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전공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적용

        방기연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의 상담전공 석사과정 경험을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과학자-실무자 모델을 교육철학으로 명시한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연구참여자 한 명을 면접하였다. 면접 자료는 이론지향적 단일사례연구방법(Duk & Hak, 2008)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의 경험에서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대학원에서 수강한 과목들은 과학자-실무자 역량 획득에 균형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 활동을 통해 연구 보고서 작성 능력과 동료들의 협동 작업 역량을 획득하였다. 상담 실습을 통해 연구참여자는 전문 실무자가 되고자 하는 포부를 가지게 되었고, 실무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졸업 후 연구참여자는 Wee 클래스에 상담 실무자로 취업하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학자-실무자 모델의 적용 가능성, 과학자-실무자 정체성, 상담전공 석사과정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집단상담에서의 상담 윤리강령

        방기연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연세 교육연구 Vol.17 No.1

        집단상담에서는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상담 윤리강령 중 (1) 내담자의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 (2)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3) 이중관계, (4) 전문가로서의 책임, (5) 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이 집단상담의 실제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윤리강령의 준수는 집단상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비윤리적 상황을 방지하여 집단상담의 치료적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집단 리더는 자신이 갖추어야 할 그리고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내담자가 갖추어야 할 윤리적 태도에 대해 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pplied the basic ethical codes to group counseling. The explored ethical codes are (1) privacy and confidentiality, (2) informed consent, (3) dual relationship, (4) responsibility of the professionals, (5) counselor competence. The group leader, aware of ethical issues in group counseling, could prevent unethical behaviors, educate group parkipants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This paper intended to enhance ethical behaviors of counselors, to prevent unethical behaviors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Through this paper, group leader could have the right awareness of their behaviors in group counseling.

      • KCI등재

        우아한 거짓말: 경력단절 어머니들의 학교운영위원회 경험

        방기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areer interrupted mothers’ school council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two mothers who had two years’ school council experiences and explored their narratives. Before being a school council member, mothers fully took care of children and household work. They agreed with this role when they decided to be a full-time housewife, but they felt depressed and isolated after a few years of being a housewife. They involved in voluntary school work along with children’s schooling and have started to involve in mothers’ networking. However, they did still not feel competent to go back to the workplace. The school asked the mothers to be a rubber stamp, so they did not feel empowered in the school council. However, they felt competent to go back to the workplace, since they were called by their own names instead of someone’s mother and gained a social title as a council member. After school council experiences, they made plans to resume their careers and started working as a para-professional. Discussion addressed an understanding of the career path of career-interrupted mothers and suggestions to improve school council management. 본 연구는 경력단절 어머니의 학교운영위원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학교운영위원회에 2년 동안 참여한 경력단절 어머니 2명을 면접하였다. 면접자료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경력단절 어머니는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이전에 전업주부가 되어 자녀 양육과 가정 운영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에 동의하였지만, 사회적 영역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다. 사회적 소외감을 극복하기 위해 자녀가 다니는 학교의 여러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동료 어머니들과의 교류를 통해 가정 밖 사회로의 외출을 시작하였지만, 자신의 사회복귀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다. 학교운영위원회에서 ‘거수기’ 역할을 요구받았지만, 경력단절 어머니들은 공식적인 회의 석상에서 위원이라는 사회적 직함을 가지게 되었고, ‘누구의 엄마’가 아닌 자신의 이름으로 다시 불리는 경험을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로 복귀할 자신감을 얻었다. 학교운영위원회 참여가 끝난 뒤 어머니들은 사회적 영역에서 활동을 시작하거나 시작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는 경력단절 어머니의 사회복귀 과정과 그 과정 속의 학교운영위원회 경험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학급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개입과정에 대한 연구

