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This study aims to take a view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based onthe history of urban Hanok area in Ikseon-dong considering it’s problem. Ikseon-dong Hanok Village is a Hanok museum itself. It is told to bestandardized but the colors and textures of the bricks are all different andeach house has its own characters, and there are historic alleys in thevillag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 to achievedevelopment of the region by conserving the Hanoks and the alleys. Ikseon-dong Hanok Village can be the central museum and surroundingareas such as the Changdeok Palace, Jongmyo Shrine, Unhyeon Palace,Museum of Korean Art, Tteok Museum, Choonwondang Museum of KoreanMedicine, Myo-dong jewelry shopping district, and Nagwon InstrumentArcade can be set as satellite museums, designing the entire district as amuseum. When the residents’ awareness are brought upon through various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symposiums, research societies, reminiscencespeaking contests, field trips, lectures, and treasure hunts after excavatingthese sites, Hanok Village will not be sacrificed in the name of developmentanymore and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residents’ abilities topropagate while preserving the region. 도시 역사 유적지의 개발과 보존의 양극에서 진정 지역을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것이 무엇인가? 시간의 켜와 오래된 삶의 양식이 남아있는 역사 도시 서울이 발전하기 위하여 대규모 철거와 대단위 개발은 필수불가결한 발전의 방식이라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거대자본이 밀고 온 개발 앞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은 삶의 터전을 잃고 다시 정착할 곳을 찾아 떠나게 된다. 서울의 중심부 종로 한 가운데 도시형한옥지구가 방치된 상태로 허물어져가고 있다면, 그리고 그 한옥마을 안에서 평생을 살아온 주민들이 아직도 생존해 있다면 이 곳을 철거하고 현대식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것은 올바른 선택인가? 본 연구는 이 문제를 고민하면서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지구의 역사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지역의 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끄는 에코뮤지엄의 이론을 익선동 한옥 밀집지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에코뮤지엄은 지역,유산,집단의 기억,자연, 지역의 정체성, 건축물, 전통, 연장자, 경관, 문화자원을 소장품으로 하여 지역의 사이트(site)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민은 에코뮤지엄의 주체로서 스스로 지역의 유산을 발굴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지역의 전문가로서 소양을 축적시켜 나가는 과정에 지역의 정체성과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지역을 찾는 방문객 역시 지역의 자원을 탐색하고 알아가는 과정에 에코뮤지엄의 일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익선동 도시형한옥밀집지구를 중핵박물관으로 하고 주변의 창덕궁, 종묘, 운현궁, 한국미술박물관, 떡박물관, 춘원당한방박물관, 귀금속상가, 낙원악기상가를 사이트로 하여 지역전체를 박물관으로 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를 발굴하여 전시회, 심포지엄, 연구회, 추억 말하기 대회, 견학회, 강연회, 보물찾기 대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주민의 의식을 깨운다면 익선동 도시형 한옥 밀집 지구는 더 이상 개발의 논리에 희생되지 않고 지역을 보존하면서 주민 스스로 자생력을 갖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 고을 영월의 지역자원 현황과영월 에코뮤지엄 가능성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3

        This study aims to network resources, consider a possibility of ecomuseum, and analyze resources in Yeongwol. Networking is receiving the public attention as a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museums. Unlike the modern museums with a closed system, an open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post modern period and a networking based era has started in the new museology period. The functions of the contemporary museums depend on effective networking and mutually cooperative organizational capability. As a museum village, Yeongwol has built up 'regional image' on cultural resources in addition to something new. Yeongwol has beautiful natur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Each museum in Yeongwol is specialized in specific subjects;however, no cooperative system or effective methods are being available to vary resources in the region. To find ways for museums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ies, the region can find the direction and philosophical values of its policies in the ecomuseum characterized as a citizen-driven regional and cultural campaign considering the entire region as a museum. Thu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gional resources and research its feasibility as an ecomuseum, focusing on networking. A genuine museum village Yeongwol can be made only when the already-exciting regional resources are discovered and linked together based on their nature of relationship rather than building more museums.