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 대상 목공프로그램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반시우,이현주,신혜리,정하윤,전명옥,김계연,김하율,최돈하,황의도,김영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본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의 하나로써 목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서울시 Y 치매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노인 32명, 경증치매노인 28명을 실험군, 통제군으로모집하여, 실험군은 5주간 주 2회씩 약 120분 동안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MoCA-K를 통해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증치매 실험군의인지기능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사전-사후 인지기능의 평균 변화를살펴보았을 때, 경증치매 실험군의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본 연구는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와 경증치매노인으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치매 전 단계와 초기 단계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대한 인지기능의 변화 차이를 검증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서 목공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연령집단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기술활용능력의 조절효과

        엄사랑,반시우,유나영,신혜리,김영선,한기명,Wajahat Ali Khan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4

        본 논문은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를 시행하여, 전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5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연령집단을 중년층(55-64세) 247명, 전기노인(65-74세) 140명, 중・후기노인(75세 이상) 113명으로 구분하여 분산분석(ANOVA), 조절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중년층과 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 및 기술활용능력은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층은 기술활용능력이 조절 효과까지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후기노인의 경우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과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층, 전기노인, 중・후기노인 별 사회활동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술활용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아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였으며, 특히 중년층을 대상으로 기술활용능력을 증진시켜 높은 수준의 정서적 안녕감을 도모하고, 사회활동이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령자 건강증진 메타버스 교육플랫폼 구축 및사용성평가 연구

        윤희정,김영선,반시우,김상희,김계연,신혜리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online education ecosystem for older adults and contributeto improving the health of older adults through the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for the HealthPromotion of the Older Adults. Methods Using Gathertown, we built a Metaverse Education Platformfor the Health Promotion of the Older Adults and conducted pilot training for five older adults andthen conducted a usability evalu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satisfactionusing the STATA 17.0 program, and subjective evaluation was presented by categorizing maincontents. Result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overall positive satisfaction with the Metaverseeducation platform, saying that the use of the Metaverse was useful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Conclusion The potential of theMetaverse education platform for health promotion of the older adults has been confirmed, and foreffective application, digital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Metaverse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adults are 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령자 건강증진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을 통해 고령자 온라인 교육 생태계를 확장하고, 고령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게더타운을 활용하여 고령자 건강증진 메타버스교육플랫폼을 구축했으며, 고령자 5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교육을 수행한 후 사용성평가를 수행했다. 만족도문항은 STATA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으며, 주관적 평가는 주요내용을 범주화하여 제시했다. 결과 연구대상자는 고령자 건강증진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에 대해 메타버스 활용이 건강증진교육에 유용하며,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만족하고,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원활한 등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냈다. 결론 고령자의 건강증진 메타버스 교육플랫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효과적인 적용을위해 고령자의 디지털 교육,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메타버스 환경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목공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이현주(Lee, Hyun-Joo),김상희(Kim, Sang-Hee),반시우(Ban, Si-Woo),전명옥(Jeon, Myoung-Ok),신혜리(Shin, Hye-Ri),김영선(Kim, Young-Su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목공치유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이 노인의 참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S시 치매안심센터 이용 65세 이상 경도인지장애 등급을 받은 노인 12명으로 목공치유프로그램을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주2회 총 10회기 대면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12명 중 중도탈락한 3명을 제외하고 최종 9명에게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목공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에서 의미화 및 패턴을 4개의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직접 만든 작품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을 회복하였다. 둘째, 목공활동이라는 새로운 경험과 추억을 통해 삶의 활력을 얻었다. 셋째, 작품 완성을 통해 자신의 기능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배움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결론 : 목공치유프로그램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참여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목공치유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지역사회 보급을 위한 공공적 지원이 필요하며, 후속 연구에서 목공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효과성을 검증하는 다차원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older adults by applying the woodworking program to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older adults people aged 65 years who had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the dementia safety center in S city. Among them,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9 people, excluding three out of 12 who were dropped out. Results : Meaning and patterns were categorized by four topics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woodworking program for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irst, they restored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with their own works. Second, they gained vitality in their lives through new experiences and memories of carpentry activities. Third, they confirmed their functions and possibilities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work. Fourth, they identified their desire for learning and formed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woodwork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ultidimensional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distributing customized woodworking programs to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