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

        반영운,김유미,홍나은,한경민,백종인 한국지역학회 2017 지역연구 Vol.33 No.1

        This study has intended to propose implementation measures to promote a smart city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U-City, which is the forerunner of a smart city in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planning elemen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smart city and sustainable smart city. The study defined the definition of the sustainable smart city and identified it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each sector of sustainable smart city.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integrate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a sustainable smart city to pursue. The implementation measures included three strategies and 17 major technologies based on the vision of ‘transition to a sustainable smart city in respon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strategies were (1) establishing a sustainable smart city; (2) building and maintaining smart infrastructures; and (3) smart urban regen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데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발전, 스마트 도시 관련 이론 및 두 개념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의 개념을 정의한 후 경제, 사회, 환경부문의 목적을 도출하고 부문별 전략을 구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가 추구해야 할 통합적인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은 ‘4차 산업혁명시대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1)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조성, (2) 스마트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 (3) 스마트 도시재생 등 3가지 전략 및 전략 부문 별 17개 주요 기술로 구성되었다.

      • 퍼실리테이션 기반 주민참여 도시재생 워크샵이 주민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반영운,백종인,임광현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2

        본 연구는 퍼실리테이션 기반 주민참여 도시재생 워크샵이 지역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주민참여 도시재생 워크샵에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기존의 일반적인 주민참여 방식과의 차이를 도출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당진시 도시재생 대학 수강생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퍼실리테이션 기반 주민참여 도시재생 워크샵은 주민역량강화와 의견 도출 만족도,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퍼실리테이터는 전문가와 주민 사이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며, 전문가에게는 주민 의견을 전달하고, 주민 스스로 능동적으로 촉진하여, 주민의 역량 강화, 의견 도출 만족도, 교육 만족도의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s how facilitation based participation resident urban regeneration workshop affects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n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and to derive a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common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using facilitation technique on participation resident workshop. For this 28 DangJin urban regeneration college attendees were surve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n analytical t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acilitation based participation resident urban regeneration workshop had positive effect on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derive satisfaction and feedback, training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that facilitator intermediate bridge between professionals and residents, convey resident’s opinion to professionals, and makes residents promote actively which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considered that affected satisfaction of comments derive and education.

      • KCI등재

        청주시 어린이공원 이용객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반영운,정헌근,백종인,윤중석,한경민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주시에 위치해 있는 어린이공원 이용객을 대상으로 이용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 다양한 통계적인 분석방법으로 어린이 공원 이용객의 이용행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용행태분석 결과 어린이공원 이용객은 대부분 청소년층 혹은 노년층으로 나타났으며, 방문목적은 대부분 휴식을 취하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서였다. 이용객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사회성 증진 및 심리안정 요인, 생태 및 교육적 요인, 물리적기능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요인과 만족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3가지 요인 모두 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과 요인 내 변수 간의 회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경시설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원조성 압력지수를 이용한 공원개발 우선순위 선정 - 청주시 도심 미개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반영운,이태호,Ban, Yong-Un,Lee, Tae-Ho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4

        본 연구는 공원조성압력지수를 이용하여 청주시에 분포되어 있는 도심 미개발공원의 개발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다. 공원조성압력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가법형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수는 총 5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등급화는 9개 항목 평가지표를 통해 이루어졌다. 9개의 평가지표에서는 다시 공원의 물리적 환경특성, 이용가능성, 공간배치특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평가지표는 기존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표와 관련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해 선정하였다. 물리적 환경평가지표로는 고도 경사,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있으며, 이용가능성 평가지표로는 주거지면적비율, 이용가능예측인구, 미조성경과년수, 단절구역면적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공원배치특성의 경우에는 공원간의 거리와 대체시설의 분포특성이 있다. 연구 결과, 사천, 사직2, 당산근린공원이 1등급을 받았으며, 삼선당공원이 5등급을 받았다. 1등급 공원의 경우, 두 개의 공원이 청주시의 동서축인 사직로와 인접해 있었으며, 가장 높은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당공원의 경우, 가장 낮은 개발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공원의 경우, 지역 대학교와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지역에 주거용지비율이 작고 이용잠재인구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t development priorities for five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scattered throughout the downtown area of Cheongju City using a PDPI(Park Development Pressure Index). In order to calculate the PDPI, this study employed an additive integration method. The PDPI was graded from 1 to 5,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s in accordance with nine indicator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The indicator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hysical environment, utilization possibility, and facility distribution. The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ltitude and inclination' and 'NDVI' as physical environment indicators; 2) 'ratio of residential area', 'forecasted utility population', 'undeveloped period', 'redevelopment near parks', 'ratio of area divided by main streets', reflecting utilization possibility; and 3) 'Distance between Neighborhood Parks'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ve facilities' as facility distribu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hree neighborhood parks including 'Sagic 2', 'Sachen', and 'Dangsan' were ranked in the first grade of PDPI; and, 2) one neighborhood park 'Samsungdang' was ranked in the fifth grade of PDPI. The above results mean that among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three have been exposed to extremely strong park development pressure, and that while two neighborhood parks have had strong exposure to park development pressure due to potential users according to their close location to Sagic Ro, an east-west main axis of Cheongju City, one neighborhood park has had weak exposure to development pressure because of the close location to 'Chu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a lack of residential areas, showing a low possibility fo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