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드로이드 기반 앱 악성코드 탐지를 위한 Feature 선정 및 학습모델 제안

        배세진(Se-jin Bae),이정수(Jung-soo Rhee),백남균(Nam-kyun Ba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6 No.1

        앱(App)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 등에 다운받아 사용 가능하다. 그 중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앱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구현되어 누구나 악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아주 일부분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iOS와는 달리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오픈소스 기반의 안도로이드 앱은 누구나 소스코드 변경에 참여 가능하기 때문에 그만큼 악성코드가 많아지고 종류 또한 다양해질 수밖에 없다. 단기간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악성코드는 사람이 일일이 탐지하기 어려워 AI를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기존 대부분의 악성 앱 탐지 방안은 Feature를 추출하여 악성 앱을 탐지하는 방안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Feature 추출 후 학습에 사용할 최적의 Feature를 선정(Selection)하는 3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최적의 Feature로 모델링 하는 단계에서 단일 모델 이외에도 앙상블 기법을 사용한다. 앙상블 기법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나와 있듯이 단일 모델의 성능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앱(App) 기반 악성코드 탐지 최적의 Feature 선정과 학습모델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An application called an app can be downloaded and used on mobile devices. Among them, Android-based app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implemented on an open source basis and can be exploited by anyone, but unlike iOS, which discloses only a small part of the source code, Android is implemented as an open source, so it can analyze the code. However, since anyone can participate in changing the source code of open source-based Android apps, the number of malicious codes increases and types are bound to vary. Malicious codes that increase exponenti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re difficult for humans to detect one by one, so it is efficient to use a technique to detect malicious codes using AI. Most of the existing malicious app detection methods are to extract Features and detect malicious apps. Therefore, three ways to select the optimal feature to be used for learning after feature extraction are proposed. Finally, in the step of modeling with optimal features, ensemble techniques are used in addition to a single model. Ensemble techniques have already shown results beyond the performance of a single model, as has been shown in several studi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plan to select the optimal feature and implement a learning model for Android app-based malicious code detection.

      • AI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프로텍트 구현

        배세진(Se-jin Bae),안중현(Jung-hyun Ahn),이정수(Jung-soo Rhee),박정수(Jung-soo Park),백남균(Nam-kyun Ba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2021년 4월,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가 개시되었으나 서비스 초기로 보안기능이 취약한 상태이다. 현재 Android 기반 APP의 보안방법은 구글 프로텍트(Google Protect)의 기술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것이다. 악성코드는 종류가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직접 탐지하기 어려우므로, AI와 구글 프로텍트의 기술을 합한 악성코드탐지 기술을 재난안전통신망에 적용함으로써 ‘AI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프로텍트’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April 2021,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have been launched, but security functions are weak at the beginning of the service. The current security method for Android-based APP is using Google Protect's technology to detect malware. Malware is difficult to detect directly because there are various types, so by applying malware detection technology that combines AI and Google Protect technology to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s, research on how to implement ‘AI-based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Protect’.

      • KCI등재후보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개선 대상 SW 프로세스 선정

        이양규,김종우,권원일,정창신,배세진,Lee, Yang-Kyu,Kim, Jong-Woo,Kwon, Won-Il,Jung, Chang-Sin,Bae, Se-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5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평가 모형에 기반한 중소기업형 프로세스 개선 모형으로 SPIR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in Regions of Europe)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SPIRE에서는 조직의 경영 목적에 맞는 프로세스 선택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매핑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선택시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경영 목표-프로세스간 매핑 참조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세스 선정 방안을 제시한다. 매핑 참조 테이블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프로세스 선정 기법은 매핑 참조 테이블과 해당 업체 관련자의 주관적인 매핑 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개선 대상 프로세스를 선정되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선정 방법을 2개의 중소 소프트웨어 조직에 실제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매핑 참조 테이블을 사용하여 업체 관련자가 간과하고 있던 주요 프로세스를 평가 대상 프로세스로 선정할 수 있었다. Based on SPIC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evaluation model, SPIRE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in Regions of Europe) is developed and published as a process improvement model for small and medium size organizations. However, practical selection guidelines or mapping rules between business goals and software processes do not exist within SPIRE. This research aims to construct an objective reference mapping table between business goals and software processes, and to propose a process selection method using the mapping table. The mapping table is constructed by the convergence of domestic software process experts' opinions using Delphi techniques. In the suggested process selection method, target processes are selected using the intuition of project participants or project managers as well as the reference mapping tabl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election method has been reviewed by applying to two small software companies. Using the reference mapping table, we could select key processes which were passed over by project managers.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장애학생 전환능력검사 문항 개발