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이 부각되면서 박물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네트워킹이 강조되고 있다. 근대의 박물관 구조가 엘리트들에 의해서기획되고 운영되는 닫힌 시스템이었다면, 포스트모던 시대에는 대중을향한 열린 시스템으로 나아갔다. 또한 새로운 박물관학의 시대에는 내외부적인 네트워킹의 시대에 돌입하였다. 현대의 박물관은 네트워킹이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호 협력적인 조직력이 있어야지만 박물관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박물관 고을 영월을 표방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고 있는 영월은 그동안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이미지 구축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영월은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한 박물관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빼어난 자연자원과 역사문화유산을 갖고 있다. 영월의 박물관들은 다양한 테마를 갖고 운영되고 있으나, 상호협력적인 조직력이 미흡한 상황이고, 다양한 지역 자원과 연계하는 방안에대해서도 구체적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영월의 박물관들이향후의 미래 사회에 지역 문화콘텐츠로서 어떻게 기능할 수 있을까에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또한 박물관 고을 영월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박물관의 수가 많아지면 지역사회에 어떤 기여를 하는가? 지역 전체를 박물관으로 보는 주민주도의 지역문화 운동인에코뮤지엄은 영월의 정책에 철학적 가치 지향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에코뮤지엄의 주요한 특징인 네트워킹에 주목하여 영월의 지역자원을 조사하고, 에코뮤지엄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서연구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테마를 갖는 박물관을 지속적으로 짓는다고 해서 진정한 박물관 도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이미 있는 자원을 발굴하고 그것들의 상호 관계성을 고민하고 서로 연계할 때 살아있는 박물관 고을 영월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식루트를 통한 지역자원 경영에 대한 연구 - 알자스와인가도를 중심으로 -

        배은석,이지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본 연구는 알자스와인가도가 어떻게 지역의 문화를 관광자원으로 만드는 것인가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알자스와인가도는 1953년 처음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랭(Rhin) 평야와 발롱 데 보주(Ballons des Vosges)로 이어지는 수천 년 된 알자스의 포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총 170km에 달한다. 알자스인들은 질곡의 역사를 바탕으로 지역공동체의 역사를 일구었고 이 가운데 와인은 그들의 역사와 삶이 투영된 중요한 미식자원이다. 또한 알자스와인가도를 만들고 여기에 다양한 지역문화자원을 연계한 관광 상품을 만들어 방문객에게 제시하고 있다. 음식과 관광을 접목하는 과정에 자신들의 역사와 종교, 예술적 감수성, 아름다운 경관, 축제, 스포츠 등을 모두 활용하여 방문객이 알자스인들의 삶 속으로 들어오게 초대한다. 특히 알자스 포도원 마라톤은 17개 마을을 지나는 코스이며, 각 마을은 지역에서 생산한 와인과 음식을 준비하여 참가자 모두에게 제공하는데 일종의 마을 축제로 향유된다. 이 축제는 길과 포도원, 지역주민, 와인생산자, 방문객이 모두 참여하여 마을과 마을을 잇는 것으로 그들을 잇는 매개체로 음식과 와인이 활용되어 현실을 떠난 새로운 세계로 인도한다. 그곳에는 아름다운 풍광과 자연이 있으며, 농부들의 열정으로 빚은 와인이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음식과 와인은 알자스의 역사와 열정이 담긴 산물로 지역의 방문자들이 그들과 함께 뛰고 먹고 즐기면서 알자스의 향연에 참여하게 된다. 음식은 다양한 문화의 복합적인 산물이고, 지역의 향토색을 강하게 함축한 정체성의 표현이다. 이방인이 어느 지역을 찾아서 그 지역의 음식을 맛보는 것은 그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먹는 것이고, 그 지역의 문화를 수용하는 것이다. 지역의 향토음식의 유래를 들으면서 향토음식을 맛보거나 만들어보는 기회를 갖는 것은 지역의 찾은 방문객의 가장 큰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알자스인들은 바로 이 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음식에 담아서 표현하고 있다. 알자스와인가도는 방문객이 마을을 찾게 하여 마을 주민을 만나는 접점을 제공하고, 음식과 문화, 예술, 스포츠를 연계한다. 또한 와인을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과 연계하면서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미식 체험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실현함으로써 지역의 특성을 담은 총체적인 미식문화를 구현하여 미식투어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Alsace wine route makes local culture a tourism resource. Alsace Wine Highway started in 1953 and lasts up to now. This highway is composed of thousands of years vineyard connected to Rhin plain and Ballons des Vosges, which reaches total length of 170km. The Alsatians have built a history of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history of vineyards, among which wine is an important gourmet resource whose history and life are projected. Alsace Wine Route is also created and presented to visitors by creating tourist products that link various local cultural resource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food and tourism, visitors are invited to the life of Alsace people by utilizing their history, religion, artistic sensitivity, beautiful scenery, festivals and sports. In particular, Alsace Vineyard Marathon is the course passing 17 villages and each village prepares the wines and foods produced in each region which are provided to all participants.. it's a kind of village festival. This festival allows