갖가지 폐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제시해줄 수 있는 교육적 가치와 방법을 제공해준다. 노자의 자연은 스스로, 저절로 그러한 자기실현적, 자기충족적, 자기순환적 원리이며, 우주자연은 이런 원리에 따라 개체와 전체가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유기적 통일체이다. 노자의 도는 자연의 이법 그 자체이거나 자연의 이치를 속성으로 하는 형이상의 궁극자이다. 따라서 자연의 한 부분인 인간도 자연의 이치를 체현해낼 때 자신의 본성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이 도의 속성을 체인해내는 것이다. 그리고 추상적인 道의 가치가 인간사회의 현실적 맥락에서 인격화되어 발현되는 것이 德이다. 따라서 道, 德의 실현 및 본성의 구현을 교육의 목표로 설정할 경우 개체 인간은 단지 전체 자연의 이치를 따르도록 기대될 뿐이다. 자연의 근본 이치는 `無爲自然`과 `反者道之動`이다. `무위자연`의 이치가 교육적 맥락으로 현실화되면 無爲之治, 不言之敎, 上善若水의 교육이 된다. 즉, 신유가적 교육의 반대 개념인 비의도성, 무목적성, 무계획성, 무단계성, 비위계성, (교사의) 비주도성의 교육이 된다. 그러나 이런 교육방식은 단순히 `하지 않음(無)`과 `비움`의 교육이 아니다. `반자도지동`의 이치에 따라 `하지 않음이 없는(無不爲)` `채움`의 교육결과를 낳는다. 사회적 분별인식과 교사의 주관적 고집에 의해 인위적으로 설정된 목적과 계획에 따른 위계적 교육 방식을 버리자 학생 각자가 주체성과 자발성을 발휘하여 자신의 고유한 소질과 특성을 스스로 계발해나가면서 자연적 발달 단계에 따라 타고난 본성을 구현해나가는 총체적 교육과정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無爲와 有爲가 관통하는 교육, 비교육의 교육이 실현되는 것이다. Defined by `non-doing` and `the reversing movement of Tao`, Laozi`s thought provides educational values and ways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particularly based upon Neo-Confucianism, with the possibility of a new pedagogical paradigm. Laozi`s `Tao` follows the law of nature: `being so for itself and in itself`, which implies self-realizing, self-sufficient, self-recurring principle of nature. Accordingly human beings as part of universal nature come to realize their human nature by embodying the laws of nature, which means the internalization of Tao; and Tao becomes personified into `Te(virtue)` in real life contexts. To realize Tao and Te in the educational vein, therefore, each individual is just expected to observe the laws of nature,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education of non-intentionality, non-purposefulness, no planning, no hierarchy, etc. In so doing, the holistic education is attained in which each one can exercise one`s spontaneity and independent subjectivity to develop one`s own unique aptitude and characteristics, realizing one`s inborn human nature. That is, the education of non-education is achieved, which is to interpenetrate non-doing and do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