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희석 남서울대학교 1998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4 No.-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lengths of English vowels produced by Koreans and Americans. Specifically, Koreans have difficulty pronouncing English /æ/ and /o/. A great difference exists in the lengths of the English vowels /æ/ and /o/ when they are spoken by Koreans and Americans.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wo vowels, the front low vowel /æ/ and the diphthong/o/, and tried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lengths of such vowels, when spoken by Koreans and Americans, are different. I have concluded that Koreans and Americans have different pronunciation habits in pronouncing /æ/ and /o/. Koreans pronounce the /æ/ like /e/; the front of the tongue is raised between the half-open and half-closed positions. With Americans, the mouth is slightly more open than for /e/; the front of the tongue is raised just below the half-open position. Also, Koreans have difficulty pronouncing English diphthongs. In fact, in the pronunciation of diphthongs the tongue moves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The two articulations of a diphthong can be described as the nucleus plus a glide; the nucleus is that part of the diphthong which is sustained the longest, while the glide can be thought of as a more transient sound which provides a transition into(i.e. preceding) or out of (i.e preceding) or out of (i.e following) the nucleus. But most Koreans have no idea about this and pronounce the diphthong/o/ like two separate monophthongs[ou]. So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English diphthong/o/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박희석,이현종,양승주,윤영빈 한국낙농학회 1987 韓國酪農學會誌 Vol.9 No.2
濟州地域에서 飼育되는 Holstein에 對하여 産次, 營養水準, 季節 및 粗飼料 種料가 乳量과 乳組成에 미치는 影響을 調査하기 爲하여 濟州市 中山間 地域에 위치한 2個所의 牧場에서 13頭의 Holstein 搾乳牛를 供試하여, 1986年 5月부터 1987年 4月까지 1年間 月 2回씩 24回에 걸쳐서 産乳量 測定 및 原乳의 一般組成分과 pH를 測定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日平均 泌乳量은 21.66㎏, 305日 補正乳量은 6,255.64㎏(最高 8,382.87㎏, 最低 4,268.6㎏), 乳脂生産量은 235.21㎏이었으며, 産乳能力은 各 個體間에 有意한 差異가 認定되었다. 2. 2産次에서 最高 泌乳量을 나타내었고, 午後보다 午前 搾乳時에 다소 乳量이 많았으며, 充分한 營養供給과 飼養管理가 良好한 狀態의 그들은 不充分한 營養供給狀態의 그들에 비하여 高度로 有意한 産乳能力의 增加를 나타내고 있어서 濟州地域 乳牛飼育에 있어서는 飼養管理와 營養供給의 改善效果가 뚜렷할 것으로 判斷되었다. 3. 粗飼料 種類와 利用方法에 있어서는 乾草와 柑橋粕 사일리지 및 당근을 給與할 境遇에 가장 높은 産乳能力을 보이고 있어서 柑橘粕과 根菜類는 젖소에 대한 效果的 賦存飼料資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期待되었다. 4. 季節別 泌乳量은 가을에 가장 낮고 겨울에 가장 높았으며, 分娩後 1.5∼2個月齡에 泌乳 peak에 이르고 있었다. 5. 平均乳脂率은 3.76%, 蛋白質 3.37%, 乳糖 4.64%, 總固形分 12.66%, 無脂固形分 8.90%, pH는 6.71이었다. 個體間 差異는 脂肪에서 가장 높았고(2.64%∼5.23%) 5∼6産次에서 乳脂率이 最高였으며, 午前보다 午後搾乳牛乳의 乳組成이 높은 傾向을 나타내었다. 6. 營養供給水準 差異는 乳組成에 큰 影響을 미쳤으며, 粗飼類 種類와 利用方法에 따른 乳組成 變化는 "乾草+柑橘粕 사일리지+당근" 의 境遇에 가장 높았다. 7. 305日 補正乳量과 1日 乳量, 乳脂率과 蛋白質 및 總固形分, 蛋白質과 總固形分間에는 高度의 有意한 正의 相關關係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ity, level of feeding, season and kinds of roughages on the milk yield and composition of raw milk samples collected from Holstein cows in Cheju Do area from May, 1986 to March, 1987.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daily milk yield, 305 day corrected milk yield and milk fat yield were 21.66 Kg, 6,255.64 Kg (8,382.87 Kg - 4,268.60 Kg) and 235.21 Kg respectively. 2. The average values of raw milk composition were found to be fat 3.76%; protein, 3.37%; lactose, 4.64%; Total Solids, 12.66%; Solids Not Fat, 8.90%; pH, 6.71. 3. There were hig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trial cows in the performance of milk production and in the milk fat percentage. 4. The milk yield and contents of raw milk composition of 2th parity, morning milking and sufficient feeding cows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parity group in the effects of parity, evening milking in the effects of milking time and defficient feeding cows in the effects of level of feeding respectly. 5. In the effects of the kinds of roughages and system of roughage feeding, performance of milk production and contents of raw milk composition in "Hay + Citrus Byproducts Silage + Carrot"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roughage feeding systems. 6. There were high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milk yield and 305 day corrected milk yield, between the milk fat percentage and protein, and between protein and Total Solids, respectively.