all of wineyard and people including residents, wine manufacturer, visitors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which connects village to village. As medium to connect those people and villages, foods and wines are used which leads to new world from the reality. There are beautiful scenery and nature and the wine made with passion of farmers there. The foods and wines provided here are the products containing the history and passion of Alsace and the visitors can participate in the festival of Alsace by running, eating and enjoying together with them. Foods are the complicated product of diverse cultures and the expression of identity that implies the local color of that region strongly. When a stranger visits a certain region and tastes the food of that area, it means that he eats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at area and accepts the culture of that area. Taking the opportunity to listen to the history of local food, taste or make it can be the biggest experience for the visitors to this area. The people of Alsace knows this point seriously and expresses their identity in their food. The Alsace Wine Route provides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meet the villagers to find the village, and to connect food, culture, arts and sports. In addition, wine is linked with local history and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s and realizes various gourmet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festival. We are introducing a model of gourmet tour by implementing the overall gourmet culture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KCI등재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시의 두 가지 양상에 대한 연구 - 반 고흐 전시를 중심으로 -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5

        The mankind of today communicates with the world by a mobile adhered to them. By challenging the area of God with an intelligent robot, how do they meet Gogh?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is in two kinds of view point. One is an enjoyment of art by traditional method. That includes watching the exhibition in the museum or visiting the relics where the history of artists is preserved. That is, a kind of art pilgrimage that watches the original works exhibited in Orsay Museum or visiting Auvers sur Oise who left behind works despite of hard situation who suffered from the terrible loneliness and finally killed himself. Another one is a digitally interpreted and expressed art, which is a multimedia show. This attracts people to the state of immersion beyond the aura of the original work sometimes. As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s for Gogh, there are ' 「Gauguin – Van Gogh, the Artists of Colors」 by 'the Quarry of Lights' and ‘Van Gogh Inside’ held in the old Seoul Station. The former is the case that attempted the new multimedia video exhibition in 2012 for the old quarry of Les Beaux de Provence in the southern region of France and handled two art masters ‘Gauguin and Gogh’ as the theme of special exhibition. This quarry holds the special exhibition that exhibits the works of new artists every year and invites people to the grotesque rock cave. It is attributable to the artistic evaluation and attraction and his phase in art history that Gogh has, but eventually to the fact that they consider that this is the surest method that guarantees the big success. Thanks to that, people now can enjoy Gogh and his art works in the stage of immersion without spending too much cost and time. 신체의 일부처럼 밀착된 모바일 기기로 세계와 소통하고, 인공지능 로봇으로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오늘날의 인류는 반 고흐를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본고는 이 점에 대해서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보았다. 하나는 아날로그적 예술 향유로, 오르세뮤지엄에 전시된 원작을 보는 것과 지독한 외로움에시달려 결국은 자살에 이른 장소인 오베르 쉬르 우아즈(Auvers-Sur-Oise)를 방문하는 일종의 예술 성지 순례이다. 다른 하나는 디지털로 해석되고 표현된 예술로, 멀티미디어영상전시이다. 이것은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공감각적 몰입형 전시이다. 고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콘텐츠의 사례로는 ‘빛의 채석장’의《고갱(Gauguin) – 반 고흐(Van Gogh), 색채의 화가들》과 구(舊)서울역사에서 진행된 《반 고흐인사이드-빛과 음악의 축제》를 들 수 있다. 전자는 프랑스 남부의 레 보 드 프로방스(Les Beaux de Provence)의 오래된 채석장이 2012년 새로운 형태의 멀티미디어영상전시를 시도하면서 ‘고갱과 고흐’ 라는 거장을 기획전시의 테마로 삼은 경우이다. 이 채석장은 해마다 새로운 예술가의 작품을 다루는기획전시를 열면서 기괴한 암석 동굴로 대중을 초대한다. 한편, 후자인《반 고흐 인사이드-빛과 음악의 축제》는 우리나라에서 펼쳐진 멀티미디어영상전시이다. 2016년 1월8일에서 4월17일까지 진행된 이 전시의 첫 번째 장소는‘문화역서울284’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구(舊)서울역사이다. 몰입형 전시의 공감각적 체험은 원작의 감동과는 또 다른 매력으로 대중에게 다가왔다. 그렇다면 이러한 몰입형 전시에 매료된 대중은 원작의 감동을 외면할 것인가? 아니면 몰입형 전시로 인해 감동을 받은 대중이 고전적인 예술 향유를 위한 긴 여정을 떠날 것인가? 아마도 양자는 서로 견제하고 보완하면서 새로운 방식의 예술 향유문화를 도출하여 낼 것이다.

