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OTT 스트리밍 플랫폼 서비스 전략 연구 ╶ 디즈니+와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심인단, ,장미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3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6 No.2

        With the increase of OTT streaming services, OTT streaming service brands have also emerged in the domestic market and gained huge competitiveness in the service market. Focusing on Disney+, the emerging OTT streaming service brand that ranks No. 1 in China, and Netflix, which ranks No. 1 in the domestic OTT streaming service market,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original content, price strategy, consumer base, etc. of the two streaming media services. and consideration. Research conclusion: First, OTT streaming services need to understand the usage time of each target user. Second, in terms of providing original content, recommendations and classifications are made based on the age and taste of the target customer group. Pricing should adopt market-oriented pricing methods to play a price-balancing role for each country.

      • KCI등재

        F&B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에 나타난 무설탕 컨셉의 시각적 상징 표현 연구 - 중국 무설탕 제품 중 과자, 젤리, 음료, 사탕을 중심으로 -

        위 광,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China has become the number one country in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Influenced by health awareness, the wave of 'sugar reduction' prompted major companies to work to innovate, and the Food and Beverage (F&B) industry created a mortgage/sugar-free consumption boom.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the sugar-free F&B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ugar-free concept by analyzing the case of expressing sugar-free as a visual element in the package design of sugar-free F&B products. Method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market status of sugar-free F&B and analyze the product characteristics of sugar-free F&B. Second, we establish a framework for visual expression analysis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on package design. Third, we analyze 20 product cases based on the analysis frame to analyze the role of visual elements in sugar-free F&B package design and the symbolic representations contained in the package design, and draw conclusions. Result Overall, visual symbols are used in all four types of sugar-free F&B packages, bu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roduct requirement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ugar-free F&B, and the symbol method and object of symbols are also different. Conclusion First, raw material symbols allow consumers to accept sugar-free information.Symbols that show the raw materials of sugar-free food make you feel additive-free and healthy.Second, it visually symbolizes low calories so that consumers can accept sugar-free information. Third, consumers can accept information about sugar-free by creating a symbol of sugar-free.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rder of sugar-free product information. 연구배경 오늘날 중국이 당뇨병 환자 수 1위 국가를 차지하면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에 많은 중국 기업들은 설탕을 줄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F&B(Food and Beverage) 산업은 저당·무설탕 소비의 붐을 불러일으키면서 현재 무설탕 F&B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설탕 F&B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 중에서 무설탕을 시각적 요소로 표현한 사례를 분석하여 무설탕 컨셉의 시각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무설탕 F&B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무설탕 F&B의 제품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함으로써 시각적 표현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한다. 셋째, 분석틀을 바탕으로 20개의 제품 사례를 분석하고 무설탕 F&B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의 역할과 패키지 디자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분석한 후,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4가지 유형의 무설탕 F&B의 패키지는 모두 시각적 상징을 사용하고 있지만, 무설탕 F&B의 종류에 따라 제품 특성과 제품 요구 사항이 다르며 상징 방법, 상징 대상도 다르다. 결론 첫째, 원자재 상징물을 통해 소비자가 무설탕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설탕 음식의 원재료를 구현한 상징물은 무설탕과 건강함을 전달한다. 둘째, 저칼로리를 시각적으로 상징화하여 소비자가 무설탕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무설탕을 시각적, 언어적으로 상징화하여 소비자가 무설탕의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무설탕 제품 정보의 순서를 명확히 한다.

      • KCI등재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디자인연구원의 역할 연구

        임민지,김소명,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3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6 No.2

        The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serves as a crucial space for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playing a key role in discovering new ideas and solutions across diverse fields of art and design. Researchers at such institutes are expected to drive change in response to contemporary trends, undertake pioneering research in the arts and design, and lead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understand and document the key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Kyung Hee University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establishing goals and expectations for fulfilling these roles and envisioning the future. The research involves analyzing policy white papers on design, cultural arts education, reports on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to grasp and systematize the content related to the roles of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development, the study identifies the perceived limitations by researchers in design institutes and derives the roles that institutes should play in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The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should actively contribute to both academic achievements and practical advancements by fostering idea-sharing platforms through conferences and workshops, strengthening student guidance, enhanc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exchanges, supporting researchers, and emphasizing interdisciplinary design, there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integrated design.

      • KCI등재

        고령화 시대 공공시설물의 유니버설 디자인 방향성 연구 - 중국 지난시의 대명호 공공시설물을 중심으로 -

        장 쉐 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As the aging of the world becomes serious, it is emerging as a global social phenomenon. Public design is attracting great social attention, but public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still insufficient. China's Ganshi has a large elderly population base and an aging population will become a new normal. Urban construction needs research to prevent and improve aging. The main interest in public design targeting the elderly was found to be health style, safety, and u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opinions of the age group and improve the demand for presentation. The main discussion in the text is how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can supplement and adjust public design functions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elderly. Methods The first is to investigate the aging population of the past and to understand public facilities and general design. Second, the chair of Daemyeongho Lake in Jansi, Shandong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rd, it analyzes the collection situation and submits an improvement proposal. Result First, maintenance should be carried out regularly to avoid potential safety hazards. Seco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chair is suitable for the elderly. Third, the backrest and armrest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chair. It is indispensable. Fourth, the height of public chairs suitable for the elderly is investigated and improved.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that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aged is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elderly are concerned about safety.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age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연구배경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하면서 세계적인 사회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공공디자인이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노년층을 위한 공공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다. 중국 지난시는 노인 인구의 비중이 높아 고령화를 위한 도시 건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고령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도시 건설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시설 및 공간에 대한 노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한 공공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지난시의 고령화 인구를 조사하고 공공 시설물의 디자인을 파악한다. 둘째, 산둥성 지난시 대명호 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수집한 내용 및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해야 한다. 의자의 구조가 노인에게 적합한지 여부에 주의해야 한다. 등받이와 팔걸이는 의자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노인에게 적합한 공공 의자의 높이를 조사하여 수정 및 개선한다. 결론 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응 방법을 설정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념을 중심으로 노인의 생활환경을 개선한다. 노인은 주로 안전성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령화 공공시설 개선방법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후속 연구에서 심층적인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