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개 지역사회 주민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 실태조사

        배정이(Bae, Jeongyee),김윤정(Kim, Yoonjung)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5 계명간호과학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ity ‘d’ residents' status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ethod: In this study, 1,100 residents living in city ‘d’ were included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ver two-weeks beginning June 30, 2014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 WIN 20.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90.5% of the city ‘d’ residents have appealed that they are stressed in everyday life. 22.8%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main factor of stress is economic difficulties. 10.5% of participants responded to felt depressive mood, 73.0% out of these participants have showed no experience with the medical treatment. 32.3% of participants were at high risk for depression, 5.8% of the participants had felt suicidal impulse and the rate of suicidal attempt was 7.8%. Conclusion: For the mental health promotion of local residents, the community should establish measures to reduce the stress considering the gender, age or lifestyle of the residents. The adopt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is quite important to reduce depression and prevent future suicidal attempts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 우울의 인과적 구조분석

        배정이(Jeongyee Bae),김윤정(Yoonjung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우울의 예방과 조기발견 및 중재법의 개발에 지침이 되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는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개인적 특성과 가족요인 및 학교요인으로 나누고, 개인적 특성 요인으로는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을, 가족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그리고 학교요인으로는 친구의 지지 및 교사의 지지를 포함시켜서 이 개념들과 우울과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청소년들의 우울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우울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정서,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총체적인 접근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would further explain the depression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established a path model of depress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One thousand nine hundreds ninety-six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visit-survey with an organized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by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to depression while both family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school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family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are essential to solve the problems of depression. Especially friend"s support, school adjustment should help improve the self-concept and solve depression.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are available for schools to employ in an effort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demonstrate depression. Finally, it is necessary for family, school and all the society members to comprehensively cooperate to solve the problem of depression. (Korean J Str Res 2009;17:295∼305)

      • KCI등재후보

        미국 이민자의 스트레스 구조 모형

        배정이(Jeongyee Bae),김윤정(Yoonjung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민 한국인의 스트레스 관련요인을 밝히고 구조 모형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330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 6개 항목으로 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이민만족도, 영어구사능력 및 삶의 질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였고, 신체적 건강상태, 가족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들 연구를 토대로 재미 한인 이민자들의 문화충격에 의한 신체적ㆍ심리적 스트레스 완화와 제도 수립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will further explain the stress of Korean immigrants living in America. Survey visi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with 330 people in America. A total of 6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model.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both SPSS 17.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MOS 5.0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ased on the constructed model, immigration satisfaction, English expression level,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in influencing stress. In addition, other factors such as health status, family cohesion,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 stress. The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Chi-square=22.12 (p<.001), χ<SUP>2</SUP>/df=2.45, GFI=.98, AGFI=.94, NFI=.94, PNFI=.40, PGFI=.32, RMSEA=.07 and exhibited fit indices.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that addresses the factors related to Korean-American immigrants stress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n appropriate prevention strategy to further improve immigrants stress. (Korean J Str Res 2009;17:407∼414)

      • KCI등재후보

        캐나다 이민자의 정신건강 실태

        배정이(Jeongyee Bae),박영숙(Youngsuk Park),윤숙희(Sookhee Yoon),김윤정(Yoonjung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인 캐나다에서 한국인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실태를 파악하여 이민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38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 정신건강실태를 측정할 수 있는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중 일반적인 성인의 정신건강 상태 측정에 적합한 신체화 12문항, 우울 13문항, 불안 10문항, 적대감 6문항, 예민성 9문항을 이용하였다. 신체화 점수는 최저 0점, 최고 32점, 평균 7.54±6.04, 우울 점수는 최저 0점, 최고 38점, 평균 9.07±6.86, 불안 점수는 최저 0점, 최고 28점, 평균 5.10±5.23, 적대감 점수는 최저 0점, 최고 22점, 평균 2.89±3.05, 그리고 예민성 점수는 최저 0점, 최고 30점, 평균 5.83±4.66이었다. 신체화, 우울, 불안, 적대감 및 예민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Pearson"s Correlation)한 결과, 5가지 변수 모두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상자들의 정신건강 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직업, 이민 만족도, 신체적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신체화, 우울, 불안, 적대감 및 예민성의 평균 점수는 정상 범위 이내에 분포되어 있어 캐나다 이민자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우리나라 성인보다 양호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상대적으로 정신건강 상태가 취약한 대상자인 여자와 직업이 없거나 판매ㆍ서비스직에 종사하는 군, 이민에 대해 거의 만족하지 못하거나 그저 그렇다로 응답한 군, 신체적 건강상태가 나쁘거나 아주 나쁘다고 응답한 대상자 및 정신건강상태에서 고위험군이거나 임상적으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범주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중재활동을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basic data for Korean immigrants" mental health status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Sensitivity) in Canada. A descrip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report Korean immigrants" mental health state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Three hundred eighty six Korean immigrants" in Canada were analyzed by visit-survey with an organized questionnaire. SCL-90-R for measurement of mental health was used.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17.0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Somatization was 7.54±6.04 ranged 0 to 32, depression was 9.07±6.86 ranged 0 to 38, anxiety was 28±5.10 ranged 0 to 28, hostility was 2.89±3.05 ranged 0 to 22, and sensitivity was 5.83±4.66 ranged 0 to 30. This study shows that a number of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mmigrants in Canada affect levels of mental health states, the most noticeable of these factors being sex, job, immigration satisfaction and heath state. (Korean J Str Res 2010;18:191∼1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