      • KCI등재

        구도심 지역주민의 안전감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A구를 중심으로-

        배은석,박해긍,송영지,이용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sense of safety on old downtown area residents. We surveyed 200 residents of A area, which has relatively low regional safety index. Data analysis is appli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e and family size were significant among demographic factors. Second, the safety of traffic and safety accidents, fire and cr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the settlement. Traffic and safety accidents lowered the consciousness of the settl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cal governments are more likely to be concerned abou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longer residents such as old age, single-family housing, low-income households, especially elderly households with high fire risk. 본 연구는 구도심 지역주민의 안전감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전략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부산시의 대표적 구도심으로서 상대적으로 지역 안전지수가 낮은 A구를 대상으로 지역주민 200명에게 5개 영역의 안전 분야와 정주의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127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했다. 그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과 가족 수가 유의했다. 둘째, 독립변수에는 교통・안전사고, 화재, 범죄에 대한 안전감이 정주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사고는 정주의식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지방자치단체는 구도심 지역주민의 개인적인 특성 즉 고연령, 단독주택, 저소득층, 특히 화재위험이 높은 노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 대안 마련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강한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려는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에서 에코뮤지엄의 수용과 적용 과정: 철암빌리지움에서 철암탄광역사촌까지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Cheoram in Gangwon-do is the place where was once very active as a coal mining area in the 1970s and 1980s, but experienced a decline, suffering a crisis of being turned into an abandoned mine since the 1990s. Cheoram Villageum is very noteworthy in that it has embraced the concept of the ecomuseum among the voluntary movements of residents to revitalize the community. This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the ecomuseum concept in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hole current activities of the coal mining town of Cheoram, which has marked a very important beginning in the history of ecomuseums in Korea, starting from Cheoram Villageum. This leads to how ecomuseums earlier in Korea were introduced and how their experimental efforts had an effect on the local areas. Since the ecomuseum is a concept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axis of local culture as it is born and grows like a living organism,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transition of change while watching it for a long time. The course of examining changes in Cheoram begun in 1998 may be a significant study in its own right. Cheoram Coal Mine History Town currently in operation is also researched and analyzed using the MACDAB index. In addition, while thinking about future improvements, it is suggested that Cheoram Coal Mine History Village establishes itself as a genuine ecomuseum and exchanges with ecomuseums around the world that started in mining towns. 강원도 철암은 1970~80년대에는 탄광지역으로 매우 활성화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폐광지역으로 전락하는 위기를 겪으면서 지역 전체가 쇠퇴를 경험한 곳이다.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 펼쳐진 자발적인 주민운동 가운데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수용한 철암빌리지움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는 가히 국내 최초의 에코뮤지엄 개념의 수용과 적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철암빌리지움에서 시작되어 한국의 에코뮤지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작을 알린 바 있는 철암의 탄광촌이 현재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초기 에코뮤지엄이 한국에 어떻게 소개되었으며, 실험적인 노력을 경주한 사실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에코뮤지엄은 생명체와 같이 탄생하고 성장하면서 지역문화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개념이기에 장시간 지켜보면서 변화의 추이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1998년도부터 시작된 철암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철암탄광역사촌의 전시를 통하여 현황을 조사하고, 에코뮤지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MACDAB 지수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향후 보완점에 대해서도 고민하면서, 철암탄광역사촌이 진정한 에코뮤지엄으로 자리 잡고 광산마을에서 시작된 전 세계의 에코뮤지엄과 교류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코냑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을 통한 전통식품 에코뮤지엄 조성 방안연구

