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직원들의 기술다양성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배준영,배준영 한국국제경영학회 2018 국제경영연구 Vol.29 No.1
Drawing upon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and competing values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variety and job stress of the employees in foreign-owned firms.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we hypothesized that skill variet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job stress of the employee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clan culture negatively and the market culture positively moder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kill variety and job stress. Data on skill variety and job stress were provided by 1,989 employees in 68 foreign-owned firms. Skill variety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job stress. Moreover, clan culture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 variety and job stress,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market culture was not significant. This paper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직무 특성 모델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직무 특성 가운데 하나인 기술다양성이 외국인 투자기업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직무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기술다양성이 증가할수록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고 주장하였으나, 본 연구는 기술다양성이 근로자의직무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경쟁 가치 모델에서 제시한 네 가지 조직문화가운데 관계지향 문화는 기술다양성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정(+)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과업지향문화는 기술다양성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68개 외국인 투자기업에 재직 중인 1,989명의 근로자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상의 가설을 검정한결과, 기술다양성은 직무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지향 문화의 조절효과는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지향 문화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24개 로컬기업에 재직 중인 2,673명의 근로자 자료를 활용하여 외국인 투자기업과의 가설 검정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기술다양성과 직무 스트레스 간에 비선형 관계(U형 관계)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배준영,BAE, Jun-Yo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6
It was carried out a review of operating limit analysis for small high-speed boat by author. In general, a review of ship's seakeeping performance is performed in the step of ship design, bu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state of completion of boat. Motion performance of Pitch, Vertical and Lateral acceleration and Slamming were satisfied in some encounter angle but deck wetness was not satisfied in all it does the analysis. As a result, sea state rather than the speed and encounter angle of vessel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seakeeping performance of target vessel. It seems to be due to the size of the target ship.
The Comparison of Various Turbulence Models of the Flow around a Wall Mounted Square Cylinder
배준영,송지수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4
The flow past a wall mounted square cylinder, a typical and basic shape of building, bridge or offshore structure, was simulated using URANS computation through adoption of three turbulence models, namely, the k-ε model, k-ω model, and the v2-f model. It is well known that this flow is naturally unstable due to the Karman vortex shedding and exhibits a complex flow structure in the wake region. The mean flow field including velocity profiles and the dominant frequency of flow oscillation that was from the simulations discussed earlier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observed by Wang et al. (2004; 2006). Based on these comparisons it was found that the v2-f model is most accurate for the URANS simulation; moreover, the k-ω model is also acceptable. However, the k-ε model was found to be unsuitable in this case. Therefore, v2-f model is proved to be an excellent choice for the analysis of flow with massive separ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future by studies aiming to control the flow separation.
정유사 탈황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길이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배준영,장영일,김정환,이병재,김윤용,박승범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추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3 No.-
현재까지 건설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재료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이다. 그러나 최근 OPC의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건설비용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OPC 생산으로부터 발생되는 CO2는 대표적인 환경부하물질로써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 영향들로 인하여 새로운 건설재료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무시멘트 결합재(Cementless Binder)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무시멘트 결합재는 OPC를 사용한 모르타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수축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종 산업부산물을 기반으로 제조된 무시멘트 결합재의 수축특성을 개선하는 방편의 일환으로, 정유사 탈황석고를 혼입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기반으로 정유사 부산물인 탈황석고의 첨가에 따른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수축특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검토를 위하여 결합재와 주문진 표준사를 1:2.45, W/B=47%로 설정하고 정유사 부산물인 탈황석고를 0, 4, 6, 8, 12%로 각각 혼입하여 길이변화 시험용 공시체를 각각 제작하였다. 정유사 탈황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길이변화 측정 결과, 탈황석고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의 팽창량이 증가하므로 후기 재령에서의 최종 수축량이 감소하는 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정유사 탈황석고의 구성 광물인 생석회가 수화반응을 통하여 소석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C3A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반응생성물이 많아져 초기 팽창이 크게 발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적정량의 정유사 탈황석고를 혼입하면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길이변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배준영,김유경,강현지,권혜영,심성신 대한영상의학회 202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1 No.5
Pleural masses may be caused by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benign and malignant neoplasms and non-neoplastic tumorlike conditions. Primary pleural neoplasms include solitary fibrous tumor, malignant mesothelioma, and primary pleural non-Hodgkin’s lymphoma. Metastatic disease is the most common neoplasm of the pleura and may uncommonly occur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including lymphoma, leukemia, and multiple myeloma. Pleural effusion is usually associated with pleural malignancy. Rarely, pleural malignancy may arise from chronic empyema, and the most common cell type is non-Hodgkin’s lymphoma (pyothorax-associated lymphoma). Non-neoplastic pleural masses may be observed in several benign conditions, including tuberculosis, pleural plaques caused by asbestos exposure, and pleural loose body. Herein, we present a review of benign and malignant pleural neoplasms and tumorlike conditions with illustrations of their computed tomographic images.
제도적 거리가 한국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소유지분 결정에 미치는 영향: 전문경영인의 관점에서
배준영,이강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2 專門經營人硏究 Vol.15 No.1
“거리”의 영향력은 국제경영 전략의 국가 간 차이를 설명하려는 학자들의 주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경영 분야의 과거 연구들은 홉스테드의 연구을 바탕으로 심리적 거리와 문화적 거리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본 연구는 본국과 현지국 간의 제도적 차이가 한국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소유지분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제도적 관점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거리를 규범적 거리와 규정적 거리로 구분하여 규범적 거리와 규정적 거리가 해외자회사의 소유지분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본국과 현지국 간의 규범적 거리와 규정적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단독투자 보다는 합작투자를 선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35개국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254개의 해외자회사들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이상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