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요 정신장애자들에서 수면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

        방규만(Kyoo-Man Bang),김희철(Hee-Cheol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1 No.2

        목적 : 수면의 질이 나쁘면 삶의 질도 불량하다는 연구 결과가 일반 인구집단뿐만 아니라 여러 의학적 상태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주요 우울증 및 원발성 불면증 환자들을 포함한 주요 정신장애자들에서 수면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진료 상황에서 정신증(정신분열병, 정신분열형장애 포함), 주요 우울증, 원발성 불면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 가운데 본 연구에 동의한 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불면증에 관한 설문지와 자기 보고식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한국형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 KQOLS),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세 집단 모두에서 PSQI 총점이 평균 5점 초과이었으며 원발성 불면증 집단에서 PSQI 총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우울증 집단은 KQOLS의 정신적 건강, 통증, 활력, 건강상태 인식 및 건강상태 변화 영역에서 정신증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원발성 불면증 집단은 KQOLS의 통증과 건강상태 변화 영역에서 정신증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증 집단과 원발성 불면증 집단 간에는 KQOLS의 전 영역에 걸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의 질이 나쁜 집단은 KQOLS의 전 영역에 걸쳐 평균 점수가 낮았으며 불안과 우울 증상이 더욱 심하였다. 불안과 우울 증상을 통제한 후에 수면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었던 KQOLS 영역은 정신적 건 강, 통증 및 활력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증, 주요 우울증 및 원발성 불면증 환자들 모두에서 수면의 질이 나쁘며 이들의 저하된 수변의 질은 건강관련 삶의 질적 저하와도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요 정신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수면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Objectives: Poor sleep qua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struct associated with poor quality of life for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patients with various medical condi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ajor mental disorders including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rimary insomnia. Methods: Ninety thre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psychosis (including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rimary insomnia were recruited from inpatient and outpatient psychiatric clinics o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Assessment instruments include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 the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QoLS) ;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of Spielberg. Results: The mean scores of global PSQI in three groups were greater than 5. Primary insomnia group recorded the highest score of global PSQI. Major depressive disorder group had lower scores in spiritual health, pain, vitality, health status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change domains of KQOLS than psychosis group. Primary insomnia group had lower scores in pain and health status change domains of KQOLS than psychosi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ll domains of KQOLS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group and primary insomnia group. Poor sleepers reported lower mean scores on all domains of KQOLS and they were more anxious and depressed.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and depression, the domains of KQOLS associated with quality of sleep were psychological health, pain, and vitalit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qualities of sleep in patients with psychosis, major depression, and primary insomnia were poor and their poor qualities of sleep were associated with lower health-related qualities of life in them. We suggest that intens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leep problem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ajor mental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