        배은석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디의 세계적인 산지인 프랑스 코냑(Cognac)에 위치한 코냑 에코뮤지엄에 대해서 조사하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코냑 에코뮤지엄은 포도 재배, 브랜디의 생산, 제품 관리 및 홍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보여주는 농촌의 지역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사례이다. 코냑의 미그론(Migron) 마을의 북쪽에는 테스론(Tesseron)가(家)의 유산이자 지역의 유산인 포도 원과 코냑 에코뮤지엄이 있다. 이곳에는 1850년 이래로 시작된 테스론 가의 포도 양조장의 역사, 가족과 지역의 역사가 담겨있으며, 코냑의 역사도 전시되고 있다. 방문객은 에코뮤지엄을 방문하고 관람하는 동안 코냑지역의 브랜디 생산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고, 포도 농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증류 과정에 대한 설명도 듣고, 숙성 과정에 따른 색의 변화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이처럼 코냑 에코뮤지엄은 코냑 지역의 포도농사 전통과 지역민의 삶, 생업, 농사 과정, 지역 특산물 코냑의 생산 과정 등을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문화체험공간이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식품명인을 활용한 에코뮤지엄의 적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식품 명인은 현재 68호까지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의 농산물을 상품화하여 지역의 브랜 드 가치를 높이는 일을 하고 있다. 전통 기법을 보존하면서 생산된 상품은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자원이다. 또한 식품명인 자체가 지역의 중요한 문화자원이다. 이들이 에코뮤지엄의 철학을 수용하 여 스스로 자신의 역사를 소중히 여기고 이를 간직하려는 노력과 자긍심을 갖고 방문객에게 자신 을 개방한다면 농업과 전통기술을 기반으로 한 에코뮤지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입각한 ≪돈화문마을박물관≫의 의의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Seoul, the origin of Korean Wave(Hallu) is the historic and cultural city built on the site of the 500-year history of Hanyang in Chosun Dynasty. However, the city has been busy due to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based on economic logic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historic environment. Seoul has been developing the region with the logic of being underdeveloped if it is not construction. This study surveyed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Donhwamun-ro still neglected even if Changdeokgung Palace and Jongmyo, selected as the world cultural heritages of UNESCO, are located near and also analyzed the activity of Donhwamun Village Museum which is the local cultural activities led by resident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this area. The execution progress of this project was analyzed ba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ideal of ecomuseum of Gerard Corsan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what the village museum pursued is that they tried to boo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ay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record the living of the residents from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time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mained environment in this area, and it encouraged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each site which was matched with the ideal of ecomuseum. The significance of Donhwamun Village Museum is not to freeze the culture of this area just in Chosun Dynasty but focused on the continuity of all the time from the modern times to the contemporary times and prospect the future. 한류의 근원지 서울은 조선의 한양이라는 오백년 역사를 간직한 터전 위에 건설된 역사문화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환경의 보존이나 계승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경제 논리에 입각한 개발과 현대화로 인하여 분주하였다. 서울은 그동안 건설이 아니면 낙후라는 논리로 지역을 개발하여왔다.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과 종묘가 인접한 곳이나 아직도 방치되어 있는 돈화문로의 지역문화자원을 조사하고,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주민주도의 지역문화 운동인《돈화문마을박물관》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실행과정을 제라드 코세인(Gerard Corsane)의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을박물관이 추구한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고, 무형문화유산을 보존과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조선시대로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주민들의 삶, 이곳에 남아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기록하려고 노력한 점과 각 사이트의 역사와 활동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주민의 참여를 독려한 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이상에 부합함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돈화문마을박물관》은 이 지역의 문화를 조선시대에 동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모든 시간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 『어머니의 고향 노래』 사례를 박물관 속 다문화 전시에 대한 연구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9