        방기연,이규미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regarding bullying incidents in their own homerooms. Most bullying occurs in schools and thus teachers are essential to intervention efforts. However, research on bullying did not investigate the voice of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bullying in their homerooms. A purposeful sampling approach was used to generate information-rich cases that illuminated the study and elucidated variation as well as significant common patterns with in that variation. Criteria for inclusion were to have bullying incidents in their homerooms in recent 2 years. Nine teachers, seven females and two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ve of them worked at elementary schools and four of them worked at secondary schools. Each case was idiosyncratic but shared commonalities. Teachers did not recognize bullying phenomena until the victim was extremely suffered. Teachers lose their confidence as a classroom manager since they realized their limit and did not know how to intervene. Teachers investigated the bullying phenomena and stopped violent actions of bullies. Teachers referred victims to professional counselors. After experiencing bullying, teachers were always alert regarding bullying and observed all students, and asked once in a while student leader about classroom atmosphere. Teachers also helped potential victims to have a friend. Their prevention efforts were rewarded as no bullying after all, but teachers were always anxious that bullying might happen again. They lost their confidence because of bullying incidents and tried to recover their confidence as a classroom manager through entering graduate programs in counseling and joining teachers' net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moral and psychosocial education regarding bullying and tolerance about individual differences.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본 연구는 지난 2년 내 학급에서 집단 괴롭힘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는 9명의 담임교사를 면접하여 교사의 사건에 대한 대응, 사건 후 인지적․정서적 경험을 조사하고, 교사에게 집단 괴롭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집단 괴롭힘 사건이 진행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학급 운영자로서의 자신감을 상실했고,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몰라서 막막했다. 교사는 집단 괴롭힘 사건의 성격과 관여한 학생들을 조사하고, 가해 학생을 훈육하고 부모에게 가해 사실을 알렸다. 교사가 피해 학생의 부모에게 자녀의 피해사실을 알린 경우도 있지만, 피해 학생의 부모는 교사보다 먼저 자녀의 피해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집단 괴롭힘 사건 이후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을 허용하지 않을 것을 학생들에게 명확히 밝혔고, 항상 학급에 별다른 일은 없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믿을 수 있는 학급 임원들에게 학급의 상황을 보고받았고, 괴롭힘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학생에게는 친구를 붙여주었다. 이러한 담임교사들의 집단 괴롭힘 예방 활동은 효과적이었으며 그 후 집단 괴롭힘 사건은 재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여전히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에는 해결책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집단 괴롭힘이 언제 다시 일어날지 몰라 불안해했다. 교사들은 집단 괴롭힘 사건을 통해 상실한 학급 운영자로서의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입학과 교사 동호회 참여 등의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되었으며, 집단 괴롭힘 현상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심리사회적 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혼 남성이 사이버대학에서 상담을 전공한 경험

        방기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8 교육치료연구 Vol.10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arried men's experiences of majoring in counseling at cyber universities. Eleven married men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started studying at the cyber universities with dissatisfaction at their previous offline university experiences and current jobs. They studied counseling psychology as their major to help themselves and others and to pursue alternative career options. They had difficulties balancing work and study, but gained encouragement from peer students by sharing their career aspirations. After graduation, some entered graduate schools with a counseling major and transferred to counseling jobs. Others specialized themselves in the same job with a counseling major. Obtaining a degree in counseling helped them to have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and less conflicts with their wiv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men's higher education experience, job transference, and the role of cyber universities as a counselor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상담을 전공한 기혼 남성 11명을 면접하여,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면접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은 만족스럽지 않은 경험을 하고 대학을 졸업하였고, 직장 업무에 대한 만족감이 낮아 사이버대학을 입학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느껴 상담을 전공으로 선택하였다. 타인을 돕고자 하는 마음으로 입학하였던 참여자도 후에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고하였다. 재학 중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전공 공부가 상담을 받는 것 같았고, 꿈을 나눌 수 있는 동료와의 교류가 학업을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참여자들은 상담을 전공한 후 자녀와의 관계가 돈독해졌고, 부인과의 갈등이 줄어들었다고 보고하였다. 참여자들은 졸업 후 대학원에 입학, 상담분야로 이직, 그리고 기존 업무에서 상담으로 자신을 특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의 고등교육 경험 및 경력 전환 그리고 사이버대학의 상담자 양성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 노년의 가족 내 역할

        방기연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7 No.1

        죽음-사망기 _____는(은) 어제_______세를일기로세상을떠났다. 그의사망원인은_________이었다. 그의남은가족은____________이며, 그는_____________의구성원이었다. 그는사망한그때에_______________를(을) 하고있었다.  그를아는사람들은그를____________한(했던) 사람이었다고기억할것이다. 그의죽음을가장슬퍼할사람은_______일것이다. 그가세상에남긴업적은______________이다. 그의시신은___________처리될것이며, 장례식은그의유언에따라_________________식으로진행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