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배성훈,김준현,강상규,윤진선,신광민,김민관,이정우,한창희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데이터를 기반으로 빅 데이터 분석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계량정보분석(기술통계, 사회연결망(네트워크)분석 등)기법을 활용하여 나노기술 분야 특히, 탄소나노소재분야의 연구동향 분석을 과학적으로 수행하였다. 1945년부터 현재까지 탄소나노소재 분야에 약 30만건의 학술연구(논문)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들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통계분석과 사회연결망(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국가별, 연도별, 저널, 연구기관 별 논문발표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서는 국가별, 연도별 주요 키워드 및 연구동향을 네트워크 관점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미국과 한국의 과거 키워드와 현재 키워드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의 동향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나노기술분야 특히, 탄소나노소재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에 있어서 전문가식견이나 정성적인 방법에 의한 예측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생산을 위해 계량정보분석 기법을 나노기술 분야에 적용한 연구이며, 적용 절차와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Social Impact Assessment for Nano Technology Using a System Dynamics

        배성훈,신광민,임정선,윤진선,강상규,김준현,김민관,한창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38 No.2

        The study aims at quantifying the effect of nano technology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social aspects by using the methodology of system dynamics. A case study which using selenium oxide nanoparticles as additive agent in order to enhance fuel efficiency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nano technology in economic and societal benefits. Additionally, models for exhaust gas from combustion of fuel (diesel) and related issues are developed to evaluate real-tim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nano technology.It was found that the selenium oxide nanoparticles increase fuel efficiency, and it also affects on the amount of exhaust gas and the respiratory disease related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give quantitative value for the effect of nano technology can be used as objective references in development of national policy.

      • KCI등재

        계측기용 새로운 전파정류 회로 설계

        배성훈,임신일 대한전자공학회 2006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3 No.4

        This paper describes the new design technique of full wave rectifier (FWR) for precise measurement instrument and the chip implementation of this FWR circuit with measurement results. Conventional circuits have some problems of complex design and limited output range(VDD/2~VLIMIT+). Proposed FWR circuit was simply designed with two 2x1 MUXs, one high speed comparator, and one differential difference amplifier(DDA). One rail-to-rail differential difference amplifier(DDA) performs the DC level shifting to VSS and 2X amplification simultaneously, and enables the full range (Vss~VDD) operation. The proposed FWR circuits shows more than 50% reduction of chip area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ne. Proposed circuit was implemented with 0.35um 1-poly 2-metal CMOS process. Core size is 150um x 450um and power dissipation is 840uW with 3.3V single supply.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정밀 계측기용 전파 정류 회로를 제안하고 설계하여, 칩으로 구현 후 검증한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기존의 회로는 회로가 복잡하고, 신호의 출력범위가 공통모드(VDD/2) 전압부터 제한된 크기의 출력 전압 까지만 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안된 회로에서는 2개의 2x1 먹스, 1개의 차동 차이 증폭기, 1개의 고속비교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하였다. 특히 하나의 차동 차이 증폭기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접지(Ground) 레벨로 낮추는 기능과 2배 증폭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함으로서 신호 전압 전 영역(Vss부터 전원 전압 VDD까지)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하였다. 기존의 회로에 비해 50% 이상의 하드웨어 면적과 소모전력 감소 효과를 얻었다. 제안된 전파정류회로는 0.35 um 1-poly 2-metal 표준 CMOS 공정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칩 면적은 150 um × 450 um이며 전력 소모는 3.3V 전원 전압에서 840uW이다.