        The study focuses on intactly displaying the planning process undertaken by the exhibition manager. For instance, 「Mothers Song of Hometown」 exhibition is revealed: criticism toward assimilationism and search for mutual understanding. Based upon research on culinary culture of seven multi cultural countries of East Asian region, various foods containing stories were carefully selected. Each selection of food was reproduced and sorted according to country of origin for display. Along the proces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linary culture as well as each selected menu were studied. An education program was run for seven days as part of the exhibition, where each day, a recipe from one particular country was selected to offer a cooking class to visitors. Traditional cuisine i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shared beyond geographical boundaries and epoch. In the process of trying traditional recipes of various countries, tasting new foods, and discovering profound stories behind each of them,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cross cultures could be observed. 현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사회에 다문화는 당면한 문제이며 풀어 나가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문화에 대한 사회전반의 인식이 동화주의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물관 전시와 교육에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비판적 시작을 갖고 떡박물관의 다문화 이해하기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전시 기획자의 전시연구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전시의 배경에서는 『어머니의 고향노래』전시를 기획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동화주의에 대한 비판이며 상호이해로 가기 위한 모색임을 밝혔다. 전시내용은 동아시아의 다문화 국가 7개국에 대한 식문화 조사를 토대로 이야기가 있는 음식을 선별하고 이를 재현하여 국가별로 모아 전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 각국의 음식문화 특징과 각 메뉴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전시와 연계된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7일간 이루어졌는데, 하루에 한 국가의 음식 만들기를 한 후에 마인드맵을 그려서 자신이 체험한 음식을 통하여 느낀 그 나라의 이미지를 정리하였다. 각국의 전통음식은 시대와 국경을 넘어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유산이다. 다른 나라의 음식 만들기를 하고 나서 시식을 하고, 음식에 얽힌 이야기를 알게 되는 과정에 서로 다른 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면서 교류할 수 있었다. 본 전시의 한계점은 준비 기간이 짧았고 교육적인 설계가 치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다. 향후에는 이룰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박물관에 있어서 다문화는 일정한 국가에 한정되어 매우 일회적이고 단기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박물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국제교류전이 다문화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학습과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한다면 진정으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인류와 인류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활동-속초시립박물관을 중심으로-

        배은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identity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the role of a museum which contributes to the transmission of their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and to take a view of the community’s future. To this end, the Abai Village and the Sokcho Museum located at Cheongho-dong, Sokcho, Gangwon-do Province is explored as its main research target, and the historical, contemporary context of the community is looked into from the perspective of ecomuseology. Besides,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is examined how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eople’s memories about evacuation and settlement. At present, it is not easy to find the activities of museums working on the displaced in Korea, and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northern regions before the national divis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would be very significant to expand the ground of cultural studies. Now, a museum faces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it