2012년 하반기 서울경제 전망 -2/4분기 소비자 및 기업 체감경기 전망
박희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SDI 정책리포트 Vol.118 No.-
하반기 국내 경기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저하저(上低下低) 예상 서울의 제조업 『산업생산지수』는 2012년 1/4분기에 전년동기대비 5.1% 감소한 반면 전국은 3.8% 증가하여 서울의 성장탄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수로 대표되는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전년동기대비 4.9%로 전국의 4.7%와 비슷한 수준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취업자수』는 전년동기대비 0.1%의 증가에 그치고 있어 전국의 2.0%를 고려하면 서울의 효율적인 고용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유럽의 재정위기 재발과 퍼펙트스톰 발생 가능성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어 국내 경기는 당초 예상했던 ``상저하고(上低下高)``가 아닌 ``상저하저(上低下低)``로예상된다. 서울의 소비자 및 기업 체감경기 미미한 회복세로 반전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12년 2/4분기 90.3으로 전분기 대비 상승세로 반전하였다. 특히, 『미래생활형편지수』, 『소비지출전망지수』, 『주택구입태도지수』는 각각 105.6, 101.5, 100.0으로 기준치 100을 상회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소비지출은 미미하게나마 개선되고 있으나 물가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가계여건 개선은 둔화되고 있다. 서울 소재 기업의 체감경기는 개선되고 있으나 내적 성장은 정체한편 『업황실적지수』와 『업황전망지수』등 서울 소재 기업의 체감경기는 2012년 2/4분기에 각각 83.6, 92.9로 전분기 대비 5.5p, 7.3p 상승하였다. 기업 체감경기도 그동안 위축되었던 경기가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기준치 100을 하회하여 체감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실적지수』는 89.8로 전분기 대비 5.0p 이상 상승하여 외형적인 성장은 개선되고 있으나 『매출실적지수』는 88.3으로 큰 변화가 없어 서울소재 기업의 내적 성장은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경제 안정화와 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로 서울경제의 자생력 제고 2012년 하반기 서울의 『경제성장률』은 상반기 대비 0.3%p 증가한 2.5%로 전망된다. 『민간 소비지출』도 비슷한 수준인 2.3%로 상반기 대비 0.5%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가상승률』은 유가 하락 등으로 안정세가 예상되지만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상반기와 같은 3.0%로 전망된다. 따라서 하반기에도 저성장 기조가 예상되므로 복지, 일자리 창출 등의 지원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어 서민경제를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기업·소상공인이 취약한 기술혁신이나 R&D 지원을 통해 성장기반을 강화하고 도심형 제조업과 신성장동력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으로 서울의 성장잠재력을 제고해야 한다.
저유소 중량물 들기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적 개선안 연구 (1)
박희석,이미란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에서는 저유소에서 이루어지는 들기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유해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사업장 내 공학적 개선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을 예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개선을 통한 작업자의 업무능률을 올려주어 전체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박희석,허소림,Park, Hee‐Sok,Heo, So‐rim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지 Vol.2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atic ergonomic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in a machinery manufacturing company. The steps such as looking for the signs of WMSDs problems, setting the stage for action, training-building in-house expertise, gathering and examining the evidence of WMSDS, developing controls of health care management, and proactive ergonomic interventions were applied. The primary success factors were management commitment and encouragement, and harmonious union-management relations.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작업장의 인간공학적 평가:심리육체적 접근방법
박희석 대한인간공학회 1996 대한인간공학회지 Vol.15 No.2
This research utilized the psychophysical methodology, where secrw drivers a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work objects, and ii) wearing gloves, on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at various body parts. The validity of the psychophysical methodology in determining a preferred work pace was also studied. The subjects drove screws with a screw driver into thick wooden sheet at three vertical and three horizontal locations. They drove serews for 3 minutes at each location and assessed the condition using the psychophysical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vertical loc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comfort ratings. Driving screws at elbow height on the vertical surface and with the lower arm close to the body on the horizontal surface were the work locations with the smallest ratings of perceived discomfort. Wearing glov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ducing the pain of the hand. From the experiment in which a comfortable work pace was identified using 20 minute psychophysica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psychophysical method is sensitive to workers perception of the physical stress when the upper limbs are employed. This was confirmend b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physical results and EMG measurement.