      • 이동코드를 위한 통합 인증 시스템

        배성훈,이수현,Bae, Seong-Hun,Lee, Su-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8 No.5

        자바, 자바스크립트, 액티브X, 스크립트 코드와 같은 실행가능 컨텐츠 또는 이동코드는 사용자가 인식 없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실행된다.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이동코드에 악의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면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정보를 외부로 유출, 파괴, 변경될 수 있다. 이동코드의 인터프리터들은 시스템을 보호하면서 효율적인 작업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보안모델을 가지고 있거나 이를 위한 도구들이 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기술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하나의 보안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아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이동코드로부터 사용자의 로컬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인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통합인증시스템은 각 이동코드 별로 시스템 접근에 관한 접근제어목록을 기초로 운영되며, 이동코드의 사용 인증, 이동코드의 시스템 접근 인증,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접근제어목록 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Mobile codes such as Java, Java-Script, ActiveX, and Script code are loaded into a client system first and then run without any notice to the client user. Executing code by this mechanism may cause various security problems such as flowing out system information, deleting or modifying files, and exhausting system resour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to establish the uniform security countermeasure on various mobile codes. The system helps to solve to problems mentioned above. A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allows to load into an interpreter using ACL (Access Control List) which sets up an access authority to the executable contents and communicates with an interpreter using client/server model.

      • 공공데이터 민간개방 확대를 위한 법률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배성훈,이종용,송석현,장주병,강상규,윤진선,이동환,김제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3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3 No.6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 개발을 위한 민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공공데이터의 민간제공과 이용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없어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의 개방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과 함께,「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구성과 내용을 설명하여 향후「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주요 현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부정적 영향 완화 정책 효과 분석

        배성훈,신광민,임정선,윤진선,강상규,김준현,조수지,이기광 한국경영과학회 2015 經營 科學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policy of Nano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minimize nanotechnology's potential risk, using the methodology of conjoint analysis and market share analysis. The attributes of conjoint analysis were divided into potential risk factor and the policy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factor could alleviate the potential risk, subsequently increasing consumers' utility. Additionally, the government certification was more powerful than the mandatory labelling. The market share also increased in result of the nanotechnology- applied product with the certification or labeling ei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related policy makers in the fields of Nanotechnology.

      • KCI등재

        <내> 명칭에 대한 고찰 (1)―특히 <크기+큼>을 중심으로―

        배성훈 한글학회 2005 한글 Vol.- No.267

        이 연구는 어휘 분절 구조 이론에 기대어 현대 국어를 중심으로 <내+크기+큼>의 분절을 해명하기 위하여 시도한 것인데, 이러한 시도는 객관세계를 관조하는 방식(관점)의 발견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어휘 체계의 발견이라는 목표도 겨냥하게 된다. 이 해명 과정에서 몇 가지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1) <내>는 <물이 흐르는 공간>, 곧 <공간+구성 요소+물+흐름>이라는 특성을 갖는 분절로 이해된다. (2) [내], [개천], [하천] 등을 원어휘소로 하는 <내> 분절은 일차적으로 <크기>, <상태>, <구성>, <시간>, <공간> 등에 의하여 하위 분절되는 특징을 보인다. (3) <크기> 분절은 다시 <큼>과 <작음>을 관조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하위 분절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큼>의 분절 구조 해명이 이 연구의 주된 관심사이다. (4) [대천]을 원어휘소로 하는 <큼> 분절은 그 아래로 <길이>가 문제되며, <길이> 아래에는 <깊이>와 <장단>이 관조의 대상이 되어 있다. In this study I made an attempt to throw light upon the word- field of the nouns expressing <내>(stream) in modern korean language, especially focusing on <크기+큼>(size+large). In this approach I found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내> as ‘water-flowing space’ has features like ‘space’, ‘water’, and ‘flowing’. (2) The field of <내> is divided into five parts of field as <크기> (size), <상태>(state), <구성>(composition), <시간>(time), and <공간> (space). (3) In the field of <내> lexemes like [내], [개천], [하천] funtion as archilexmes. (4) In the field of <크기+큼> the lexeme [대천] function as a archilexme. The Main concern of this field is <길이>(length), and this <길이> contains two fields like <깊이>(depth) and <장단> (relative length). (5) The field of <장단>(relative length) is made up of three small parts of fields like <상태>(state), <시간>(time), and <공간>(space). (6) There are four parts like <완급+급함>(fast flowing), <청탁> (purity and impurity), <평가>(estimation), <연결>(link) in the field of <상태>(state). (7) The part of <시간>(time) is consisted of two seasons like <봄>(spring) and <가을>(fall). (8) The part of <공간>(space) is composed of two features like <방향>(direction) and <거리>(d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