should develop more subdivided, in-depth programs, apart from the functions of collecting, managing, preserving, surveying, researching, exhibiting and educating intangible and tangible heritages of mankind, and that it should present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s. The magnified role of a museum in handling socio-cultural problems, which cannot be possibly solved through political, or economic logic, is attributable to manifestation of a new museum movement, and its practical efforts. A museum in modern times has begun to transform itself through its acceptance of a challenge in order to portray diverse social needs while showing the tendency to get involved in the problems of a local community a little more aggressively. Sometimes it heals the wounds of a local community and carries out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The Sokcho Museum displays the life of displaced people in a permanent exhibition of ‘A Refugee Culture: Folklore & Mingling Culture of Sokcho People’. In addition, the museum makes many efforts to preserve and pass down the culture of the displaced while operating Displaced Civilians Folk Village as an outdoor exhibition area, and performing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The museum has also conducted out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first-generation displaced people. In collaboration with the Sokcho Municipal Art Company, it has preserved and re-created the archetypes of intangible heritage in the North Korean regions such as Bukcheong Sajanoreum. The museum provides regular performance programs continuously for the general public. Besides, the museum carries on substantive planning and projects, playing an intermediate role in 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of displaced people and Sokcho-si in enjoying their cultural festivals. In the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 community and museum, Sokcho-si, the community, and the Sokcho Museum show an inter-connected structure. The activities of the museum assumes an element of a core museum which acts as a base for an ecomuseum while transmitt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to the next generations, and contributing to the environment. 본고는 실향민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유형·무형유산의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서 성찰하고 실향민공동체의 미래를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대상은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의 아바이마을과 속초시립박물관이며,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실향민공동체의 역사적 및 동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아울러 실향민 문화와 기억의 보전과 전승에 기여하는 박물관 활동을 조사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실향민을 주제로 한 박물관 활동은 극히 드문 상황이고 분단 이전의 전통적인 북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박물관은 인류의 무형과 유형의 유산을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연구, 전시, 교육의 기능 이외에도 더 세분화되고 심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문화적 관점에서의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 정치나 경제 논리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 문제에 대해서 박물관의 역할이 부각된 것은 새로운 박물관 운동의 발현과 실천적 노력에 기인한다. 현대의 박물관은 좀 더 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문제에 관여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변모하기 시작한다. 박물관이 지역공동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사회 통합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소수민족의 보호에 관여하기도 한다. 속초시립박물관은 상설전시장에 ‘피난민문화: 속초인의 민속. 어울림의 문화’를 전시하여 대중에게 실향민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야외 전시장으로 실향민문화촌을 운영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실향민문화를 보전, 전승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1세대 실향민의 기억을 수집하고 이를 채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속초시립예술단의 활동을 통하여 북청사자놀음 등 북한지역의 무형유산의 원형보존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무형문화유산을 재창조하고 대중공연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여 상설 공연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 실향민문화축제를 향유하는데 있어서 실향민공동체와 속초시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하면서 실질적인 기획과 진행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과 공동체, 박물관의 관계에 있어서 속초, 실향민공동체, 속초시립박물관은 서로 연계하는 구조를 보인다. 속초시립박물관의 활동은 공동체의 유무형의 유산을 전승하면서 환경에 기여하며 에코뮤지엄의 거점 역할을 하는 중핵박물관의 요소를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