        최민식(Min-Sik Choi),김라경(Rah-Kyung Kim),송승민(Seung-Min Song),배세진(Se-Jin Bae),박희찬(Hee-Chan Park)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기 삶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전환능력검사 개발 초기 과정으로서 문항 개발을 통하여 예비조사를 위한 문항을 준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도구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및 직업교육, 검사 개발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4개 영역(자립, 직업, 계속교육, 공통), 15개 하위영역, 139문항에 대하여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환능력검사의 영역, 하위영역,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적합도, 내용타당도 비율(CVR), 수렴도와 합의도를 분석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한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영역의 중요도는 평균 4.75, 적합도는 평균 4.57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역시 중요도 평균 4.70, 적합도 평균 4.47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낮은 문항은 전문가 의견을 함께 반영하여 수정, 삭제, 추가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립영역(자기관리, 가정생활, 건강, 돈 관리, 지역사회생활, 여가생활), 직업영역(직업준비, 직업기능, 직업생활), 계속교육영역(기초교육, 평생교육, 대학교육), 공통영역(의사소통, 대인관계, 자기결정)의 4개 영역, 15개 하위영역, 114개의 예비조사를 위한 예비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성인생활에서의 성과 및 목표를 고려한 종합적 전환능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타당도를 확보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reliminary vali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to systematically prepar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adult lif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related transition tools in four areas (independence, vocation, continuing education, common), a Delphi survey questionnaire(i.e. 139 questions in 15 sub-areas)was develope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20 experts who ha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ortance and suitability,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for areas, sub-areas, and questions of the transition assessment tool and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narrative responses. 2 rounds of Delphi survey results using a Likert 5-point scale showed an average importance score was 4.75 and average suitability score was 4.57. The sub-areas were also high with an average importance of 4.70 and a suitability average of 4.47. The low content level of the questions were revised, deleted, and added to the expert opinion. Through this process,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for four areas of independent living (self-management, family life, health, money management, community life, leisure life), vocational areas (job preparation, vocational functions, vocational life), continuing education (basic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common area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15 sub-areas, and 114 preliminary ques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transition competence assess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erformance and goals of adult life of high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용 직업흥미검사 웹 기반 시스템 개발

        박희찬(Park, Hee-Chan),송승민(Song, Seung-Min),박혜영(Park, Hye-Young),배세진(Bae, Se-Jin),한세진(Han, Se-Jin),황병연(Hwang, Byung-Yeon),황윤의(Hwang, Yoon-Yui)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흥미검사를 웹 기반 시스템으로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방법으로 먼저 직업흥미검사에 대한 문항개발, 예비조사 및 본조사, 규준개발 등을 거쳐 도구를 완성하였고, 그 다음 웹 표준화 원리들을 준수하여 검사에 대한 웹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계획, 설계, 구현의 단계를 거쳤다. 개발 결과, 웹 기반 시스템은 검사 소개, 검사 실시, 검사 결과, 자료실, 게시판, 관리자의 총 6개 메뉴로 구성하였다. 웹 기반 시스템에서는 학생용 종합형, 간편형, 교사부모용 A형, B형의 4가지 검사 유형을 피검사자의 특성에 따라 웹에서 실시하고 피검사자의 직업 흥미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용 종합형 검사 결과 보고서의 경우에는 피검사자의 일반정보, 그림 이해도 및 일관성 점수, 직군 및 직종, 포장⋅운반⋅정리의 원점수와 환산 점수, 교육과정 등과의 관련성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웹 기반 시스템으로 구축함으로써 검사 실시 및 채점에 대한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직업에 대한 개인의 흥미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system of the vocational interest te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first, the vocational interest te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through validation on test items and psychometric adequacy of the test. Then the web-based system ensures compatibility and consistency with existing web sites and adheres to the principles of web standardization. The system was developed plan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As a result, the system consists of six menus: introduction, administration, results, archive, bulletin board, and administrator of the test. In the system, the four types of tests such as student comprehensive and short types, teacher parent A and B types can be conducted on the web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vocational interest of the student can be calculated and interpreted. In the case of the student comprehensive test result reports the general information, the comprehension and consistency scores, the raw scores and the conversion scores of the occupational groups and occupations. In the system, a database of occupation groups, occupations, curriculum, and job interests was developed to be connected student’s tes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ocational interest test,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consult with them to prepare a career plan or reflect them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education plans, designing careers in conjunction with careers and voca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